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총회서 글로벌 해양조약 각국 서명과 비준 시작…미국 포함 주요 국가 서명 의지 밝혀 글로벌 해양조약이 9월 20일 유엔 총회에서 서명을 위해 공개됐다. 이 시점부터 글로벌 해양조약에 각국의 서명과 비준이 가능해진다. 전 세계 바다의 61%를 차지하는 공해는 천연 탄소흡수원으로, 지구의 탄소 순환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후위기 완화를 돕는 공해는 생물학적으로 큰 가치를 지니며 인류에게도 매우 중요하지만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된 공해는 단 1%에 불과했고, 공해를 보호할 수 있는 통합적 규제가 없어 무분별한 해양 파괴행위가 횡행했다. 글로벌 해양조약은 2030년까지 공해의 30% 이상을 보호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법적 토대를 마련하며, 공해의 해양생태계 보호에 방점을 둔 최초의 조약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글로벌 해양조약이 발효가 되기 위해서는 최소 60개국의 비준 절차가 남아있으며, 비준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각국에서 조약을 국내법으로 성문화하는 절차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번 유엔총회에서 조약에 각국 서명이 시작되며, 이후 각국 비준 참여가 가능해진다. 이미 미국, 유럽연합, 독일, 시에라리온, 뉴질랜드는 글로벌 해양조약에 서명하기로 공개적으로
“2040년까지 플라스틱 오염 끝내기 위해 HAC에 가입된 한국 역할 중요해” 기후변화센터가 8일 환경부와 외교부, 산업부에 국제 플라스틱 협약을 위한 국내외 기후·환경 시민단체 9곳의 입장이 담긴 의견서를 전달했다고 밝혔다. 각국 정부는 해양 환경을 포함한 플라스틱 오염에 관한 법적 구속력 있는 국제협약 성안을 위해 총 다섯 차례의 정부간협상위원회 회의(INC)를 진행하며, 오는 11월 케냐 나이로비에서 세 번째 회의(INC-3)가 개최될 예정이다. 이에 각 정부는 INC-3에 앞서 9월 15일까지 각국의 의견을 담은 서면 의견서를 제출해야 한다. 이번 시민단체 의견은 정부가 제출할 서면 의견서에 국내외 시민단체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시민단체 주요 의견으로는, HAC 구성원으로서 대한민국이 플라스틱 오염 종식을 위한 국제사회 대응을 이끌어 갈 수 있는 주요 원칙 7가지와 플라스틱의 생애 주기 전반을 통틀어 감축 목표 설정, 불필요한 플라스틱 감축 및 금지, 플라스틱에서 유발된 유해성 물질 저감 목표 설정, 자원순환 정책 강화 및 모니터링 체계 구축, 환경적으로 건전하지 않은 폐플라스틱 처리 기술에의 의존 및 투자 지양의 내용을 담고 있
토요타 등 일본 3대업체 최하위…"2030년까지 내연차 판매중단 선언해야"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의 세계 10대 자동차회사 친환경 평가에서 현대기아차가 지난해보다 한 단계 낮은 5위를 기록했다. 그린피스 동아시아 사무소는 8일 이런 내용이 담긴 '2022년 글로벌 10대 자동차회사 친환경 평가 보고서'를 발표했다. 전 세계 자동차 판매량 기준 상위 10대 자동차 회사인 토요타, 폭스바겐, 현대기아차, 스텔란티스, 제너럴모터스(GM), 혼다, 포드, 닛산, 르노, 메르세데스 벤츠 등이 평가 대상에 포함됐다. 그린피스는 ▲ 내연기관차 생산 중단 및 전기차 전환 ▲ 부품 공급망 탈탄소화 ▲ 자원 지속가능성 ▲ 문제점 등 4개 부문에서 친환경 실적과 계획을 평가한 뒤 종합 평점을 매겼다. 친환경 종합 평점은 GM이 38.5점을 얻어 지난해에 이어 1위를 차지했다. 메르세데스 벤츠(37.0), 폭스바겐(33.3), 포드(23.5) 등이 그 뒤를 이었다. 현대기아차는 총점 22.3점을 얻어 지난해 4위에서 올해는 5위로 한 단계 낮게 평가됐다. 현대기아차는 내연기관차 판매 중단 항목에서 77점 만점 중 11.85점을 얻는 데 그쳤고, 공급망 탈탄소화와 자원 지속가능성 항
[첨단 헬로티] 한국이 화석연료에 의존하는 에너지 산업구조를 재생에너지로 100% 전환하면 일자리가 증가할 것이란 연구 결과가 나왔다. 19일 그린피스가 공개한 스탠퍼드·UC버클리대학 공동연구팀의 ‘한국에서 그린뉴딜 에너지 정책이 전력공급 안정화와 비용, 일자리, 건강, 기후에 미칠 영향’ 보고서는 한국이 2050년까지 재생에너지로 100% 전환할 경우 일자리 144만개 이상이 순증한다고 분석했다. ▲ 그린피스는 한국이 에너지 산업구조를 재생에너지로 100% 전환하면 일자리가 증가할 것이란 연구결과가 나왔다고 밝혔다. 이 연구팀은 미국 에너지정보국(U.S. EIA)의 전 세계 에너지 수요 예측치에 기초해 6개 에너지 분야에서 기존 7개 연료에 대한 2050년 수요를 예측했다. 이후 에너지 생산·소비 체계를 100% 재생에너지로 전환할 때 에너지 수요와 국민 건강(보건)·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계량화하는 방식으로 사회 전 분야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추산했다. 보고서는 전력, 건물 냉난방, 전력 생산·저장·공급(transmission) 산업 등에서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클 것
[첨단 헬로티] 애플이 전자기기 생산으로 야기되는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100% 재활용된 자원만을 제품 생산에 사용한다고 20일 밝혔다. 이에 대해 글로벌 비영리 단체 그린피스의 IT 분야 선임 분석가 개리 쿡은 “애플의 야심찬 100% 재활용 자원 사용 선언은, 자원의 효율적 사용 및 폐기물 감축이 얼마나 시급한 IT 업계의 과제인지 보여준다. 애플의 이번 결정은 수질 및 토양을 심각하게 오염시키는 금속 채굴을 줄이고 전자기기 재활용 비율을 높이는데 직접적인 도움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 그린피스는 애플의 이번 선언은 자원 낭비를 부추기는 생산 방식에서 벗어나 폐기된 자원을 다시 사용하는 자원 순환형 생산방식을 시도하는 첫 걸음이라는 점에서 환영할 만하다고 평가했다. 삼성, LG, 마이크로소프트와 같은 IT기업들 역시 재활용 원료(주로 플라스틱) 사용을 점진적으로 늘리고 있지만 그 비율은 미미한 수준이라고 덧붙였다. 이현숙 그린피스 동아시아 선임 글로벌 캠페니어는 “특히 애플의 이번 선언은 삼성전자가 갤럭시노트7 430만대에 대한 재활용 및 재사용 방침을 발표한지 한달이 지나지 않은 시점에서 나온 것으로, 삼성전자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