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환경 구축 일반적인 EtherNet/IP 기반 모션 제어 드라이버 사용 사례를 재현하기 위한 테스트 환경의 고수준 아키텍처가 그림 1에 나타나 있다. EtherNet/IP와 프라이빗 5G 네트워크의 통합을 평가하기 위한 테스트 환경에는 EtherNet/IP 슬레이브 스택을 포함한 STM32 평가 보드와 연결된 I/O 장치가 포함되었다. 이 실험의 목표는 I/O 장치를 EtherNet/IP 마스터를 갖춘 PC 기반 호스트 시스템과 연결하는 것이었다. 이 두 시스템 간의 물리적 계층은 5G 모뎀을 통합하여 구현되었다. 이 시스템에서는 SPI(직렬 주변기기 인터페이스) 통신이 사용되었다. 해당 설정을 반영하는 OSI 아키텍처는 아래에 제시되었으며, 애플리케이션 및 세션 제어는 STM32 보드가 담당하고, 전송 계층에서는 SPI를 통한 UDP 프로토콜이 활용되었으며, 네트워크 및 물리 계층에서는 5G 모뎀이 사용되었다. 이 설정이 이더넷 표준을 준수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OSI 계층과의 매핑이 그림 2에 나타나 있다. 두 하드웨어 간의 SPI 통신 설정은 다음과 같다. · 클럭 속도 : 1MHz · 모드 : 풀 듀플렉스(Full Duplex) 미래의 연결된 공
"정밀성과 유연성, 안전과 연결성… 산업자동화 신기술의 핵심 키워드가 다시 진화한다." 2025년 1분기, 글로벌 산업자동화 시장은 고도화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기반으로 '안전·지능·효율'의 세 축을 강화하는 신제품 경쟁이 뜨겁게 전개되고 있다. 올해 1분기 출시된 신제품은 단순한 성능 개선을 넘어, 운영 안전성 향상(SIL 인증, 세이프센스 기술), 통합 연결성(WirelessHART, IIoT 모듈), 고성능 엣지 제어(웹 패널, 컨트롤러), 현장 유지보수의 효율화(IP 등급, 모듈형 설계)라는 시장의 복합 수요에 정면 대응하고 있다. 더불어 AI·ML 기반 자동 제어, 고주파 대응 드라이브, 협업 로봇 기술 등도 본격적으로 산업용 장비에 흡수되며, '스마트+세이프'를 실현하는 하드웨어 기반 혁신이 두드러지고 있다. 본지는 산업의 미래를 선도할 글로벌 산업자동화 신제품 TOP 10을 엄선했다. 이들 제품은 각기 다른 영역을 대표하면서도, 하나의 공통된 방향 '지능형 생산의 실현'을 향하고 있다. 1. 바이드뮬러, 크림핑 기계 바이드뮬러 USA(Weidmuller USA)는 내구성 있는 크림핑 연결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전기 구동식 드라이브(풋
산업 현장에서의 다양한 위험 상황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실시간 대응 지원 세이지가 오는 22일부터 일산 킨텍스에서 열리는 ‘2025 국제물류산업대전(KOREA MET)’에 참가해 AI 기반 지능형 CCTV 솔루션 ‘세이지 세이프티(SAIGE SAFETY)’를 선보인다. 이번 전시회는 물류운송, 설비, IT, 보관 등 물류 전반을 아우르는 국내 최대 규모의 물류 전문 전시회로, 세이지는 실시간 위험 감지와 예방이 가능한 산업안전 모니터링 솔루션을 통해 물류 산업의 스마트화를 제시할 계획이다. 세이지 세이프티는 기존 CCTV 시스템을 AI로 고도화해 산업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위험 상황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실시간 대응하도록 설계된 솔루션이다. 화재나 연기 감지는 물론, 작업자의 안전모 미착용, 쓰러짐, 위험 설비 접근 등 산업 재해로 이어질 수 있는 다양한 위험 요소를 영상 기반으로 포착해 즉각 알림을 제공한다. 24시간 실시간 모니터링 기능과 함께, 이상 상황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분석해 관리자에게 통계로 제공함으로써 산업 현장의 전반적인 안전 관리 효율을 높여준다. 특히 기존 CCTV 인프라와도 쉽게 연동되도록 설계돼, 별도의 고비용 인프라 투자가
AI 기반 머신 비전 기술 전문기업 ㈜포스로직(대표 송종현)이 독자 개발한 AI·2D·3D 통합 비전 라이브러리 ‘FLImaging®’이 국내외 제조 산업 현장에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FLImaging®’은 AI 딥러닝 알고리즘과 고성능 룰베이스드(Rule-based) 알고리즘을 단일 라이브러리로 통합한 국내 유일의 머신 비전 플랫폼이다. 특히 SIMD 병렬 처리 구조와 멀티스레딩 기술을 전 알고리즘에 적용, 산업 현장의 작업 시간 단위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 기술은 이미 반도체, 디스플레이, 자동차, 이차전지, 전자 제품 등 산업 전반의 선두 기업들과 공동 프로젝트를 통해 적용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적용 이후 단 한 건의 VoC(고객 불만) 없이 높은 완성도와 안정성을 확보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지난 3월 코엑스에서 열린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AW 2025)’에서는 FLImaging®의 실제 데모가 전시되며 폭넓은 산업계 반응을 얻었다. 300개 이상의 산업군 기업들과 상담이 진행됐, 이 중 약 60개사는 전시회 종료 직후 협업을 공식화했으며 즉시 현장 적용이 결정된 사례도 다수다. 당시 현장을 찾았던 참관객들은
요꼬가와가 플랜트 라이프사이클 전반에 걸친 운영 최적화를 지원하는 종합 유지보수 프로그램 ‘OpreX Plant Stewardship’을 전 세계 시장에 본격 출시했다. 이번 서비스는 요꼬가와의 ‘OpreX Sustainable Maintenance’ 포트폴리오 중 가장 전략적이고 포괄적인 서비스로, 고객이 플랜트 운영 효율성을 장기적으로 확보하고, 복잡한 운영 리스크에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요꼬가와는 플랜트 복잡성 증대, IT와 OT(운영 기술)의 통합, 사이버 보안 위협, 숙련 인력 부족 등 산업 전반의 변화를 배경으로, 기존 제품 중심 유지보수의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 이번 프로그램을 선보이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 프로그램은 시스템, 현장 계기, 분석 장비, 소프트웨어 및 애플리케이션에 이르는 전 영역을 포괄하며, 전략적 라이프사이클 기반 접근 방식이 특징이다. ‘OpreX Plant Stewardship’은 특히 다음의 세 가지 핵심 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설계됐다. 첫째, 고객 맞춤형 전략 수립을 위한 ‘고객 중심 라이프사이클 접근 방식’이다. 이를 통해 고객 조직의 핵심 성과 지표(KPI) 달성을 돕고, 비즈니스 목표
지멘스(Siemens)가 최근 산업 자동화 및 전기차 충전 사업 부문에서 대규모 구조조정을 실시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시장 변화에 대응하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적 결정으로 해석된다. 주요 외신에 따르면, 지멘스는 최근 신설된 전기차 충전 사업부에서 근무하는 1,300명 중 약 3분의 1에 해당하는 450명의 일자리를 감축할 계획이다. 특히 이 중 250명은 연말까지 독일에서 감원될 예정이다. 이는 전기차 충전기 시장에서의 강력한 가격 경쟁과 저전력 충전소의 제한된 성장 잠재력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이번 구조조정은 주로 산업 자동화 사업에 집중되어 있으며, 전체 인력의 8%에 해당하는 규모다. 지멘스의 디지털 산업 부문은 엑셀러레이터와 지멘스 EDA 활동을 포함하여 총 68,000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다. 독일에서는 2,600개의 일자리가 감축될 예정이지만, 다른 성장 분야에서의 채용을 통해 총 인원은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지멘스는 독일과 중국이라는 주요 시장의 여건 변화로 인해 두 시장 모두에서 생산 능력 조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특히 독일 시장은 지난 2년 동안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며, 예상만큼 회복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젠슨 황 CEO "물리 AI 통해 산업 전반의 새로운 시대가 열릴 것" 엔비디아가 자율주행차, 헬스케어, 기상예측, 제조업 등 주요 산업 전반에 걸쳐 물리 AI(Physical AI) 기반 혁신을 본격화하고 있다. 최근 미국 새너제이에서 개최된 GTC에서 엔비디아는 데이터세트, 시뮬레이션 플랫폼, 블루프린트, 파운데이션 모델, 산업 협업 등을 통해 물리 세계와 디지털 세계를 연결하는 전략을 선보였다. 특히 디지털 트윈 기반의 시뮬레이션, 대규모 합성 데이터 활용, AI 모델 사전 학습과 검증 가속화 등을 통해 기존 산업의 디지털 전환 속도를 비약적으로 끌어올리고 있다. 핵심 기술 중 하나는 ‘엔비디아 아이작 GR00T N1’이다. 이는 일반화된 추론과 작업 수행이 가능한 세계 최초의 맞춤형 휴머노이드 로봇용 파운데이션 모델이다. 인간의 직관과 논리를 반영한 이중 사고 구조를 바탕으로 반복적이고 복잡한 작업을 자율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훈련하기 위해 개발된 블루프린트와 뉴턴(Newton) 물리 엔진은 최소한의 시연만으로도 수십만 건의 조작 데이터를 합성 생성하는 데 활용된다. 실제로 GR00T N1은 11시간 만에 약 78만 개의 경로 데이터를 생산했으며,
엣지 AI 활용 위한 세 가지 주요 솔루션 공개해 인텔이 엣지 AI의 발전을 가속화하기 위해 새로운 ‘인텔 AI 엣지 시스템’, ‘엣지 AI 스위트’, ‘오픈 엣지 플랫폼’ 이니셔티브를 발표했다. 이번 발표는 소매, 제조, 스마트 시티,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AI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이다. 댄 로드리게즈 인텔 엣지 컴퓨팅 그룹 총괄 부사장은 “기업들은 총소유비용(TCO), 전력 및 성능 목표를 달성하면서 기존 인프라에서 AI를 확장하는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며 “인텔은 오랜 엣지 컴퓨팅 경험을 바탕으로 AI 엣지 시스템과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제공해 파트너들이 보다 빠르고 효과적으로 AI 기반 솔루션을 시장에 출시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고 밝혔다. AI 기술이 기업 혁신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으면서 엣지 컴퓨팅의 역할이 확대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가트너는 올해 말까지 기업에서 관리하는 데이터의 절반이 데이터 센터나 클라우드가 아닌 엣지 환경에서 처리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2026년까지 전체 엣지 컴퓨팅 배포의 절반 이상이 머신러닝 기술을 포함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엣지 AI는 기존
산업 자동화 및 제어 분야의 글로벌 리더인 요꼬가와가 AI 기반 운영 우수성 플랫폼 공급업체인 UptimeAI와 전략적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을 통해 요꼬가와는 UptimeAI에 대한 자본 투자를 단행하며, 산업 플랜트의 자산 성과 관리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AI 솔루션을 공동 개발할 예정이다. 두 회사는 UptimeAI의 AI 기반 플랫폼을 요꼬가와의 ‘OpreX Asset Health Insights’ 서비스와 통합하여 제공할 계획이다. 이 통합 솔루션은 석유 및 가스, 화학, 시멘트, 전력 및 재생 에너지 산업에 적용되며, 공장 운영의 신뢰성과 유지 관리 효율성을 최적화하는 강력한 접근 방식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협업을 통해 요꼬가와는 OpreX Asset Health Insights의 OT/IT 데이터 활성화 기능과 UptimeAI의 핵심 기술을 결합한 통합 솔루션을 출시할 예정이다. 이 솔루션에는 △고급 LLM 기반 AI 에이전트 △주제 지식 △자체 학습 워크플로 △유지 보수 분석 △산업 자산 라이브러리 모델 등이 포함된다. 이를 통해 플랜트 운영자는 보다 정확한 예측 분석, 근본 원인 분석, 자동화된 학습 프로세스를 활용할 수 있으
EV 그룹(EVG)이 300mm 웨이퍼 기반의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제조를 위한 차세대 GEMINI 자동화 생산 웨이퍼 본딩 시스템을 선보였다. 이번 신형 GEMINI 플랫폼은 대형 웨이퍼에서의 본딩 품질과 수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새롭게 설계된 고압 본딩 챔버를 적용했다. EVG는 이미 여러 주요 MEMS 제조업체에 해당 장비를 공급한 상태다. 시장조사업체 욜 그룹에 따르면, MEMS 시장은 2023년 146억 달러에서 2029년 20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성장은 스마트워치, 무선 이어폰(TWS) 및 기타 웨어러블 기기에 사용되는 관성 센서, 마이크로폰, 차세대 MEMS 디바이스(마이크로 스피커 포함) 수요 증가가 주도하고 있다. MEMS 디바이스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되거나 진공 상태에서만 작동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이를 위해 유테틱(Eutectic) 본딩, 천이 액상(TLP, Transient-Liquid-Phase) 본딩, 열압착(TC, Thermo-compression) 본딩 등 금속 기반 웨이퍼 본딩 기술이 핵심 공정으로 자리 잡고 있다. 최근 MEMS 제조업체들은 시장
키엔스코리아(KEYENCE Korea)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AI 기반 바코드 리더기 ‘SR-X 시리즈’와 초광시야·초심도 물류 코드 리더기 ‘SR-5000 시리즈’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키엔스코리아는 산업 및 물류 자동화 분야에서 코드 판독의 정확성을 극대화하는 AI 기반 바코드 리더기 솔루션을 공개하며 다양한 공정과 물류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소개했다. SR-X 시리즈 AI 바코드 리더기는 기존 모델 대비 체적을 72% 줄인 초소형 설계로 다양한 생산 공정에서 공간 제약 없이 설치할 수 있다. AI 및 최신 디코더를 탑재하여, 공정을 거치며 변화하는 코드 상태에도 유연하게 대응하며 안정적인 판독 성능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전공정부터 후공정까지 코드 상태 변화를 실시간으로 학습하여 생산성과 정확도를 동시에 향
세솔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고중량 화물을 다루는 산업 현장과 정밀 작업이 필요한 환경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패널PC 모델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세솔은 산업 자동화와 스마트팩토리 구현을 지원하는 패널PC 솔루션을 공개하며 다양한 산업 환경에서 최적의 성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된 제품을 선보였다. 특히, 고중량 화물을 다루는 현장에 적합한 패널PC와 정밀한 조작이 필요한 작업 환경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패널PC 모델을 각각 소개하며 고객 맞춤형 솔루션을 강조했다. 이번 전시에서는 고성능 엣지 컴퓨팅 시스템 ‘TANK-880-Q370’도 함께 선보였다. TANK-880-Q370은 산업 4.0 시대에 최적화된 엣지 서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고성능 컴퓨팅 시스템으로 생산 라인의 운영을 보다 스마트하게 지원할 수 있도록 설
Zongwei Overseas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지능형 마그네틱 리니어 컨베이어 시스템 ‘sTrak®’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Zongwei Overseas는 이번 전시에서 sTrak®을 차세대 산업 자동화를 위한 핵심 솔루션으로 소개하며 기존 컨베이어 시스템을 대체할 수 있는 고속·고정밀 스마트 물류 이동 솔루션을 공개했다. sTrak®은 최대 속도 5m/s, 최대 가속도 10G, 반복 정밀도 ±5μm를 제공하여 기존 컨베이어 시스템 대비 생산 효율과 정밀도를 극대화한 솔루션이다. 이를 통해 고속 조립, 정밀 가공, 반도체 및 전자 제조, 스마트팩토리 등의 분야에서 최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각 트롤리 또는 영역별로 개별적인 강성을 설정할 수 있어 프로세스 요구 사항에 따라 유연한 생산이 가능하며 작업 공정의
던커모터 코리아(Dunkermotor Korea)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Servo Tube Linear 모터를 중심으로 한 고성능 리니어 모터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던커모터 코리아는 electromagnetic direct drive 방식의 tubular linear 모터인 Servo Tube Linear 모터를 공개하며 리니어 모션 시스템이 필요한 다양한 산업군에 적용할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을 소개했다. 리니어 모터는 기계식 감속기나 스핀들과 같은 중간 연결이 필요하지 않아 빠른 속도를 요구하는 어플리케이션에 최적화된 솔루션이다. 고속·고정밀 동작이 필요한 산업 자동화, 의료 장비, 실험실 및 시험 장비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하다. Servo Tube Linear 모터는 기존의 리니어 시스템 대비 높은 반응
한강에프에이(Hangang FA)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고정밀 유성감속기(SPX-B, KPX-B 시리즈)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한강에프에이는 높은 정밀도와 안정성을 갖춘 SPX-B, KPX-B 시리즈 유성감속기를 전시하며 스마트팩토리 및 정밀 자동화 설비를 위한 최적의 솔루션을 제시했다. 유성감속기는 로봇, CNC 장비, 산업용 자동화 시스템 등에서 정밀한 구동을 지원하는 핵심 부품으로 고효율·저소음 설계가 특징이다. SPX-B, KPX-B 시리즈는 고효율 구동 및 저소음 제어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최적화된 관성 모멘트를 제공하여 다양한 산업 환경에서 최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전체 서비스에 대해 무상 유지보수를 제공하며 고객 맞춤형 옵션을 지원한다. 한편, AW 2025은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