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사)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는 지난 26일(월) 첨단빌딩 3층 세미나룸에서 2019 세무 및 법정의무 교육 세미나를 개최했다. 법정의무교육은 고용노동부에서 안전한 근무 환경을 조성하고, 노동자들의 기본 자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5인 이상의 근로자를 상시고용하는 기업, 협회, 법인, 공공기관 등의 사업장에 의무교육을 실시하도록 정한 교육 과정이다.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는 지난 26일(월) 첨단빌딩 3층 세미나룸에서 2019 세무 및 법정의무 교육 세미나를 개최했다. 법정의무교육은 작년부터 장애인인식개선교육이 신설됐으며, 관리감독도 한층 철저해졌다. 또한, 기업구성원 개인별 직접 교육에 참여해 교육을 실시했는지 여부 등을 꼼꼼히 관리하고 있다. 당일 세미나에서는 두 차례 발표가 진행됐다. 첫 번째 시간은 삼일노무법인 변완석 대표노무사가 '최근 변화된 노동관계법과 최저임금 이슈'라는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변 노무사는 2018년 가장 많은 변화가 있었던 노동관계법 개정사항에 대해 전반적으로 살피며, 2019년 이슈인 직장 내 괴롭힘 금지 제도의 실시, 개정된 채용 절차법의 내용과 해고 예고의 적용 예외사유에 대해 발표했다. 이어
[첨단 헬로티] 첨단 원격기술교육원은 법정의무교육인 근로자 정기안전보건교육, 성희롱 예방교육, 개인정보 보호교육, 직장 내 장애인 인식 개선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성희롱 예방교육은 건강한 직장문화 형성을 위한 법정의무교육이다. 이 예방교육은 성희롱 예방에 관한 기본 개념 및 관련 법률 학습과 업무현장 및 생활에서 이를 준수할 수 있도록 돕는다. ▲첨단 원격기술교육원은 법정의무교육인 근로자 정기안전보건교육, 성희롱 예방교육 등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사례를 통해 직·간접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구체적 행동방법을 알려줄 뿐 아니라 성희롱 없는 건강한 일터를 만들기 위해 직장 내 근로자가 필수적으로 들어야 하는 교육과정이다. 학습대상은 모든 사업장의 근로자다. 성희롱 예방교육은 성희롱 예방 및 관련 법률, 성희롱 유형과 대처방안, 성희롱 처리 절차와 조치기준, 성희롱 피자의 고충상담과 구제절차의 내용으로 구성돼있다. 수강 신청자는 예방교육을 통해 성희롱의 유형과 대처 방안을 제시할 수 있으며, 직장 내 성희롱 피해 근로자의 고충상담과 구제절차에 대하여 제안할 수 있게 된다. 첨단 원격기술교육원 관계자는 "수강생은 콘텐츠에 제시된 내용
[첨단 헬로티] 고용노동부는 산업안전 보건교육, 개인정보 보호교육, 성희롱 예방교육을 3대 법정의무교육으로 지정했다. 올바른 직장문화를 정착하고 각종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지정된 이 교육은 1년에 필수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교육이다. 산업안전 보건교육은 산업안전보건법 31조에 따라 상시근로자 5인 이상 사업장의 근로자는 매분기마다 수료해야 한다. 개인정보 보호교육 역시 개인정보보호법 28조에 따라 모든 사업장과 기관은 1년에 1회 이상 실시해야 하고, 정보통신망법이 적용되는 사업장이나 기관에서는 1년에 2회 이상 실시해야 한다. 성희롱 예방교육의 경우에는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13조에 의해 사업주 및 근로자를 대상으로 매년 1회 이상 실시해야 한다. 하지만 3대 법정의무교육은 직장인의 원활한 업무에 오히려 방해가 되고 있다는 의견이 많다. 직장인을 위해 만든 교육이 이들의 발목을 잡고 있는 것이다. 끊이지 않는 산업현장 사고로 불안한 국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2017년 한 해 동안 산업재해를 입은 노동자는 8만 9,848명이었다. 이 중 964명이 업무상 사고로 목숨을 잃었다. 매일 240여 명이 부상을 입고 3명이 사망
[첨단 헬로티] 사고1) 지난 해 4월 인천광역시의 한 황동가루 생산 작업장에서 황동가루 마대를 걸고 운반하던 지게차가 무게중심을 잃고 전복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운전자는 지게차의 헤드가드와 작업장 바닥 사이에 머리가 끼어 사망하였다. 화물 적재 시 한 쪽 포크에 편하중이 발생했던 것이 가장 큰 원인이지만 운전자가 좌석안전띠를 착용했더라면 사망에까지 이르지는 않았을 것이다. ▲<사진 출처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홈페이지> 사고 2) 지난 1월 프레스 작업장에서 작업자의 머리가 프레스 사이에 끼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작업자는 프레스에서 발생하는 이상 소음을 확인하기 위해 프레스를 정지시킨 후 금형 안쪽으로 상체를 숙이고 확인했으나 다른 작업자가 실수로 작동 버튼을 눌렀고, 결국 이 같은 사고가 발생한 것. 작업자는 병원에 후송하던 중 목숨을 잃었다. 이 사고는 정비작업 중 운전, 안전블록 미사용이 직접적인 원인이다. 하지만 근본적인 원인은 위험성평가 실시하지 않고, 프레스 작업에 대한 안전보건교육을 받지 않은 것이다. ▲<사진 출처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홈페이지> 이처럼 제조 현장, 소규모 작업장, 건설 현장 등의 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