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서재창 기자 | 한국 아루바 휴렛팩커드 엔터프라이즈 컴퍼니(이하 HPE 아루바)는 AP-635를 시작으로, 업계 최초의 엔터프라이즈급 Wi-Fi 6E 솔루션 세트인 630 시리즈 캠퍼스 액세스 포인트(AP)를 발표했다. Wi-Fi 기술의 최신 혁신 기술인 Wi-Fi 6E는 6GHz 대역에서 작동하는 Wi-Fi 기기를 의미한다. 2020년 4월 미국 연방통신위원회가 6GHz 대역을 비면허 사용을 위해 개방하면서 근 20년 만에 와이파이 용량이 가장 크게 확장됐다. 국내에서는 2020년 10월 6GHz 대역을 광대역 비면허 통신용 주파수로 공급하는 것으로 확정됐다. 6GHz 대역을 개방하면 Wi-Fi에 사용하는 RF 스펙트럼의 양이 두 배 이상 증가하게 되므로 혼잡도가 낮은 공중파와 채널의 확장, 고속 연결을 가능하게 하고 산업 전반에 걸쳐 다양한 혁신이 이뤄진다. FCC가 6GHz 대역을 개방하기로 결정한 이후, 약 13억 명 이상의 인구가 거주하는 39개국이 6GHz 비면허 대역을 Wi-Fi 6E용으로 추가로 개방하게 됐다. 현재, 조직들이 대역폭을 많이 사용 중인 영상의 사용을 늘리고, 클라이언트와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IoT 기기 증가에 대처하고,
[헬로티] 콤스코프(CommScope)는 와이파이 6(Wi-Fi 6) 기술을 지원하는 자사의 액세스포인트(AP) 포트폴리오에 새로운 제품을 추가했다. 이번 발표를 통해 콤스코프는 기존 와이파이 6 지원 AP 포트폴리오에 지난해 세계 최초의 와이파이 서티파이드 6(Wi-Fi CERTIFIED 6) 인증을 획득한 실내용 AP 루커스 R750(RUCKUS R750)과 더불어 실내용 AP R850, R650, R550 및 실외용 AP T750, T750SE를 새롭게 추가한다. 새로운 AP는 와이파이 서티파이드 6 인증을 획득할 예정이며, 대학 캠퍼스, 호텔, 공항 및 경기장 등과 같은 사용자 고밀도 환경에서도 최적화된 성능을 제공하는 것이 강점이다. 오늘날 무선 네트워크는 와이파이를 뛰어넘어 애셋 트래킹(asset tracking)부터 연결된 도어락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무선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포함하도록 확장돼 왔다. 이같은 확장으로 인해 고비용의 사일로된 네트워크 환경에 대한 기업들의 관리 부담이 가중됐다. 콤스코프의 새로운 AP는 복잡하고 혼잡한 기업 네트워크 환경이 갖고 있는 관리상의 어려움을 해결해준다. 엔드-투-엔드 통합 아키텍처에서 핵심적인
삼성전자가 사물인터넷 시대를 맞아 차별화된 무선랜 신제품을 출시하며 B2B 시장 공략에 나섰다. 삼성전자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을 위한 근거리무선통신 방식인 지그비(Zigbee)와 블루투스 저전력(Bluetooth Low Energy)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IoT 액세스포인트(AP, 모델명: WEA403Si)를 출시했다. 사물인터넷을 위한 근거리무선통신 기술은 현재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블루투스가 전체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으며, 삼성전자의 새로운 IoT 액세스포인트는 해당 기술을 모두 지원한다. 또한 802.11ac를 지원해 1.3Gbps 속도의 고속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하고 위치, 조명 제어, 빌딩 에너지 관리 등 다양한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삼성전자는 올해 초 출시한 아웃도어 액세스포인트(모델명: WEA453e)의 후속 모델인 메시(Mesh)형 아웃도어 액세스포인트 (모델명: WEA463e)도 출시했다. 이번에 새롭게 출시한 메시형 아웃도어 액세스포인트는 설치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유선 네트워크 케이블대신 액세스포인트와 액세스포인트를 와이파이(Wi-Fi)로 연결하는 제품
넷기어는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무선 액세스 포인트 및 무선 클라이언트들을 포괄적으로 중앙에서 설정하고 관리하며 모니터링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 무선 네트워크 관리 솔루션을 8월 12일 국내에 정식으로 출시했다. 이번에 출시한 넷기어 비즈니스센트럴 무선 관리 솔루션은 별도의 하드웨어 기반의 무선컨트롤러를 따로 구매할 필요 없이 언제 어디서나 무선네트워크를 자유롭게 설정하고 관리할 수 있는 무선 통합관리 솔루션이다. 이 무선 네트워크 관리 솔루션을 통해 계정당 최대 4000대의 무선 액세스포인트를 동시에 관리할 수 있어 레스토랑, 커피숍, 호텔, 쇼핑센터 매장 등 중소형 사업장은 물론 대형 엔터프라이즈의 지사 및 원격 근무지에서도 최적의 무선 네트워크를 설정하고 관리할 수 있다. 초기에 값비싼 무선컨트롤러 하드웨어 구매 비용이 불필요하며 사용 기간 및 인원에 따라 비용을 지불해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비용 지출이 가능하다. 네트워크 관리자는 한 번에 여러대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 설치 및 관리가 가능하고 클라이언트들의 접속 권한을 개별적으로 부여할 수 있으며, 넷기어의 웹기반 포털 사이트를 통해 중앙에서 손쉽게 실시간 통제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솔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