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이동재 기자 | 한·뉴질랜드 공동연구팀이 독성은 줄이고 세포 친화적일 뿐만 아니라 물성을 향상시킨 바이오잉크를 개발해, 대(大)체적의 장기를 제작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IT융합공학과·기계공학과 장진아 교수, 기계공학과 김현지 박사, IT융합공학과 강병민 씨 연구팀은 뉴질랜드 오타고대학 쿤 림 교수, 스티븐 쿠이 박사 연구팀과 공동으로 임상에 적용할 수 있는 광 개시가 가능한 탈세포화 세포외 기질1 바이오잉크를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 바이오잉크란 3D/4D 프린팅을 통해 체내 조직이나 장기를 만들 때 사용되는 소재다. 세포를 보호해 프린팅 후 세포 생존을 유지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바이오프린팅 기술의 핵심이다. 지금까지 연구된 바이오잉크는 체내 세포외 기질의 특이적 성분 중 일부만을 가질 뿐 세포에 체내와 유사한 환경을 제공하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바이오잉크의 프린팅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UV 광 개시제를 이용하거나, 다른 물질과 섞어야 했다. UV 광 개시제는 독성을 가지기도 하지만, 급진적인 화학반응으로 체내 활성 산소를 만들어 세포에 유해한 한계점을 지닌다. 또한, 다른 물질과 섞는 경우,
[헬로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이하 과기정통부)는 6월 5일(금) 호주 산업혁신과학부, 뉴질랜드 기업혁신고용부와 ‘제10차 한국·호주·뉴질랜드(KANZ) 정보통신협의체 회의를 화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에는 과기정통부 정희권 국제협력관과 호주 산업과학에너지자원부(DISER) 나렐리 루세티(Narelle Luchetti) 디지털경제기술정책국장, 뉴질랜드 기업혁신고용부(MBIE) 로빈 헨더슨(Robyn Henderson) 경제개발정책국장이 수석대표를 맡았으며, 3국의 정보통신기술(ICT)·정책 관계자 등 총 20여 명이 참석했다.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한·호·뉴(KANZ) 정보통신협의체 회의는 2003년 한국과 호주 간의 행사로 시작됐고, 2005년 뉴질랜드가 참여하여 현재와 같은 3국간 회의로 발전했다. 올해 열린 10차 회의는 4차 산업혁명을 견인할 5G, 인공지능, 디지털변혁, 규제 샌드박스 등 핵심기술과 제도 등에 대해 각국의 정책방향을 교류하는 자리가 되었다. 먼저, 5G기반 신산업 육성과 민간주도 시장활성화를 위한 공공분야 선도투자 및 민간투자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