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협동로봇은 더 미룰 수 없는 메가트렌드이다. 활성화를 위해서는 기준 완화와 SI기업의 육성이 필요하다.” 국내 협동로봇 산업이 당면한 과제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나아가 산업 발전을 모색할 수 있는 정책 제안의 계기를 마련하고자 ‘2019 국제로봇컨퍼런스-협동로봇’ 행사가 지난 10월 10일, 일산 킨텍스에서 열렸다. 이날 컨퍼런스에는 관련 분야 전문가들이 나와 ‘협동로봇 활성화, 무엇이 문제인가’를 주제로 패널 토론을 펼쳤다. 그 내용을 정리했다. ▲ 페널토론회에는 (왼쪽부터) 두산로보틱스 장준현 CTO, 광운대 김진오 교수, 한국기계연구원 경진호 박사, 좌장을 맡은 KAIST 박현섭 연구교수, 경희대 임성수 교수, 솔텍로보틱스시스템 이기주 대표가 참석했다. 선진국 수준에 맞는 합의와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 □ 박현섭 KAIST 연구교수(이하 좌장) : 안녕하십니까. 오늘 패널 토론은 국내 협동로봇 산업이 당면한 과제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나아가 산업 발전을 모색할 수 있는 정책을 제안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기 위한 자리입니다. 관련 분야 전문가들께서 함께 자리해 주셨는데, 먼저
[첨단 헬로티] “여의시스템은 자동화, 커넥티비티화에 이어, 일상생활에 도움을 주는 인공지능 로봇 솔루션 사업으로 한층 진화하고 있다.” 대표적인 솔루션으로는 스마트 에듀케이션, 스마트 케어, 스마트 하스피탈로, 이들 스마트 솔루션은 AI 서비스로봇을 통해 제공된다. 여의시스템의 고영규 이사는 서비스로봇뿐만 아니라 협동로봇에도 로봇 응용 기술과 소프트웨어 기술을 잘 융·복합시킨다면 치킨 로봇, 바리스타 로봇과 같은 새로운 비즈니스의 기회가 생길 것이라며, 앞으로 소프트웨어 개발에 더 집중하고 연구해서 대한민국 1등의 인공지능 로봇 솔루션 기업이 되겠다고 말한다. 인터뷰는 ‘2019 로보월드’ 전시회가 열리던 여의시스템 부스에서 진행됐다. ▲ 여의시스템 스마트팩토리팀 고영규 이사 Q. 2019 로보월드 전시회엔 어떤 제품을 출품했나. A. 서비스로봇에 AI를 탑재한 3가지 기능의 스마트 솔루션을 전시했다. 첫째, 독거노인을 도와드리는 스마트 케어 솔루션과 둘째, 교육용 커리큘럼을 넣어서 유치원 교사들의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스마트 에듀케이션 솔루션, 그리고 셋째, 병원 안내와 간호사들의 반복적인 업무들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