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커넥티비티 특허동향 스마트 커넥티비티 기술 전체 연도별 특허출원 동향을 살펴보면, 1988년에 IEC 61158-4-11 규격 및 IEC PAS 62406 규격 관련 표준 필수 특허출원을 시작으로 1998년부터 2008년 사이에 IEC TC 65 관련 표준 필수 특허 출원량이 급격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그림 5. 스마트 커넥티비티 기술 국가 연도별 특허출원 동향 특히, 전체적으로 가장 높은 특허 출원량을 보이고 있는 2008년에는 IEC 6259 관련 표준 필수 특허 출원량이 58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IEC 61158-4-24 관련 표준 필수 특허 출원량이 17건, IEC 61158-4-24 관련 표준 필수 특허 출원량이 5건 순으로 각각 나타났다. 스마트 커넥티비티 기술 IEC TC 65 표준 필수 특허 관련 특허출원에 있어, 미국특허 및 유럽특허가 각각 179건(37%), 134건(28%)으로 가장 많은 출원량을 보였다. ▲ 그림 6. 스마트 커넥티비티 기술 IEC TC 65 표준 필수 특허 출원인 국적별 특허출원 연도별 특허출원 동향을 보면, 한국, 미국, 유럽, 국제(WO) 특허 모두 2008년도에 가장 높은 특허 출원량을
산업 데이터 특허동향 산업 데이터 기술 분야의 전체 특허동향을 살펴보면, 1980년대 후반부터 특허출원이 시작되었고, 2000년대 초반 들어 그 특허 출원량이 급증하면서 2001~2002년 가장 많은 특허출원을 보이다가 이후 차츰 특허 출원량이 감소하고 있다. 미공개 구간 고려 시에도 향후 급격한 증가 없이 점차 특허 출원량이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 그림 3. 산업 데이터 연도별 특허출원 현황 국가별로 살펴보면, 일본이 173건(45%)으로 전체 특허 출원량의 절반 가까운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다음으로는 미국이 122건(32%)의 특허 출원량을 보였다. 한국, 유럽 및 PCT의 경우 9~7%의 대동소이한 특허 점유율을 나타냈다. 산업 데이터 기술 분야를 특허의 정량적 분석 결과만 보았을 경우 어느 정도 완성된 기술 단계에 접어들었으며, 일본과 미국이 적극적인 R&D 투자로 타 국가에 비해 기술적 우위가 있다고 예측할 수 있다. ▲ 그림 4. 산업 데이터 기술 분야 국가별 출원 현황 산업 데이터 기술에 대해 국가별 출원 동향을 비교해 보면, 한국은 2000년대 초반 특허출원이 활발하게 이루어진 이후 최근 들어서는 특허 출원량이 미미한 상태이며
스마트공장 기술 주도권 확보를 위한 세계 각국의 특허전쟁이 시작됐다. 국가기술표준원이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스마트공장 관련 유효 특허는 총 1,842건이며, 공정모델의 경우 미국이 157건으로 가장 많았고 산업 데이터는 일본 173건, 스마트 커넥티비티는 미국과 유럽이 각각 179건, 134건이었으며, 보안은 미국이 350건 등 선진진영의 출원이 봇물을 이뤘다. 이 보고서는 전문가들의 도움을 받아 분석 대상을 공정모델, 산업 데이터, 스마트 커넥티비티, 산업용 통신 보안 4가지로 진행됐으며, 분석 대상 특허는 2015년 10월까지 공개된 특허이고 한국, 미국, 일본, 유럽 및 국제특허(PTC)를 포함했다. 그 내용을 정리했다. 공정모델 특허동향 공정모델 분야의 전체 특허출원동향을 보면 산업발달과 함께 우상향으로 점진 증가하고 있으며 미국의 출원(157건, 46%)이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산업 데이터 분야(35건, 9%)나 보안 분야(25건, 4%)와는 다르게 한국 내 출원 건이 71건(21%)으로 비교적 많은 것과 점유율을 보이고 있는 것이 차이점이라 하겠다. ▲ 그림 2. 공정모델 각 출원인의 출원 점유율 현황 국가별 출원 추이를 보면 좀 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