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T, "ADAS 탑재차량을 모는 운전자들은 실험에 참여하는 것과 같아" 테슬라의 '오토파일럿'과 같은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이 운전의 안전성을 높인다는 것을 입증할 자료가 아직 없다고 뉴욕타임스(NYT)가 8일(현지시간) 분석했다. NYT는 테슬라가 매 분기 공표하는 안전 보고서에서는 오토파일럿을 사용했을 때 사고 빈도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이런 수치는 오해의 소지가 있다고 지적했다. 오토파일럿은 주로 고속도로를 주행할 때 사용되는데, 일반적으로 고속도로에서의 운전이 도시 내 거리에서 운전하는 것보다 약 2배 더 안전하기 때문이다. NYT은 오토파일럿이 통상 더 안전한 상황에서 사용되기에 오토파일럿 사용 시 사고 빈도가 감소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테슬라는 같은 종류의 도로에서 오토파일럿을 쓸 때와 그렇지 않을 때의 안전성을 비교 평가할 만한 자료를 제공하지 않았고, 다른 자동차 업체도 마찬가지라고 지적했다. 오토파일럿은 2015년 출시됐고, 제너럴모터스(GM)의 유사한 기능인 '슈퍼 크루즈'는 2017년, 포드의 '블루 크루즈'는 지난해 각각 선을 보였다. 매체는 이런 ADAS 도입으로 안전성이 향상됐다는 기업들의 주장을 입증하기는
[첨단 헬로티] GM이 수년간 개발해온 세미(semi) 자율주행기술 슈퍼 크루즈를 올해 가을 선보인다. 슈퍼크루즈는 캐딜락 CT6 모델을 통해 처음 공개된다고 GM이 10일(현지시간) 밝혔다. 슈퍼 크루즈는 테슬라 오토파일럿 소프트웨어와 유사한 기능을 제공한다. 고속도로 설정을 하면 주행을 제어하고 차선 위치를 유지하며 주변 교통량에 따라 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슈퍼크루즈는 차량 핸들에 내장된 적외선 카메라를 사용해 운전자 머리 위치도 추적한다. 자율주행 기능이 돌아가는 동안, 운전자가 집중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필요하면 알람 및 경고 메시지를 보내기 위해서다. 경고 메시지에도 운전자가 반응이 없으면 차량을 정지시키는 '페일 세이프' 기능도 제공한다. 테슬라 오토파일럿과 유사한 기능이다. 슈퍼 크루즈는 테슬라처럼 OTA(over-the-air) 방식으로 업데이트된다. GM 슈퍼크루즈는 오토파일럿과 달리 고화질 레이저 탐지 기술인 '라이다'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가격과 외관을 고려해 테슬라는 라이다 기술을 적용하지 않고 있다. GM 역시 차량에 라이다 기술을 직접 탑재한 것은 아니다. 데이터만 이용하게 하는 수준이다. 슈퍼크루즈 옵션은 캐딜락 CT6 모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