차대번호만 입력하면 차종명, 가격, 모델, 옵션 정보를 한 번에 조회 가능 쿠콘이 메리츠화재에 쿠콘 API를 제공해 보험사 업무 프로세스를 자동화한다고 밝혔다. 메리츠화재는 쿠콘의 ‘자동차 사양 정보 조회 API’를 도입, 보험 설계사가 자동차 보험 상품 가입 고객의 보험료 산정 시 간편하게 차량 정보를 확인하게 됐다. 쿠콘 API는 5월 24일 메리츠화재 내부 시스템에 적용됐다. 쿠콘 API를 활용해 내부 시스템에서 바로 차량 조회가 가능해 보험 심사에 걸리는 시간이 줄어드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메리츠화재가 도입한 쿠콘의 자동차 사양 정보 조회 API는 차대번호만 입력하면 차종명, 가격, 모델, 옵션 정보를 한 번에 조회할 수 있다. 쿠콘은 해당 API로 530만여건의 최신 자동차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 보험사는 보험 가입 시 보험료 산출 과정에서, 금융사는 담보 대출 심사 시 금리·한도 산정 과정에서 해당 A PI를 많이 활용한다. 현재 DB손해보험, KB손해보험, 더케이손해보험, 삼성화재, 악사손해보험, 캐롯손해보험, 현대해상 등 국내 다수 보험사가 쿠콘 자동차 사양 정보 조회 API를 도입했다. 김종현 쿠콘 대표는 “쿠콘 자동차 데이터를 통해 메리
[첨단 헬로티] RPA 통한 자동화 한계로 인공지능 기반 비정형 데이터 처리 사업 별도 발주 추세 은행 및 증권사, 보험업 등 금융권에 디지털화가 가파르게 진행되면서 이제는 금융업계의 디지털혁신이 선택이 아닌 필수 요소가 됐다. ▲인공지능과 RPA의 결합은 비용이나 생산성 측면에서 업무 자동화에 큰 효과를 거두고 있다. 특히 올해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이하 코로나 19) 확산까지 더해져 재해, 재난 등에 대비한 업무 프로세스 자동화 수요가 크게 늘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시장의 수요 증가와는 달리 RPA를 통해 업무 프로세스를 자동화한 많은 기업들이 자동화 업무 확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RPA로 자동화할 수 있는 업무가 실제로 상당히 제한적이며, 다양한 업무를 위해 인공지능 기술이 필요한 것을 확인한 것이다. 이로 인해 최근 국내 일부 기업들은 업무 자동화 영역 확대를 위한 인공지능 프로젝트를 RPA 사업과 별개로 추진하고 있다. 국내 대다수의 RPA 기업들이 인공지능 기술을 제공하지 못하거나 제한적으로만 제공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례로 국내 한 은행은 불완전 판매 방지를 위해 최근 금융 상품 거래 고객 동의서의 데이터를 검증하기 위한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