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함수미 기자 | 코그넥스는 자사 핵심 제품인 비전프로와 비전프로 딥러닝의 펌웨어를 업데이트한 신제품을 선보인다고 3일 밝혔다. 이번에 출시한 제품은 ‘비전프로10.1’과 ‘비전프로 딥러닝 2.1’으로 사용자 입장에서의 편의성 개선 및 제품 간 호환 용이성에 초점을 두고 펌웨어를 업데이트했다. 비전프로 10.1은 기존 10.0버전에 비해 스마트라인 기능이 대폭 강화되어, 제품의 검사 및 계측이 더욱 정교해졌다. 또한, 기존 VisionPro 9.x 버전에 있던 2D툴을 이용할 수 있게 됐으며, 툴 편집 컨트롤 기술 향상 및 USB3 Vision 지원 등을 통해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했다. 비전프로 딥러닝 2.1의 가장 큰 특징은 하이 디테일 퀵 모드가 추가되어 유사한 툴 정확도를 지닌 HDM보다 평균 2~5배 이상 트레이닝 시간을 단축한다. HDM와 거의 동등한 수준의 정확도를 구현해 비교적 간단한 어플리케이션에 빠르게 적용할 수 있다. 더불어 추가된 매개변수 검색 기능은 매개변수를 검색 및 대입해 최상의 매개변수를 찾아가는 트레이닝 과정을 최적화하고, 학습된 모델을 기존 업무 환경에 보다 쉽고 빠르게 딥러닝 소프트웨어를 적용할 수 있게 됐다. 특히,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코그넥스는 수아랩 인수 이후 딥러닝 기반 머신 비전 소프트웨어인 ‘코그넥스 비디(ViDi)’와 수아랩의 딥러닝 소프트웨어 ‘수아킷(SuaKit)’을 통합한 ‘비전프로 딥러닝’ 출시했다고 밝혔다. 코그넥스의 최초 딥러닝 제품인 코그넥스 비디는 Blue-Locate, Red-Analyze, Green-Classify, Blue-Read 등 OCR을 위한 총 4가지 툴로 출발했다. 최소 개수의 이미지 세트만으로도 트레이닝이 가능하여 속도가 빠르고, OCR에 특히 강하며 라벨링, 툴 체이닝 등의 GUI로 사용자가 더욱 쉽게 딥러닝 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는 제품이었다. 이후, 코그넥스의 룰베이스 기반 소프트웨어 ‘비전프로’와 ‘비디’가 통합돼 여러 검사 및 개발 툴들을 함께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다 많은 검사 환경에 폭넓게 적용할 수 있게 됐다. 수아랩의 수아킷을 통합한 머신 비전 소프트웨어 ‘비전프로 딥러닝’은 Green-Classify 툴이 강화됐다. 분류 정확도를 크게 높인 Green–High Detail 모드와 빠른 학습과 인퍼런스를 제공하는 Green–Focused 모드를 추가 레이블링 없이 손쉽게 전환할 수 있게 됐다. Red-
[첨단 헬로티] 제조업에서의 외관검사 자동화 개념 설명·장점 소개·한계점·해결책 제시 딥러닝 머신비전 소프트웨어 수아킷(SuaKIT)을 개발·판매하는 수아랩(대표 송기영)이 10월 8일부터 11일까지 4일간 서울 코엑스에서 진행된 ‘IMID 2019 한국디스플레이산업전시회’에 참가해 인공지능(AI) 기술인 ‘딥러닝’을 활용한 제조업의 비전검사 자동화 솔루션에 대한 세미나 발표를 진행했다. 수아랩의 전략마케팅팀 김종관 팀장은 지난 10일 ‘딥러닝’ 기술을 활용한 제조업의 외관검사, 솔루션을 주제로 세미나 발표를 진행했다. 최근 제조업 현장에서 높은 정확도와 작업속도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딥러닝’ 기술 접목 및 운영 시의 어려움들과 해결방법에 대해 소개하고 실제 양산환경에서 좋은 성과를 내는 수아랩의 제품연구방향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이밖에도 ‘IMID 2019 한국디스플레이산업전시회’ 주요 행사로는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등 국내 패널기업과 BEO, CSOT 등 해외바이어의 전시 부스 투어를 통해
[첨단 헬로티] 라벨 노이즈 검출 신규 기능 추가...원 클래스 러닝 성능 대폭 개선 딥러닝 머신비전 소프트웨어 수아킷(SuaKIT)을 개발·판매하는 수아랩(대표 송기영)이 2018년 11월 출시한 ‘수아킷 2.2 버전’의 업그레이드 버전인 ‘수아킷 2.3’을 출시했다. 수아킷(SuaKIT)은 딥러닝 기반의 머신비전 불량 검사 소프트웨어로 기존의 머신비전 검사로는 검출하지 못했던 비정형·불규칙적인 불량을 딥러닝으로 검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반도체·태양광 등 전기·전자 산업군 뿐만 아니라 자동차 및 식·음료 산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산업군의 제품 검사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수아랩은 2017년 6월 ‘수아킷 1.0 버전’을 첫 출시한 이래 이미지 비교(Image Comparison)나 비쥬얼 디버거(Visual Debugger·불량 판정한 이미지에서 판정근거가 되는 영역을 보여주는 기능)와 같이 ‘실제 제조업 비전검사 현장에서 발생 하는 여러 가지 변수와 어려움을 해결하는 기능’에 초점
[첨단 헬로티] 누적 투자액 314억원으로 역대 최대 규모...연구 차원의 높은 잠재력, 실제 글로벌 제조 현장 양산 적용에서의 독보적 성공이 주 요인 딥러닝 머신비전 소프트웨어 수아킷(SuaKIT)을 생산하는 수아랩이 상환전환우선주(RCPS, Redeemable Convertible Preference Shares) 인수 형태로 이루어진 190억원 규모의 시리즈 C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고 지난 10일 밝혔다. 이번 시리즈 C 투자 유치 성공으로 수아랩 누적 투자 금액은 314억원에 이르러 역대 최대 규모다. 수아랩은 지난 가을에 진행된 시리즈 B 투자 유치에 이어 시리즈 C 투자에서도 국내 인공지능 스타트업 업계 최대 규모 투자액을 경신했다. 이번 투자는 스톤브릿지벤처스, 소프트뱅크벤처스, 디에스자산운용, 인터베스트, 인탑스인베스트먼트 총 다섯 곳으로부터 총 190억원 규모로 이루어졌다. 특히 스톤브릿지벤처스, 인터베스트는 지난 시리즈 A와 B에 이어 이번 시리즈 C 투자에도 참여했다. 수아랩은 인공지능·머신비전·슈퍼컴퓨팅의 3가지 핵심기술을 통해 다양한 제조업 분야에 무인 검사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는 기업으로, 머신비전 분야에서
[첨단 헬로티] 딥러닝 머신비전 소프트웨어 ‘수아킷(SuaKIT)’을 생산하는 수아랩이 3월 27일(수)부터 29일(금)까지 3일간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 공장 + 자동화 산업전(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19’에 참가한다. 수아랩은 이번 전시회에서 대표 제품 ‘수아킷(SuaKIT)’을 전시할 뿐만 아니라 시연 장비 및 영상을 통해 방문객들에게 보다 자세히 제품을 소개할 예정이다. 수아랩은 코엑스 3층 C홀 부스(H112)에서 대표제품인 ‘수아킷(SuaKIT)’을 전시해 소개할 예정이며, 방문객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다양한 시연 장비와 영상도 준비한다. ‘수아킷(SuaKIT)’은 딥러닝 기반의 머신비전 불량 검사 소프트웨어로, 기존의 머신 비전 검사로는 검출하지 못했던 비정형·불규칙적인 불량을 딥러닝을 활용하여 검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반도체·태양광 등 전기·전자 산업군 뿐만 아니라 자동차 및 식·음료 산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산업군의 제품
[첨단 헬로티] 더욱 정확한 검출력과 편리한 기능, 빠른 속도로 머신 비전 영역의 새 지평 열어 (주)수아랩(대표 송기영)이 지난 2월 21일 기존 버전의 불편함을 대폭 개선한 '수아킷(SuaKIT)’ 2.0 버전을 출시했다. 딥러닝 기반의 머신비전 검사 소프트웨어인 수아킷(SuaKIT) 1.0 버전은 사례 학습 방식의 딥러닝 알고리즘을 적용해 다양한 제조업 분야에 불량 검사 자동화를 도입했다. 기존의 머신비전 시스템으로는 검사가 어려웠던 다양한 영역의 검사를 가능하게 했고, 정확도와 속도 또한 대폭 높였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수아랩에 따르면, 여기에 이번 수아킷(SuaKIT) 2.0은 한걸음 더 나아가 4가지 기능을 크게 개선했다. ▲두 이미지 간의 차이를 분석하는 이미지 컴패리즌(Image Comparison) 모드, ▲한 이미지 내 여러 물체를 검출하고 분류할 수 있는 디텍션(Detection) 모드, ▲딥러닝 알고리즘이 제품의 불량 영역을 추천해주는 비주얼 라벨러(Visual Labeler) 기능, ▲딥러닝 알고리즘이 물체의 어느 영역에 초점을 맞추어 검사했는지 보여주는 비주얼 디버거(Visual Debugger)기능 등이다. ▲ Sua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