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즈업 세줄 요약] · 에스투더블유(S2W), 자체 개발 ‘멀티도메인 교차분석’ 기술로 코스닥 상장 출사표 · 다크웹에서 축적한 인공지능(AI) 기술 기반...안보·보안·산업 등 ‘데이터 인텔리전스’ 리더십 강조해 · “‘선(先) 공공, 후(後) 민간’ 전략으로 해외 매출 비중 극대화해 글로벌 스케일업 가속화할 것” 정보의 심연부터 소셜 미디어까지, 예측 불가능한 보안 위협의 시대 최근 사이버 보안 시장은 전통적인 방어의 영역을 넘어선 새로운 패러다임을 요구하고 있다. 과거에는 외부 공격으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하는 것이 주된 목표였다면, 이제는 해커들이 음지에서 벌이는 활동을 선제적으로 파악하고 위협의 징후를 예측하는 ‘정보 지능(Data Intelligence)’이 핵심 경쟁력으로 떠올랐다. 정보의 홍수 속에서 범죄의 실체를 파악하고, 기업의 미래를 예측하는 능력이야말로 새로운 시대의 방패가 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공간이 바로 ‘다크웹(Dark Web)’이다. 다크웹은 총기·마약·랜섬웨어(Ransomware)뿐만 아니라 기업 기밀 유출, 위조 신분증 거래 등 온갖 불법이 난무하는 ‘사이버 범죄의 온상’이다. 동시에 미래 보안 위협의
[헬로티] (사)스마트제조혁신협회는 중소벤처기업부,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이하 KOSMO)과 함께 스마트제조 전문가를 대상으로 AAS(Asset Administration Shell) 기반 제조데이터 수집·저장 체계 실무교육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출처 : (사)스마트제조혁신협회 4월 12일부터 4월 23일까지 진행되는 이번 교육과정은 KOSMO와 독일LNI4.0과 6개월간(20.7~12) 협업해 만들어졌다. AAS 기반의 표준체계를 제조기업에 적용하는 가이드 매뉴얼 및 소프트웨어(SW)가 표준 모듈로 개발됐으며, 지난해 시범교육을 진행한 이후 올해 본격적으로 추진 중이다. 이번 교육은 AAS 활용기술, 장비별 AAS 템플릿 작성 방법, 공급기업 대상 OPC-UA 표준 소프트웨어 설치 및 활용 방법 등에 관한 이론으로 진행된다, 교육을 통해 스마트제조 분야의 요소기술인 AAS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제조현장의 생산요소들을 AAS로 모델링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이번 교육은 8개 온라인 강의로 구성됐으며, 총 6시간 과정으로 무료로 진행된다. 협회는 12일 첫 교육이 시작한 이후 22일 기준으로 약 1300여 명이 교육을 신청·수강하는 등 폭
[헬로티]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가상·증강현실의 몰입감을 극대화하고 원거리에서도 촉감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압전소재를 개발, 센서와 액추에이터를 통해 차세대 텔레햅틱(tele-haptic) 기술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ETRI 연구진이 센서를 이용해 촉질감 감지 실험을 수행하고 있다.(출처 : ETRI) 국내 연구진이 원격에서 물체를 만져보고 느껴볼 수 있는 촉감 기술을 개발한 것이다. 또한 외산 기술에 의존하던 핵심소재 개발에도 성공, 차세대 햅틱 분야 선도에 한 발짝 다가섰다고 덧붙였다. 본 텔레햅틱 기술은 재료 분야 세계 최고의 권위지인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즈에 지난달 게재됐다. 연구진은 텔레햅틱 기술을 사용해 최대 15미터 원격에서도 금속이나 플라스틱, 고무와 같은 촉질감을 느끼는 기술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즉 이와 같은 재질특성을 멀리 떨어진 곳에서도 긁었을 때 상대방이 금방 재질이 단단한지, 거친지, 부드러운지 느낄 수 있게 됐다는 뜻이다. ▲텔레-햅틱 기술 개념도(출처 : ETRI) 향후 연구진은 한국에 있는 애완견을 미국에서 쓰다듬으며 털의 부드러움까지 느낄 수 있는 기술개발에 도전한다고 말했다. 원격에서 사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