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아 A팀 로봇이 쓰러졌습니다. 심판 카운트 들어갑니다. 네, A팀 로봇 다시 일어섰습니다. 지금, A팀 로봇이 승기를 잡으려면 B팀 로봇과 간격을 두며 큰 움직임 없이 펀치를 날려야 합니다. 남은 배터리도 생각해야 하거든요.” 땡땡땡. UFC 경기를 연상케 하는 로봇 격투 경기가 펼쳐졌다. 지난 10월 10일부터 4일간 킨텍스에서 열린 ‘2018 로보월드’에서 진행된 국제 로봇 콘테스트에서는 로봇들로 대결하는 각종 스포츠 경기가 진행됐다. 그중 격투 경기는 많은 관람객의 응원을 받는 인기 종목 중 하나였다. 경기는 우리가 흔히 아는 UFC보단 K1과 가까웠다. 타격과 넘어뜨리는 등의 기술은 가능했지만, 넘어졌을 때 공격하는 그라운드 기술은 허용되지 않았다. 다만, 로봇이 넘어지면 심판은 바로 카운트를 셌고, 시간 안에 로봇이 일어나지 못하면 그대로 경기는 종료됐다. 참가자들은 경기에 출전하기 위해 로봇을 직접 만들었다. 모양은 비슷했지만, 만든 기술에 따라 주특기 기술이 달랐고, 넘어졌을 때 일어서는 속도도 달랐다. 무엇보다 승리를 위해 필요한 내구성도 차이가 났다. 로봇의 경기였기 때문에 배터리도
[첨단 헬로티] 미래 로봇 박사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2018 로보월드’에서는 초등학교 학생들부터 대학생까지 로봇전문가라 불리는 학생들이 직접 만든 로봇으로 서로 경쟁하고, 뜨거운 승부를 나눴다. 지난 10월 10일부터 4일간 킨텍스에서 개최한 로보월드에는 ‘2018 국제로봇콘테스트’가 부대행사로 진행됐다. 이 자리에서 학생들은 직접 로봇을 만들고, 만든 로봇끼리 농구와 격투, 씨름 등의 스포츠로 경쟁했다. ▲ 2018 로보월드의 부대행사로 국제로봇콘테스트가 개최했다. <사진 : 김동원 기자> 행사장 한편에서는 로봇을 만드는 학생들의 손이 분주했다. 직접 손으로 로봇을 설계하는 학생들이 있었고, 의견을 나누는 학생들의 모습도 보였다. 필리핀 등 외국 학생들도 서로 의견을 나누며 로봇을 만들고 있었다. ▲ 학생들이 로봇을 제작하며 제대로 작동하는지 시연해보고 있다. <사진 : 김동원 기자> 한 고등학생은 “어렸을 때부터 장난감 로봇을 조립하는 것을 좋아했다”며 “직접 로봇을 만들어 경쟁할 생각에 설렌다. 과연 이 로봇이 내 마음처럼 움직일지가 미지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