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순차 읽기 속도 14,000MB/s, 최대 쓰기 속도 8,500MB/s 갖춰 PCIe Gen5 인터페이스, NVMe 2.0 프로토콜 등 채택...EDSFF·EU-2·E1.S·E3.S 등도 지원해 어드밴텍이 데이터센터 스토리지 차세대 SSD 솔루션 ‘SQFlash’ 시리즈를 출시했다. 이번 신제품은 ‘EDSFF(Enterprise and Datacenter Standard Form Factor) SSD’, ‘EU-2 PCIe Gen5 x4 SSD’로 구성됐다. SQFlash 시리즈는 PCIe Gen5 인터페이스와 EDSFF 폼팩터를 기반으로, 성능·안정성·확장성을 동시에 제공하는 산업용 SSD다. PCIe Gen5 x4 인터페이스와 NVMe 2.0 프로토콜을 채택해, PCIe Gen3 및 Gen4 대비 두 배 이상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갖춘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SQFlash EU-2 제품은 U.2와 E3.S 폼팩터를 만족한다. 최대 순차 읽기 속도 14,000MB/s, 최대 쓰기 속도 8,500MB/s를 발휘한다. 어드밴텍 측은 이에 대해 고부하 데이터 처리 및 실시간 연산 환경에서 탁월한 효율성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EDSFF, EU-2, E
신제품·자율제조·자동화 등 세션 기획 중국 산업 환경 특화 가공 솔루션 공개...최신 모델 7종도 첫선 DN솔루션즈가 중국 상하이 국제엑스포센터(Shanghai New International Expo Center)에서 열리는 상해공작기계전(CCMT 2024)에 출전해 각종 최신 인사이트를 제공할 예정이다. CCMT 2024는 이달 8일부터 닷새간 개막하는 공작기계 산업 전시회로, 중국공작기계산업협회가 주최한다. DN솔루션즈는 이 자리에서 신제품(New Product), 자율제조(Autonomous Manufacturing), 자동화(Automation) 세션을 세분화해 최신 기술이 적용된 신모델 7종을 공개한다. 특히 중국 엔타이시 소재 DN솔루션즈 공장에서 생산한 새로운 기종과 중국 특화 가공 솔루션을 중점으로 소개할 예정이다. 신제품 세션에서는 차세대 복합 가공기 ‘SMX 2100ST’와 세라믹 및 쿼츠 연마 가공기 ‘DNC 8060’이 참관객을 맞이한다. 자율제조 세션에는 협동로봇 모델 코보솔(COBOSOL)이 접목된 컴팩트 터닝센터 ‘Lynx 260SSY’와 로봇 연동 컴팩트 수직형 머시닝센터 ‘DNM 5700 4세대’가 전시된다. 이 중 DNM 5
네트워크 연결 스토리지(NAS) 환경서 특화 씨게이트 애자일어레이 기술 적용 285MB/s 전송 속도, 연간 최대 550TB급 작업 부하율 등 성능 갖춰 데이터 스토리지 솔루션 업체 씨게이트가 엔터프라이즈 네트워크 연결 스토리지(NAS) 환경에 최적화된 아이언울프 프로 24TB 하드 드라이브를 선보였다. 이번 신제품은 다중 사용자 환경에서 강점을 발휘하도록 설계됐고, 2~24TB의 용량 범위로 세분화됐다. 해당 하드 드라이브 제품군은 전송 속도 285MB/s, 연간 최대 작업 부하율 550TB가량으로 알려졌다. 씨게이트 관계자에 따르면 아이언울프 프로는 250만 시간의 평균 무고장 시간(MTBF)을 발휘한다. 아이언울프 프로는 NAS 환경 특화 펌웨어 및 HW/SW ‘씨게이트 애자일어레이(AgileArray)’가 적용됐다. 애자일어레이에는 진동 최소화 기술 ‘듀얼 플레인 밸런싱’, 회전 진동 센서(RV)가 내장돼 내구성 측면을 강조했고, 시간 제한 오류 복구(TLER)이 장착된 점이 특징이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작업자 피로↓ 공정 효율성↑’ 새로운 라인업 론칭 페이스 밀링 인서트·사각형 숄더 밀링 공구·인덱서블 스레딩 등 제품군 구성 “각종 제조 환경서 특화...간소화 요소 이식된 솔루션” 금속 절삭공구 업체 도머프라멧이 기존 대비 공정 간소화, 활용성 확장 등이 가능한 신규 라인업을 공개했다. 이번 새 제품군은 금속 절삭에 최적화된 차세대 MT-CVD(Moderate Temperature Chemical Vapor Deposition) 코팅 기술을 입혔고, 페이스 밀링 인서트 라인, 사각형 숄더 밀링 공구 등으로 구성됐다. 도머프라멧 관계자에 따르면 해당 제품군은 모두 공정 간소화에 초점을 맞춰 설계됐다. 도머프라멧은 이와 함께 고속 밀링 가공 작업에 적합한 새로운 공구도 출시했다. 특히 인덱서블 스레딩을 비롯해 소형 부품, 다이와 몰드 등은 공구 교체 시간과 가공 범위 확장이 가능하다. 도머프라멧 관계자는 “자사가 이번에 공개한 라인업은 각종 제조 환경에서 다용도로 활용 가능한 기술”이라며 “간소화 요소를 이식한 솔루션으로 국내 고객의 다양한 생산 요구사항을 충족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휴대용 에어 펌프 2, 전기면도기 S101 출시 각각 '신속한 공기 주입', '안정적인 면도' 강점으로 제시 샤오미가 휴대용 에어 펌프 2 및 전기면도기 S101을 시장에 새롭게 내놨다. 샤오미 휴대용 에어 펌프 2는 고출력 마그네틱 모터를 장착해 기존 1세대인 1S 모델 대비 약 25% 빠른 공기 주입이 가능하다. 또 19mm 고정밀 합금 다이캐스트 실린더를 채택해 150psi 팽창 압력을 보유했다. 해당 제품은 수동·자전거·오토바이·자동차·공·전동 킥보드 등 6가지 모드로 구성돼있다. 모드별 공기압 범위가 다르게 설정돼 각 용도에 적합하도록 설계됐다. 특히 수동 모드는 설정에 따라 값이 고정돼 사용자 편의성을 확보했고, 디지털 프로세서를 탑재해 모든 모드의 공기압 감지 오차는 ±1psi다. 배터리는 2000mAh 고속 리튬 이온 배터리를 적용했고, 무게는 약 490g이다. 한편 샤오미 전기면도기 S101은 18중 면도날, 이중 커팅 블레이드, 독립형 헤드를 기반으로 설계됐다. 이 중 3개의 헤드에 각각 탑재된 이 중 커팅 블레이드는 단일 블레이드 대비 면도 시간 감소 효과를 도출한다. 특히 S101에 적용된 스마트 속도 제어 기술을 통해 배터리가 부족해도
글로벌 물류창고 확장 비롯해 최신 자동화 시설 대폭 확충으로 역량 개선 마우저 일렉트로닉스(이하 마우저)는 더 큰 비즈니스 성장과 보다 효율적인 고객 지원 활동을 위해 글로벌 물류창고의 대대적인 확장과 최신 자동화 시설 확충, 취급 부품수 확대를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특히 한국에서는 고객의 혁신을 돕기 위한 다양한 지원 활동과 미래 엔지니어를 꿈꾸는 학생들을 위한 후원 노력 등을 올해 대대적으로 강화했다고 밝혔다. 마우저는 지난 26일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반도체 산업 현황과 더불어 자사의 비즈니스 전략을 공유했다. 한국전자전 2023(KES 2023) 참가와 관련해 한국을 방문한 마우저 일렉트로닉스의 마크 버-로논(Mark Burr-Lonnon) 글로벌 세일즈 및 서비스 담당 수석 부사장은 “마우저는 올 상반기 글로벌 영업 성과가 전년 동기 대비 -2%로 소폭 감소했다. 하지만 이 기간 동안 전 세계 바이어 수가 계속해서 증가세를 나타내는 가운데 고객 주문이 26% 증가하고 중소기업 부문과 엔지니어링 서비스 사업 부문이 2% 성장하는 등 고무적인 성과들도 확인할 수 있어 2024년 후반에는 다시 성장세로 돌아설 것”이라고 밝혔다.
월트 디즈니 협업 ‘미키 마우스’, ‘칩 앤 데일’ 제품 출시 스타벅스와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 협업을 맺고 스타벅스 신제품 3종을 선보인다. 양사는 이번 협업을 통해 이달 12일부터 미키 앤 프렌즈, 칩 앤 데일 등 디즈니 캐릭터가 담긴 제품을 출시한다. 스타벅스 관계자는 “오직 한국에서만 선보이는 음료 및 푸드, MD 등 상품을 고객에게 선보일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번에 스타벅스에서 출시하는 협업 음료 및 푸드 신제품은 총 5종으로, ‘미키 딜라이트 콜드 브루’, ‘미키 티라미수’, ‘미키 마카롱’, ‘미키 마들렌’, ‘칩 앤 데일 그래놀라 볼’ 등이다. 여기에 MD 상품도 추가 출시된다. 데미 머그 세트, 보온병, 스노우 글로브, 오너먼트 세트 등이 이에 해당한다. 스타벅스는 내달 5일에 국내 한정 추가 MD 상품도 선보인다. 특히 이달 19일에는 아태 지역 공통 상품으로 머그, 텀블러 등이 새롭게 모습을 드러낼 예정이다. 또 이달 12일부터 내달 4일까지 스타벅스 애플리케이션 사이렌 오더를 통해 디즈니 협업 및 가을 프로모션 음료 및 푸드 주문 고객 대상 협업 이벤트도 진행될 예정이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글로벌 시장 리서치 업체 Grand View Research의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머신비전 시장 규모는 2023년부터 2030년까지 연평균 12.3% 성장해 2030년 416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 자동화 확산,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저가화 및 소형화를 통해 머신비전 시장의 진입 장벽이 낮아지고 다양한 산업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생산성 향상, 품질 개선, 자동화, 안전성 강화 등 다양한 측면에서 도움을 줄 수 있는 머신비전 시장은 산업 전반에 걸쳐 활용 범위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이며, 다양한 신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이번 기사에서는 글로벌 머신비전 시장에 출시된 8월 신제품 모아 소개한다. 1. Vecow, 임베디드 시스템 VCM-100 시리즈 Vecow는 엣지 AI, 머신비전 및 기타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새로운 임베디드 시스템인 VCM-1000 시리즈를 출시했다. 13세대 인텔 코어 i9/i7/i5/i3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되는 이 시스템은 최대 24개의 코어와 32개의 스레드, 최대 65W CPU를 갖추고 있다. 최대 64GB의 DDR5 듀얼 메모리로 4800MHz에서 작동한다. D
Pull up 및 Pull down 저항 설정 기능으로 통신 품질 향상 기술 선봬 시스템베이스가 DB9 커넥터로 연결해 풀업·풀다운 저항 설정이 가능한 CS-99/F-PUD 젠더를 출시했다고 이달 10일 밝혔다. CS-99/F-PUD는 DB9 Female to 9pin Terminal Block 젠더로, 1차로 인입되는 신호선에 대해 풀업(Pull up) 및 풀다운(Pull Down) 저항 설정이 가능해 신호 레벨 보정이 가능하다. 또 노이즈 보정, 전압 공급, 종단 저항 처리 등 기능이 적용돼 통신 품질 향상이 기대된다는 평가를 받는다. 시스템베이스측은 자기장이 발생하는 설비 내 장비 간 연결 환경에서 성능을 발휘하는 통신 액세서리로 해당 젠더를 정의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넥스버가 High NA, Ultra-high Resolution Telecentric lens와 360° Hole inspection lens 등 신제품 렌즈를 소개했다. High NA, Ultra-high Resolution Telecentric lens Max Image circle 44Ø로 35mm Full Frame sensor 카메라, 65MP Sensor 및 8K 5un line scan camera에 사용 가능한 High NA, Ultra-high resolution telecentric lens다. 이 렌즈는 5배 7.5배 모델의 경우 Objective lens 대비 같거나 높은 NA에 긴 WD 제공하며, 다양한 배율(1, 2, 3, 4, 5 and 7.5x) 및 High Uniformity 동축 조명 적용됐다. 색수차 보정(Achromatic 보다 색수차와 구면 수차 보정이 좋은 Apochromat 렌즈) 설계로 칼라 카메라에서도 뛰어난 해상도를 유지하며, 렌즈 밝기 및 피사계 심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리개(Iris) 장착된 제품이다. 360° Hole inspection lens 이 렌즈는 배부벽과 바닥을 동시에 이미지화해 검사가 가능한 제
킥백 컨트롤, 정밀 클러치 기능 탑재 신제품 구매시 두 가지 이벤트 동시 참여 가능 보쉬가 전문가용 충전 드릴 드라이버 GSR 18V-90 C Professional(이하 GSR)과 충전 임팩트 드릴 드라이버 GSB 18V-90 C Professional(이하 GSB)을 출시했다고 2일 밝혔다. 보쉬의 이번 신제품 두 종은 브러쉬리스 모터를 탑재해 최대 토크 64Nm, 회전 속도 2,100rpm의 성능을 보유했다. 두 제품에 적용한 킥백 컨트롤(Kickback Control) 기능과 정밀 클러치 기능은 안전 사고 예방과 자재 보호 및 소음 효과가 있다. 또한 모바일과 연동해 제품을 작동시키는 보쉬의 커넥티비티 편의 기능을 추가했다. GSR과 GSB 모두 직경 최대 68mm 이하의 목재와 직경 최대 13mm 이하의 철재 드릴링 작업을 할 수 있다. 특히 GSB는 석재 드릴링 작업도 가능하다. 보쉬 관계자는 두 제품은 보쉬 전문가용 18V 배터리 및 충전기와 호환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신제품은 베어툴과 키트 두 가지 옵션으로 출시했다. 베어툴은 제품 본체와 종이 케이스, 벨트 클립, 비트 홀더로 구성돼 있고, 키트는 베어툴 구성을 기본으로
공인 유통기업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올해 3분기에 당일 선적이 가능한 1만1354종 이상의 최신제품을 공급했다고 10일 밝혔다.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신속하게 최신 제품을 공급하고 신기술을 제공함으로써 고객이 제품 출시 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현재 1200개 이상의 반도체 및 전자부품 제조사들이 마우저를 통해 제품들을 전 세계 시장에 소개하고 있으며, 마우저의 고객들은 마우저 사이트에서 제조사가 생산해 출처 확인이 가능한 100% 정품을 구매할 수 있다. 마우저가 지난 7월부터 9월 사이 공급을 시작한 주요 최신 제품으로는 ▲ 아나로그디바이스(ADI) ADN4620 및 ADN4621 LVDS 2.5 Gbps 절연기 ▲ Superior Sensor Technology CP201 이중 저압 센서 ▲ ams OSRAM SFH701x멀티 칩 LED ▲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STEVAL-VOICE-UI 음성 인터페이스 평가 키트 등이 있다. 마우저 웹사이트에서는 고객이 더욱 빠르게 설계할 수 있도록 제품 데이터시트, 제조사별 레퍼런스 설계, 애플리케이션 노트, 기술 설계 정보, 엔지니어링 도구 및 기타 유용한 정보, 기술 지원 센터 등 광범위한 기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2 신제품과 신기술을 미리 살펴볼 수 있는 웨비나가 3월 23일 오후 2시부터 두비즈에서 진행된다. 아시아 최대의 자동화 전시회이자, 국내 최고의 스마트팩토리, 자동화 전시회인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2(SF+AW 2022)’ 전시회가 오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코엑스 A, B, C, D홀에서 개최된다. ‘Driving Digital Transformation Together’이라는 캐치프레이즈를 건 이번 전시회는 스마트공장 엑스포(Smart Factory Expo),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한국머신비전산업전(Korea Vision Show)로 구성돼 있다. 첨단, (사)한국산업지능화협회, (사)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주최하는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2’는 국내외 350여개 기업이 참여해 차별화된 기술, 제품, 솔루션을 전시한다. 특히, 스마트팩토리 모델공장 특별관이 참관객들을 맞이하며, 2022 산업 디지털 전환 컨퍼런스 등 17개 컨퍼런스 200개 세션의 전문 컨퍼런스가 개최된다. 이번 스마트팩토리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2 전시회에서 주목할만한 신제품과 신기술은 무엇이 있을까? 이번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2 신제품과 신기술을 미리 살펴볼 수 있는 웨비나가 3월 23일 오후 2시부터 두비즈에서 진행된다. 아시아 최대의 자동화 전시회이자, 국내 최고의 스마트팩토리, 자동화 전시회인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2(SF+AW 2022)’ 전시회가 오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코엑스 A, B, C, D홀에서 개최된다. ‘Driving Digital Transformation Together’이라는 캐치프레이즈를 건 이번 전시회는 스마트공장 엑스포(Smart Factory Expo),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한국머신비전산업전(Korea Vision Show)로 구성돼 있다. 첨단, (사)한국산업지능화협회, (사)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주최하는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2’는 국내외 350여개 기업이 참여해 차별화된 기술, 제품, 솔루션을 전시한다. 특히, 스마트팩토리 모델공장 특별관이 참관객들을 맞이하며, 2022 산업 디지털 전환 컨퍼런스 등 17개 컨퍼런스 200개 세션의 전문 컨퍼런스가 개최된다. 이번 스마트팩토리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2 전시회에서 주목할만한 신제품과 신기술은 무엇이 있을까? 이번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현재 1,200개 이상의 반도체 및 전자부품 제조사들이 마우저를 통해 제품들을 전 세계 시장에 소개하고 있으며, 마우저의 고객은 제조사가 생산해 출처 확인이 가능한 100% 정품을 구매할 수 있다. 2021년 마우저는 당일 선적이 가능한 최신 제품을 69,568종 이상 공급했다. 마우저는 2021년 4분기에는 아래 제품들을 포함해 신제품 6,208종을 소개했다. 신제품 코보 QPQ4900 n79 하위 대역 160MHz BAW 필터는 하위 대역 n79를 위한 탁월한 고성능 BAW 필터다. 두 번째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MAX40080 전류 감지 증폭기은 디지털 출력과 -0.1 ~ 36V의 넓은 입력 공통 모드 범위를 제공하는 고정밀, 빠른 응답, 양방향 전류 감지 증폭기다. 센시리온 SGP41 CMOSens/MOXSens 디지털 대기질 센서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 및 질소 산화물을 감지하기 위한 완전하고 사용하기 쉬운 단일 칩 센서 시스템이다. 마지막으로 TE커넥티비티 IPT-HD 고전압 전원 볼트 커넥터 360° 차폐 설계, 손쉬운 장착 홀, 커넥터 EMC 성능과 조립 효율을 높여주는 유연한 어셈블리 연결성이 특징이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