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년 대비 올해 체감 경기 [헬로티] 중소기업중앙회가 전국 소상공인 518명을 대상으로 ‘소상공인 2016년 경영실태 및 2017년 전망조사’를 실시한 결과, 75.9%의 소상공인들이 작년에 비해 올해 체감경기가 악화됐다고 응답했으며, 경영수지 또한 72.6%가 악화됐다고 응답했다. 이는 작년도 조사 결과인 55.2%의 소상공인들이 2016년 경영상황이 악화될 것이라고 예상한 것보다 훨씬 높은 수치이며, 경영수지 또한 악화됐다고 응답한 비율보다도 높다. 경영수지가 악화된 이유로는 판매부진, 소상공인 간 경쟁심화, 국내․외 정국혼란 등을 이유로 꼽았다. 소상공인 4곳 중 1곳이 올해 직원을 채용했고, 내년 채용계획이 있는 소상공인은 올해보다 줄어든 22.2%로 나타났다. 노후준비가 되어 있다는 소상공인은 19.1%에 불과했고, 필요성을 느끼고 준비할 계획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도 25.1%에 그쳐 절반 이상이 노후준비 여력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내년 경영상황 전망에 대해서는 악화될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66.2%에 달해 호전될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의 원인으로는 소비심리 위축 및 판매부진
▲ 최근 경영상황 악화 이유 (단위 : %) [헬로티] 중소기업중앙회가 273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하반기 중소기업 실물동향을 점검한 결과, 끝이 보이지 않는 내수침체로 인해 중소기업 경기는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반기에 비해 최근 전반적인 경영상황이 ‘악화되었다’는 중소기업은 44.6%에 달했고, ‘개선되었다’고 응답한 곳은 26.6%에 그쳤다. 상반기에도 중소기업의 절반인 47.5%은 1년 전에 비해 경영상황이 악화되었다고 응답하였는데, 이번 조사에 따르면 상반기에 비해서도 경영상황이 더욱 악화된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중소기업의 경영상황이 악화된 원인은 ‘내수불황 장기화’가 압도적이었다. 이미 상반기에도 ‘내수불황 장기화’는 61.9%의 높은 응답률을 보였으나, 하반기에는 70.8%까지 응답률이 치솟았다. 중소기업의 대다수인 81.7%가 이같은 경영위기 상황이 2년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 지속된 내수침체에 따른 매출하락에서 비롯된 경영상황 악화가 단기간에 해소되기 어려운 상태인 것으로 해석된다. 중소기업들은 경영상 가장 큰 고민으로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