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힐셔(Hilscher)는 netMOTION을 통해 다중 실시간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자사의 오랜 전략을 모션 제어 영역으로 확장했다고 밝혔다. 힐셔는 디지털 홀 및 쿼드러처 엔코더(Quadrature Encoder), BiSS/EnDat/SSI 엔코더, PROFIBUS-DP 및 CANopen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위한 어댑터를 비롯해 다양한 플러그인 모듈을 애드-온 액세서리로 제공한다. NXHX 90-MC 보드를 위한 NXHX-DH 어댑터 피기보드(Piggy-Board) 플러그인 모듈은 디지털 홀 입력을 위한 아날로그 필터 회로도 공급한다. 또한 RS-422(5V 차동) 및 TTL(5V 싱글-엔디드) 쿼드러처 엔코더 신호를 netX 90을 위한 3.3V 입력으로 변환할 수 있으며, 엔코더에는 5V 공급전압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최대 2개의 쿼드러처 엔코더와 3개의 디지털 홀 센서를 위한 푸쉬인(Push-In) 커넥터는 포지션 피드백으로 산업용 모터의 상호 연결을 쉽게 한다. BOM 구성요소 목록을 비롯해 NXHX-DH 및 NXHX 90-MC의 보드 회로도와 레이아웃 파일은 다운로드 가능하며, KiCad EDA용 PCB 레퍼런스 디자인으로 이
[헬로티] 스탠스가 코리아 스마트그리드 엑스포 2021에서 디지털 트윈 기술을 적용한 맞춤형 시각화 솔루션 AWAS-DT를 선보였다. ▲스탠스 전경(출처 : 함수미 기자) AWAS-DT는 산업 현장을 3D 디지털 트윈 환경으로 구축하고 복잡한 데이터를 직관적으로 시각화해 이상 징후 감지, 판단, 즉각 대응 환경을 제공해주는 솔루션이다. Ai Worker Assistance Soulution AWAS는 전문데이터를 해석하고 상황을 예측하는 작업자 맞춤형 인공지능 솔루션으로 ▲AI 영상분석 시설/설비 인식 ▲실시간 데이터 AR 그래픽 시각화 ▲실시간 디지털 자료 관리 ▲자동 보고서 생성 및 동기화 DB 관리 등에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AWAS-Insight는 실시간으로 화재, 배회, 침입, 유기 등 현장의 이상 상황을 자동으로 감시하는 영상 분석 솔루션이다. 현장의 안정장비(헬멧/조끼) 등 착용 여부를 인식해 관리자가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스탠스 AR 솔루션(출처 : 함수미 기자) 또한 VR을 이용한 교육훈련 솔루션도 제공한다. 산업 현장 투입 전 직무별 교육 및 안전사고 대응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현장 공정 프로세스와 다양한 안전사고 시나
[헬로티] 비앤에프테크놀로지(BNF테크놀로지)는 코리아 스마트그리드 엑스포 2021에 참가해 스마트 공장 구축을 위한 기기고장 예측 솔루션을 선보였다. ▲BNF테크놀로지 전경(출처 : 함수미 기자) BNF테크놀로지는 프로세스 플랜트 산업에 운영 및 관리 소프트웨어를 공급하는 기업이다.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축적하고, 과거 데이터를 학습해 모델을 만들어 조기경보시스템을 제공한다. 주요 제품으로는 ▲운전 정보 시스템 HanPrism ▲조기 경보 시스템 HanPHI ▲제어 감시 HMI시스템 HanHMI 등이 있다. BNF테크놀로지는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통합·저장·관리·분석을 위한 Big Data Infrastructure 지원해 기업의 스마트 공장 구축을 돕는다. 그 결과 생산성은 30% 상승했으며 15.9%의 원가 감소 성과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BNF테크놀로지의 솔루션(출처 : 함수미 기자) HanPrism은 플랜트 데이터 통합과 분석을 위한 데이터 플랫폼이다. 분산된 산업현장의 다양한 설비에서 발생하는 대규모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통합 저장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언제든지 필요한 데이터에 안전하게 접근하
[헬로티] 아틀라스랩스는 AI 전화 ‘스위치(Switch)’가 연동되는 웹 서비스 ‘스위치 커넥트(Switch Connect)’의 업그레이드 버전을 새롭게 런칭했다고 2일 밝혔다. ▲출처 : 아틀라스랩스 ‘스위치 커넥트’는 AI 전화 모바일 앱 ‘스위치’와 연결되어 음성 녹음은 물론, 실시간 문자화를 통한 전화 데이터를 편리하게 분석 및 관리할 수 있는 웹 서비스다. 아틀라스랩스에 따르면 스위치 커넥트는 이번에 업데이트된 추가 기능을 바탕으로 더욱 원활한 워크플로우를 지원하며 협업 툴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 서비스) 시장의 대표주자로 자리 잡을 전망이라고 밝혔다. 새로운 스위치 커넥트는 ▲전화 녹음 음성 및 텍스트 파일 다운로드 기능 ▲통화 노트 자동 생성 ▲통화 기록 공유 ▲필터 적용 ▲단축키 등의 기능 ▲검색 및 재생 ▲태그 기능이 업그레이드됐다. 스위치 커넥트 업데이트 버전은 스위치 계정이 있는 사용자라면 웹에 로그인해 즉시 사용할 수 있다. 통화 노트 기능을 활용하면 기록된 전화 내용 중 하이라이트 표시한 부분에 대해 자동으로 노트가 생성된다. 노트 클릭 시 해
[첨단 헬로티] 업계 표준의 웹 브라우저 기반 통신 방식인 WebRTC 비디오 포맷 이용, UDP 통해 안정적인 방송 품질의 실시간 비디오 스트리밍 제공 디지털 콘텐츠 전송 분야의 세계 선도 기업 라임라이트 네트웍스는 업계 최초로 전세계 어디에서나 시청자들에게 1초 이내(서브-세컨드, Sub-second)에 웹브라우저로 고품질 비디오를 스트리밍하도록 지원하는 솔루션인 '라임라이트 리얼타임 스트리밍(Limelight Realtime Streaming)'을 발표하고, 비디오 스트리밍 시장 공략 강화에 나선다고 밝혔다. ▲고품질 라이브 비디오 스트리밍 솔루션 ‘라임라이트 리얼타임 스트리밍(Limelight Realtime Streaming) 라임라이트는 실시간 비디오 스트리밍 솔루션으로 미디어와 방송·게임·온라인 스포츠 산업 분야 고객 저변 확대에 나선다. 이제 온라인 시청자들도 방송 시청자들과 동시에 영상을 확인하고 즐길 수 있다. 주요 스포츠 경기에 대한 온라인 스트리밍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2018 수퍼볼'은 310만건의 라이브 스트림을 기록하며, 3년 연속 성장한 반면, TV 방송 시청자수는 전년 대비 7 % 감소했
[첨단 헬로티] 한전 전력연구원(원장 배성환)은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위한 “실시간 배전선로 낙뢰측정시스템”을 개발하고 의성지사 등 4곳의 배전선로 40km에서 1년간 시범운영에 성공했다. 전력설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뇌운과 낙뢰는 연간 수만건에서 수십 만건에 달한다. 배전선로는 낙뢰에 견딜 수 있는 절연강도가 낮아 직접 뇌격하는 직격뢰 뿐만 아니라 다른 시설에 뇌격되는 유도뢰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으므로 원인분석이 어렵다. 전력연구원이 개발한 ‘실시간 배전선로 낙뢰 측정시스템’은 피뢰기 동작에 의한 낙뢰 정보 및 위치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서지 측정기와, 발생한 낙뢰의 시간 및 크기 등을 취득하여 분석할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지금까지 운영되었던 낙뢰카운터는 낙뢰 침입 여부 및 시간 등이 기록되었으나 정확도가 낮고 망연계가 되어있지 않아 상시 데이터 취득이 어려웠다. 본 실시간 배전선로 낙뢰 측정시스템은 낙뢰 위치, 크기, 시간 및 서지전류 크기 등 낙뢰 실측데이터 및 배전선로 운영정보를 기반으로 낙뢰데이터를 검증하여 서지과전압 해석결과의 정확도 및 신뢰도를 향상시켰으며, KLDNet(KEPCO Li
[첨단 헬로티] 정부 보급사업으로 설치되는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앞으로는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한국에너지공단(이사장 강남훈)은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 사후관리를 A/S센터와 권역별 전담업체 등을 통한 고장설비수리 위주 관리방식에서 실시간 신재생에너지 통합모니터링시스템(Renewable Energy Monitoring Service) 운영으로 전면 개편한다. 공단은 지난 1993년부터 주택·건물·지역·융복합지원, 태양광대여, 설치의무화 등 다양한 보급프로그램을 통해 30만여 개소에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보급하고, A/S센터를 통한 고장설비수리, 표본조사·샘플추적조사 등 사후관리를 추진해왔다. 이번에 오픈한 신재생에너지 통합모니터링시스템 통해 신재생에너지 설비 사용자가 직접 실시간으로 설비 발전량을 조회하고 설비 고장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됐다. 또한 방위각·경사각·설치여건 등 각종 자료와 모듈·인버터 등의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분석함으로써 전국·지역별 실시간 신재생에너지 발전예측량 등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공단은 올해 &ls
실시간 전력계통 상황에 기반한 에너지저장장치의 운영 기술은 에너지저장장치의 운영 기능을 3가지 서비스로 분류하고 전력계통 운영 상황에 따라 각 서비스의 편익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최적의 편익으로 에너지저장장치를 운영하는 기술이다. 본 시스템은 국내 기업인 (주)파워이십일과 기술이전 계약을 완료하고 기술 지도를 시행하고 있다. ▲ 그림 1. 송배전용 ESS 운영 시스템 ESS의 필요성 에너지저장장치(ESS)는 생산된 에너지를 다양한 형태로 저장했다가 필요시에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공급하는 시스템으로서, 에너지저장장치를 이용하면 전력수요가 낮은 시간에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어 효율적인 전력 활용이 가능하다. 에너지저장장치는 적용 대상에 따라 소비자용, 송배전용, 발전용으로 구분되며 각 대상별로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송배전용 에너지저장장치는 부하평준화, 주파수 조정, 신재생발전 안전성 확보 등에 활용한다. 한전에서도 에너지저장장치 사업을 차세대 먹거리로 발굴하고자 2011년부터 송배전용 에너지저장장치 운영 기술 개발 과제 및 사업을 시행하고 있으며 에너지저장장치의 설치와 활용은 날로 늘어가고 있다. 이에 따라 송배전
실시간 위치추적 기업 큐빗(qbit.co.kr)은 2015 사물인터넷 국제전시회(코엑스 3층 D홀, 10월 28~30일)에서 스타시스템을 활용한 실시간 위치 추적 솔루션을 시연하는 행사를 개최했다. RFID(무선전파인식,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전자 태그를 부착한 박스나 신선 과일(귤)이 입고부터 출고, 도난 등 다양한 상황에 대한 실시간 위치추적 현황 모니터를 통해 보여주는 스타시스템 솔루션 시연행사를 진행했다. 또한, 무전기 형태의 장비(RealTrac 시스템)를 활용해 실시간으로 작업자의 위치확인 및 이동경로 추적, 음성통신을 시연하는 행사도 가졌다. 큐빗 솔루션으로 사물의 실시간으로 위치추적이 가능함에 따라 재고파악 및 신선도 관리가 용이하며, 안전사고 시 작업자의 위치파악이 가능해져 구조 및 응급상황에 바로 대처할 수 있게 된다. 큐빗의 실시간 위치추적 솔루션은 물류관리, 자산관리, 신선유통관리, 안전보안관리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적용되어 원가절감 및 생산성 향상 효과를 보이고 있다. 큐빗의 대표적 솔루션인 스타시스템은 미항공우주국(NASA)의 기술을 적용했으며, 100%에 가까운 높은 태그 인식률로 정확한 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