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2021년까지 10개 분야 5,100여종의 신규 데이터 공급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22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데이터 생태계 조성과 혁신 성장의 기반 마련을 위한 '빅데이터 플랫폼 및 센터' 출범식 행사를 개최했다. 빅데이터 센터는 공공과 민간이 협업해 활용도 높은 양질의 데이터를 생산·구축하고, 플랫폼은 이를 수집·분석·유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22일 '빅데이터 플랫폼 및 센터' 출범식 행사를 개최했다.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과기정통부는 분야별 플랫폼 10개소와 이와 연계된 기관별 센터 100개소를 구축하는데 3년간 총 1,516억 원을 투입할 계획이며, 올해는 640억 원 규모의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 3월부터 사업공모 절차를 거쳐 10개 빅데이터 플랫폼과 72개 빅데이터 센터를 최종 선정했다. 선정된 10개의 빅데이터 플랫폼은 금융, 환경, 문화, 교통, 헬스케어, 유통ㆍ소비, 통신, 중소기업, 지역경제, 산림 분야다. 현재는 1차 공모에서 선정된 72개 센터 외에 28개의 추가 센터 선정을 위한 2차 공모를 8월 8일까지 진행한다. 선정된 센터는 향후 분야별
[첨단 헬로티] “현장 센서에서 AI 활용까지 스마트 팩토리를 위한 SI 역량 다 갖췄다.” 이삭엔지니어링 빅데이터센터의 신승국 부장은 빅데이터센터 개소와 함께 OT와 IT 부분에서의 도메인 놀리지를 기반으로 업무 전문가를 영입하면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조 현장의 라인에서부터 인공지능을 활용한 예측까지 모든 과정에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고 말한다. 지난 5월, 서울 강남에 둥지를 튼 빅데이터센터는 제조업을 둘러싼 시장 환경의 변화 속도에 맞춰 현장의 요구에 대한 최적의 방안을 찾아내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OT와 IT를 접목한 비즈니스를 제대로 해보겠다는 이삭엔지니어링의 의지가 담긴 대목이라고 할 수 있다. 빅데이터센터의 운영 계획과 비전은 무엇인지 신승국 부장에게 들어봤다. ▲ 이삭엔지니어링 빅데이터센터 신승국 부장 Q. 스마트 팩토리 구현을 위한 국내 빅데이터 활용 기술은 어디까지 왔다고 보나. A. 스마트 팩토리 구현을 위하여 필요한 개별의 기술들은 모두 있다고 생각한다. 문제는 기술로만 존재하고, 현장에 응용되어서 실제 활용하기까지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센서와 수집된 데이터를 보관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