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로봇용 모터 생산 인프라 및 대량 양산체제 구축 성공 뉴로메카는 자체 모터 생산 라인을 구축하고, 대량 양산화 체제를 갖추게 됐다고 25일 전했다. 이번에 대량 양산체제가 완성된 모터는 주로 제조 및 로봇용으로, 분할 고정자 코어 타입을 적용해 코일의 점적률을 높인 후 단위 면적당 토크를 상승시켜 고성능 모터로 활용한다. 또 높은 코일 점적률은 모터 온도 상승도 막아 효율 및 내구성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모터는 해당 과정을 거쳐 소형화·효율·정밀·응답성 등 특징을 가진다. 뉴로메카는 사전에 각 형태 로봇 및 요구 용량에 맞춘 실증을 진행했고, 세분화된 라인업을 개발했다. 이를 통해 지난 8월부터 뉴로메카 포항지사에서 본격 양산이 시작됐다. 한편, 뉴로메카는 내달 11일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하는 ‘2023 로보월드’에 참가해 로봇 솔루션을 공개할 예정이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성일기공이 오는 2023년 3월 8일부터 10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3, 이하 SF+AW 2023)’에 참가한다. 성일기공은 이번 전시회에서 정밀 자동화 설비용 부품인 '커플링'을 소개한다. '고성능 디스크 커플링(SAD Series), '고정밀 디스크 커플링(SCD Series)', '방진고무 커플링(SHR Series)'가 성일기공의 소개 대상 제품이다. SAD Series는 성일기공의 베스트셀러다. 스테디셀러인 SD Series에 비해 토크 전달력과 강성이 높은 디스크 커플이다. SCD Series는 특수 지그를 통해 조립해 양쪽 축경간에 동심이 완벽에 가까운 디스크 커플링이라는 게 성일기공의 설명이다. SHR Series는 탁월한 방진 특성이 있고 내구성이 뛰어나 공진 및 진동 이슈가 있는 시스템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한다. 모터의 안정화 시간을 단축해 장비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기능도 포함돼 있다. 한편,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3(Smart Factory+AutomationWorld 2023)는 3월 8일부터 10일까지 코엑스 전관을 사용
ETRI, 벽 너머의 피해자 생체신호도 감지하는 고정밀 기술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화재·폭발·붕괴 등 실내 재난현장에서 소방관을 도와 효과적으로 인명을 구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국내 연구진은 레이더 센서 기반의 인명탐지 시스템을 개발하고, 현장 적응을 위한 시제품 제작과 리빙랩 실증 테스트를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기술을 통해 신속하고 안전한 인명궂를 지원해 효율적인 재난재해 대응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화재 등 재난현장은 어둠과 연기·분진 등 소방대원의 시야를 제한하는 요소가 많고 화재현장의 구조를 정확히 알 수 없어 피해자의 효율적인 인명구조가 어렵다. 연구진은 센서 반도체기술을 활용해 재난현장에서 소방대원의 헬멧이나 휴대하는 기기 형태로 만들어 시야 한계를 극복하고 피해자의 호흡과 심장박동 등 생체신호를 탐지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진은 전파가 가지는 투과성능을 이용해 재난현장 장애물 뒤의 상황과 피해자 존재를 파악할 수 있어, 신속·정확한 인명구조와 소방대원의 안전 보장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연구진은 인명탐지 시스템 구축을 위해 두 가지 방식의 레이더 센서 반도체를 개발했다. ETRI가 처음 개발한 임
[헬로티] 정확한 위치 정보를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솔루션으로 UWB 기술이 부상하고 있다. 특히 UWB와 블루투스 LE를 결합하면, 탁월한 위치 측정 성능은 물론, 블루투스 LE의 저전력 특성에 가까운 낮은 전력소모를 달성할 수 있는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기고 최수철 노르딕 세미컨덕터 코리아 지사장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UWB, 정밀 위치 확인의 핵심 기술 전 세계를 위협하는 코로나 19가 발생하기 이전에는 실시간 위치 서비스, 즉 RTLS(Real Time Location Service) 기술은 초기 개발 단계에 불과했다. 또한, 3차원으로 위치를 확인하고, 보고하는 장치를 지원하는 블루투스 LE(Bluetooth Low Energy)의 방향 탐지 기능과 같은 무선 기술도 한창 개발 중이었다. 실제로 RTLS 시장의 잠재력은 무궁무진하다. 물류 회사들이 거대한 창고에 보관된 물건을 센티미터 수준의 정확도로 위치를 즉시 확인하고 보고할 수 있다면,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위치확인 서비스는 크게 확산되지 못했다. 이전의 위기와 마찬가지로 세계적인 전염병 대유행은 혁신을 촉진시키는 계기가 되고 있다. 예를 들어, 바
▲ 산업용 멀티 노점 트랜스미터 HTX40 시리즈 [첨단 헬로티] 환경계측 및 냉동공조 분야 컨트롤러 전문 업체인 주식회사 (주)두텍(대표이사 최득남)에서 고정밀 멀티 노점 트랜스미터 2종을 출시했다. 이번 신제품은 각각 높은 정밀도와 장기 안정성을 갖춘 제품들로써 단순 노점온도 측정 기능의 기존 제품들과 차별화된 모델이다. 산업용 멀티 노점 트랜스미터 HTX40 시리즈는 넓은 범위의 노점온도 측정이 가능하며, 메탈 커넥터를 이용해 설치가 간편하다. 특히 제품 안정성과 결로 방지 기능 면에서 최고의 기술력과 생산성을 인정받고 있다. 다른 신제품은 고압 노점 트랜스미터 HTX48 시리즈이다. 결로 없는 산업용 센서로 16bar 압력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고 각 환경에 맞는 다양한 사이즈의 커넥터를 손쉽게 설치 가능하다. ▲ 고압 노점 트랜스미터 HTX48 시리즈 신제품 2종은 모두 RS485/Modbus RTU 통신 기능을 접목해 통신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현장 내 활용성을 극대화했다는 점에서 주목할만하다. 더불어 냉동고, 식품 산업 모니터링, 공장, 클린룸, 건조공정 등 광범위하게 적용 가능하다. 한편, (주)두텍은 앞으로도 기본 기능을 강화한 경제형 제품과
[첨단 헬로티] 고성능 센서 솔루션 기업 ams(한국지사 대표 이종덕)에서 -20°C ~ +10°C의 온도 범위에서 뛰어난 측정 정확도를 제공하는 디지털 온도 센서 IC 신제품 AS6200C를 출시했다. AS6200C는 냉장저장시설의 냉장고 및 데이터 로거 설계자가 매우 까다로운 시스템 레벨 정확도 목표를 쉽게 충족할 수 있도록 탁월한 성능을 제공한다. AS6200C의 측정 성능은 신선식품용 냉장설비들이 통상적으로 운용되는 -20°C~+10°C의 온도 범위에서 ±0.2°C의 오차 수준을 나타낼 정도로 매우 정확하며, 1.8V~3.6V의 입력 전압 범위에 걸쳐 정확한 센서 측정 성능을 보장한다. 온도 제어와 온도 로깅 애플리케이션에서, 총 오류 한계값은 다양한 요소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측정 지점에서의 오류를 최소화한다면 설계자는 예컨대 보드 실장형 부품들로 인해 발생하는 열 등의 다른 오류들이나 잡음 소스들을 위한 오류 마진을 확보할 수가 있다. 정확도가 높은 AS6200C를 사용함으로써, 설계자는 총 오류 한계값을 특정 수준 이하로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시스템 설계의 다른 요소들을 변경할 수 있는 유연성
[헬로티] MEMS 및 아날로그 반도체 전문기업이자 메가칩스 코포레이션(MegaChips Corporation)의 자회사인 싸이타임 코포레이션(SiTime Corporation)은 SuperTCXO(Temperature Compensated Oscillator, 온도보상 오실레이터)와 엘리트 플랫폼(Elite Platform)을 출시했다. 이들 정밀 디바이스는 텔레콤 및 네트워킹 장비 분야에서 오래된 과제인 타이밍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됐다. 엘리트 플랫폼을 활용해 통신 장비들은 스트레스 요인이 있는 환경에서도 최상의 성능과 안정성,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을 제공할 수 있다. 싸이타임의 고정밀 MEMS 오실레이터는 ▲스몰셀(Small Cells), 마이크로웨이브 백홀(Microwave Backhaul), 동기식 이더넷 및 광학 장비 등을 위한 30배 더 높은 동적 성능 제공 ▲10배 향상된 1ppb/°C 의 동적 안정성으로 IEEE 1588 애플리케이션에서 고가의 OCXO 대체 ▲20배 뛰어난 진동내구성 으로 연속적인 시스템 동작 보장 ▲10/40/100G 이더넷에 30배 향상된 신뢰성 제공 ▲-40°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