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장의 미래상 담은 BUTECH 2025, 제조업 '퀀텀 점프' 시작점...여기서 '터졌다' ‘스마트 제조, 미래 혁신의 꿈’을 슬로건으로 한 ‘제12회 부산국제기계대전(BUTECH 2025)’이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소재 전시장 벡스코(BEXCO)에서 성황리에 진행됐다. 올해 BUTECH는 단순한 산업·공장 자동화(FA) 분야 전시 콘셉트를 넘어, 인공지능(AI)·로보틱스·디지털트윈(Digital Twin)·머신러닝·비전 등 제조업의 판도를 뒤집을 ‘게임 체인저(Game Changer)’ 기술들이 총출동했다. 이를 기반으로, 혁신 전략과 경쟁력 확보 방안 등 국내 제조업이 나아갈 길을 제시한 현장이었다. 국내 제조 경쟁력을 한 단계 도약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된 이번 BUTECH 2025. 과연 각 분야 혁신·유망 참가업체는 어떤 기술·솔루션으로 참관객의 이목을 사로잡았을까? 이번 <헬로즈업> 특별 기획에서는 대한민국 제조업 ‘퀀텀 점프(Quantum Jump)’의 핵심 기술을 자세히 조망한다. [레이저·적층제조·가공기술] 차세대 기술이 주도하는 초정밀 제조 시대 이번 BUTECH 2025는 단순한 가공을 넘어선 초정밀 제조의 미래를 선명하게 보여줬
설계·엔지니어링·가공 최적화 신기능 담아...중장비·기계·설비 설계 효율↑ 지더블유캐드코리아(이하 지더블유캐드)가 설계 시뮬레이션 기술을 통합한 3D 기반 소프트웨어 ‘ZW3D’의 신규 버전을 공개했다. ZW3D는 컴퓨터지원설계(CAD), 컴퓨터지원제조(CAM), 컴퓨터응용해석(CAE) 등 컴퓨터 설계 솔루션을 한데 모은 플랫폼으로, 이번 신버전은 각종 분야의 설계·엔지니어링·가공 등 공정에서 활약할 것으로 전망된다. ZW3D 2025에 이식된 3D CAD 기능은 중장비·기계·설비 등 약 15만 개의 부품으로 구성된 복잡·정밀한 환경을 3D로 표현하는 ‘디스플레이 렌더링 처리’ 효율을 극대화했다. 아울러 이번에 구축된 신규 설계 환경인 ‘모션 시뮬레이션’을 통해 설계 데이터 기반 동적 구동력을 파악하고, 요소 간 상관관계 분석이 가능하다. 이 과정에서 새롭게 추가된 애니메이션 타임라인 탭을 활용해 시간에 따른 모델링 구동 표현을 정밀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 밖에 단축키, 빠른 실행 도구, 숏컷 기능, 2D 도면 시트 등을 추가·개선했고, 설계 모델의 재질·물리 수치 등 정보를 UI(User Interface)에 통합한 점도 이번 신버전의 특징이다. 이어 3
PI는 정밀 운동 제어 시스템, 나노 포지셔닝 기술을 기반으로 광학 산업을 이끌고 있는 글로벌 선도 기업이다. PI코리아는 2011년에 설립돼 국내 기업, 대학교, 연구소 등에 우수한 품질의 PI 포지셔닝 시스템과 고객이 요구하는 맞춤 드라이브 솔루션을 제공하며 기술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광학 산업에서 레이저는 절삭, 용접, 가공, 측정 등에 사용되면서 고정밀 가공 필요한 부품 제조에 필수적인 기술이다. 오늘날 레이저는 생산 공정을 더욱 최적화하고 높은 작업물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다양한 산업 응용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XY 평면에서 레이저 빔의 고주파 진동을 통해 레이저 가공 공정은 크게 개선될 수 있다. 레이저 가공 공정은 평면에서의 빠른 모션뿐만 아니라 작업물 내 빔 에너지의 빠른 능동 수직 위치 변화를 요구한다. 예를 들어 두꺼운 판금의 레이저 빔 절단 시 사용 가능한 공급 속도를 더욱 높이거나 레이저 빔 용접 시 용접 심 품질 및 공정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새로운 Z축 포커스 시프터 모듈을 사용하면 빔 축 방향으로 역동적인 이동에 의해 XY 가공면에서 기존 방식과 2-D 빔 조작을 확장할 수 있어 가공 속도를 높이고 가공 품질을 향상시
제26회 국제금형 및 관련기기전(INTERMOLD KOREA 2023, 이하 인터몰드 코리아)이 지난 3월 일산 킨텍스 제1전시장(1~5홀)에서 개최됐다. 금형·부품·소재를 비롯해 공구류, 금형가공 공작기계 및 설비, 금속가공·절삭기계, CAD/CAM/CAE, 3D 프린터 및 관련기기, 정밀측정 및 검사기기, 사출기기, 프레스기, 자동화기기, 기계 부품 및 소모품, 성형기계 및 제품에 이르기까지 금형 관련 제품이 한 자리에 망라됐다. 두비즈는 인터몰드 2023 개최 전 웨비나를 통해 전시회에서 주목해야 하는 주요 제품과 솔루션을 미리 살펴보는 시간을 마련했다. 글로벌 선도업체인 자이스, 크레아폼, 헥사곤이 제안하는 정밀측정 검사기기, CAD/CAM/CAE 분야의 동향 및 바이어스 가이드를 확인한다. 주제 : 디지털 포징 3D 프린팅 솔루션 - CFRP (연속 섬유 복합 소재 ) 3D 프린팅 - 차세대 양산급 바인터 젯 3D 금속 프린터 - 지능형 적층 제조 플랫폼 SW : 파이버 복합 소재 시뮬레이션 SW 및 실시간 품질 관리 블랙 스미스 SW 발표 : 마크포지드 - 백소령 지사장 헬로티 최재규 기자 |
건솔루션이 ‘2022 로보월드’에서 절삭가공 분야에 특화된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선보였다. 2022 로보월드는 10월 26일부터 29일까지 일산 킨텍스 제1전시장 1~3홀에서 열리는 국제로봇산업대전은 산업통상자원부 주최, 한국로봇산업협회와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제어·로봇·시스템학회 공동 주관으로 12개국 227개 사가 702부스 규모로 개최됐다. 건솔루션은 ‘OT와 IT 기술 융합력’을 바탕으로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이끌고 있는 기업이다. 국제표준기술에 건솔루션 자체 기술을 적용해 한국형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수출하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 건솔루션은 스마트 제조업을 위한 솔루션과 머신텐딩을 선보였다. 머신텐딩이란 금속 가공 기계, 플라스틱 사출 기계 등 기계류에서 소재 및 가공물을 투입하고 가공된 반제품과 완성품을 꺼내어 다음 공정으로 이동하는 자동화 공정이다. 머신텐딩은 로봇을 이용한 로딩/언로딩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으로 머신텐딩 시스템에 프로브(Probe)와 Gr-BOX를 접목해서 다품종 소량생산에도 자동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됐다. 건솔루션의 스마트공장 구축 시스템인 FACON은 Gx-MES, G-CAP, OMV+, 머신텐딩, G-DFM, Renishaw P
연세암병원, 서울성모병원 등에 의료데이터 전처리 솔루션 ‘메디라벨’ 공급 빛 수요기관별 과제 공동 수행 인그래디언트가 공급기업으로 참여한 AI가공 분야의 5개 과제가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의 ‘2022년 데이터바우처 지원사업’ 매칭심사를 거쳐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데이터바우처 사업은 수요기업의 데이터 활용 목적에 따라 공급기업에 필요한 데이터 구매 또는 가공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하는 제도다. AI가공 분야 수요 기업은 6월부터 11월까지 6개월간 최대 7000만원을 바우처로 지원받을 수 있다. 인그래디언트 수요기업으로 선정된 병원 및 기업은 연세암병원, 서울성모병원 등이다. 수요 병원 및 기업들은 데이터바우처 지원사업 기간 동안 인그래디언트가 자체 개발한 데이터라벨링 솔루션 ‘메디라벨’을 공급받아 최종 선정된 과제를 수행하게 된다. ‘메디라벨’은 딥러닝 AI를 활용해 인공지능 학습에 필요한 의료 데이터를 빠르고 정확하게 가공할 수 있는 데이터 전처리 솔루션으로, 기존 대비 라벨링 속도 10배, 정확도 2배 수준을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미세한 크기의 염증, 결절 등 인식하기 어려운 병변의 세그멘테이션까지 할 수 있도록 도와줘 의료 연구진
동양마그닉스가 생산제조기술 전시회 ‘SIMTOS 2022'에서 브라더의 SPEEDIO 시리즈를 선보였다. 브라더의 SPEEDIO 시리즈는 공정의 효율 최적화를 위해 ‘낭비 없는 가공’을 목표로 한다. 이번 전시회에서 와이드한 이송량, 고강성, Pallet Changer 탑재된 콤팩트 머시닝 센터 제품과 소형 멀티태스킹 설비로 구성된 SPEEDIO 시리즈를 선보였다. R450X2은 15,000대 이상의 실적을 자랑하는 브라더 고유의 고속 2면 Pallet Changer인 ‘QT 테이블’이 장착된 제품이다. 컬럼 이송 장비에 적합한 새로운 22툴 마가진을 탑재하면서 생산 효율을 높여준다. QT테이블은 리프트업 동작을 하지 않고 고속 Pallet 교환과 밀폐구조에 의한 고신뢰성을 실현한 기술이다. 한쪽 Pallet의 위크는 다른 Pallet의 워크를 가공하는 동안 교환할 수 있 교환시간의 낭비가 없는 논스톱 가공이 가능하다. 또한 지그영역을 확장해 폭넓은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대응력을 향상했고, 브라더 고유의 NC 컨트롤러를 탑재해 기전 일체 개발 사용 편의성을 높혔다. M200X3과 M300X3의 특징은 하나의 기계에서 공정을 통합했다는 것이다. 이전에 선반과 머
[헬로티] 오사카 토모마사(大坂 智將),안자이 마사히로(安齋 正博) 芝浦공업대학 대학원 카지 아츠미(梶 溫美) 凸版인쇄(주) 1. 서론 현재 여러 가지 플라스틱 제품이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되고 있다. 소비자 요구의 다양화에 의해 최근의 제품은 다품종 소량 생산이 요구되고 있다. 사출성형에 사용되는 금형을 제작하는 전단계로서, 시제작품 제작이나 간이 금형에 의한 시험 블랭킹이 일반적으로 이루어진다. 최근 이 간이 금형의 인서트를 3D프린터에 의해 수지 재료로 제작하는 기술이 있다. 그것에 의해 가공 시간이 대폭으로 단축되고, 또한 사양이나 설계의 변경도 용이해지며 코스트 절감으로도 이어진다. 또한 플라스틱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금형을 제작한 후 그것을 이용해 성형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제품에 고부가가치를 부여하기 위해 표면 장식가공에 의해 이것을 실현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표면 장식을 함으로써 새로운 가공 공정이 필요해지고, 하나의 제품에 소요되는 코스트나 시간이 증대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3D프린터를 이용해 여러 가지 종류의 수지 재료로 간이 금형의 인서트를 제작,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는 기초 연구를 해 텍스처 시트를 인서
[헬로티] 토노사키 카즈야(外崎 和也) ㈜牧野후라이스제작소 1. 서론 최근 시장을 둘러싼 환경 변화에 의해 금형의 대형화와 보다 고정도로 금형을 제작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대형 금형을 효율적으로 가공하기 위해서는 평일 야간이나 휴일 등에도 이용한 자동화에 의한 장시간 연속 운전이 매우 중요하다. 이 글에서는 자동화에 의한 장시간 가공을 실현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기계에 측정기를 설치해 워크를 측정하는 기상 측정 및 동사의 IoT 대응에 대해 소개한다. 2. 고정도 가공을 실현하는 기계 안정된 가공 정도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기계 본체의 연구가 중요하다. 고정도 와이어 방전가공기 ‘UP6 H.E.A.T.’(그림 1)은 높은 기계 강성에 의해 자세 변위를 최소한으로 억제, X축, Y축의 스트로크가 650mm×470mm로 비교적 큼에도 불구하고 장기간에 걸쳐 안정된 가공 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기계 구조물 내부에 온도 관리된 가공액을 순환시킴으로써 (절대온도 제어) 장시간의 가공에서도 열변위의 영향을 받지 않고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3. 기상 측정 동사에서는 자동화를 근거로 한 제안으로서 기상에서 가공 후의 워크
[첨단 헬로티] CNC 시뮬레이션 및 가공 소프트웨어 VERICUT을 개발, 판매하는 씨지텍이 삼성전자 베트남 생산법인에 생산성 향상 솔루션 베리컷 포스(VERICUT FORCE)를 공급한다고 밝혔다. ▲베리컷 포스 FORCE는, 가공 조건을 분석해 가공 시간을 단축하고 생산 공정을 최적화하는 데 도움을 주는 소프트웨어로, 가공 에러와 충돌을 제거하는 VERICUT 시뮬레이션과 FORCE를 함께 사용하면, 안전하면서도 최적의 가공 속도를 유지해 생산성 향상에 도움이 된다. FORCE는 절삭 공구에 최적인 최대 칩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돼 가공시간을 단축하고 공구비를 절감한다. 또한, 난삭재·정밀·다축 가공에 적합해 밀링, 선반, 밀·턴 가공을 완벽하게 분석해 처음부터 정확하게 가공할 수 있다. 베트남 현지에서 금형 CNC 가공 프로그램을 최적화해 가공 시간 단축 성과를 직접 입증한 씨지텍 임재영 대표는 “부품 개당 단축되는 가공 시간은 짧지만 연 2억 대의 스마트폰을 가공하는 베트남 가공 법인의 생산량으로 볼 때 VERICUT FORCE는 도입과 동시에 투자 이상의 가치를 증명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
[첨단 헬로티] 토요시마 나오키(豊島 直樹) 日進공구(주) 최근 자동차의 자동 운전 기술이나 스마트폰 등은 점점 더 고기능화 수요가 높아져, 구성하는 부품의 미세 정밀화와 고정도화가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이들 부품을 양산하기 위한 여러 가지 금형도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금형재의 고경도화와 고정도화 등이 추진되고 있다. 또한, 생산성 향상 대응의 일환으로서 가급적 사람이 개입하지 않는 가공 기술 등도 요구되고 있다. 동사에서는 여러 가지 요구에 대응하는 공구로서 고정도화, 미세화에 대응하는 동전극 가공용 엔드밀과 초경합금, 고경도 담금질강 등에 대한 경면가공이 가능한 PCD 볼 엔드밀을 개발, 가공 기술에 대해서도 연구를 거듭해왔다. 이 글에서는 이들 엔드밀 및 가공 사례와 경면가공의 절삭가공 기술에 대해 소개한다. 동전극 가공용 롱 넥 엔드밀 시리즈 1. 동전극 가공용 엔드밀의 특징 동전극 가공 전용으로서 스퀘어 DHR237, 볼 DRB230, 라디우스 DHR237R의 3타입(그림 1)을 개발했다. 모두 고애스펙트비의 전극을 생각해 롱 넥 형상을 채용하고 있다. 이하에 특징을 나타냈다. ① 버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예리한 날끝 형상. ②
[첨단 헬로티] 가오 펭(高 峰) 서일본공업대학 1. 서론 절삭가공이나 연삭가공 등의 기계가공을 할 때에 바이스로 피가공 재료를 고정할 필요가 있다. 1개씩 가공하는 것보다 여러 개의 워크(중간 가공품과 초기 상태의 재료를 포함)를 동시에 바이스로 고정, 1회의 가공을 하는 것은 효율적이다. 한편 보통의 바이스를 사용하는 경우, 여러 개의 워크를 동시 고정하는 것은 고체 간의 작은 치수차에 의한 체결력의 편차가 발생해 불량품의 발생이나 가공 중에 워크 어긋남의 위험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번 개발은 여러 개의 동일 규격의 워크를 1개의 바이스로 고정해 가공할 때에 작은 치수의 차이를 흡수하는 플로팅 바이스의 구조를 제안했다. 이 글에서는 그 구조와 동작 원리를 해설하고, 시제작품을 이용한 동작 확인과 평가의 평가를 보고한다. 2. 보통의 바이스로 고정하는 체결 방법과 문제점 (1) 보통 바이스의 체결 방법 밀링이나 머시닝센터, 연마기 등의 가공기를 이용해 부품을 가공할 때에 워크의 고정에는 끼우기 턱이 있는 지그인 바이스를 사용한다. 보통의 시판 바이스의 구조는 대부분 나사식으로, 회전운동을 직선 이동으로 변환해 평행하는 2개의
[첨단 헬로티] 니시다 이사무 (西田 勇), 시라세 케이이치 (白瀨 敬一) 神戶대학 1. 서론 엔드밀 가공을 대상으로 형상해석 및 절삭량의 예측이 가능한 절삭 시뮬레이션을 통합한 CAM 소프트웨어를 개발했다. 이 소프트웨어는 공구경로의 생성과 동시에 절삭 시뮬레이션을 실현하기 때문에 저 메모리, 그리고 고속으로 처리가 가능한 시뮬레이션 기술을 새롭게 제안하고 있다. 이 소프트웨어에 의해 가공 결과를 사전에 예측함으로써 세팅 작업(시절삭)의 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절삭량에 대응해 공구 이송 속도를 수정함으로써 가공 효율의 향상과 가공 트러블 방지를 동시에 실현할 수도 있다. 2. 절삭 시뮬레이터를 통합한 CAM 시스템 (1) 저 메모리, 그리고 고속 처리를 실현하는 외형선 모델에 의한 3차원 형상 처리 절삭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처리는 피삭재와 공구의 간섭량을 계산해 피삭재의 형상 변화를 해석하는 것 및 공구 1날당 이송량마다 제거량을 산출하는 것이다. 이전부터 피삭재 형상을 복셀 모델로 표현함으로써 피삭재와 공구의 간섭량을 산출하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왔다. 복셀 모델에서는 3차원 형상 전체를 이산적으로 표현할 수 있고, 복잡 형상의 가공에서도 공구와 피삭재
[첨단 헬로티] 이와타 치카 (岩田 知佳) 日進공구(주) 1. 서론 최근 흔하게 보는 인력 부족은 많은 기업에 영향을 초래하고 있다. 금형 제작 현장에서도 마찬가지로, 사람의 경험이나 감에 의존하는 부분이 많은 연마 공정을 가급적 줄이기 위해 절삭에서 경면가공에 대한 요구는 계속 높아지고 있다. 동사에서는 PCD 볼 엔드밀에 의한 경면가공을 제안하고 있는데, 실현에는 노하우가 필요하고 아직 과제가 남아 있는 상황이다. 이 글에서는 PCD 볼 엔드밀을 이용한 절삭가공에서, 경면성 향상에 유효한 대응을 소개한다. 2. 쿨런트에 의한 가공 면질의 차이 PCD 볼 엔드밀에 의한 경면가공에서 쿨런트가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그림 1에 나타낸 다면체 형상(피삭재 : STAVAX 52HRC)에서 쿨런트를 솔류블, 에멀전, 오일미스트, 불수용성 절삭유의 4종류를 이용해 비교 가공을 했다. 사용 공구와 절삭 조건은 표와 같다. 그림 1에 나타냈듯이 불수용성 절삭유 사용 시가 Ra 0.024µm로 면조도 값이 가장 작고, 솔류블 사용 시가 Ra 0.071µm로 면조도 값이 가장 커졌다. 수용성 절삭유(솔류블, 에멀전)의 사용 시에는 면조도 값이 커지
[첨단 헬로티] 스즈키 타케시 (鈴木 岳史) 日進공구(주) 1. 서론 금형가공에서 미세화, 정밀화가 진행됨에 따라 방전가공에 사용되는 전극도 고정도화가 요구된다. 그렇기 때문에 가공 정도의 편차를 억제하고 싶다, 버를 작게 하고 싶다 등의 요망을 많이 듣게 된다. 이에 동사에서는 동전극 가공에 특화해, 장시간에 걸쳐 고정도의 가공이 가능한 동전극 가공용 엔드밀을 시리즈화했다. 이 글에서는 그 공구의 특징과 공구를 사용한 절삭가공 사례를 소개한다. 2. 동전극 가공용 엔드밀 시리즈의 특징 동전극 가공용 엔드밀 시리즈에는 볼 형상의 DRB230, 스퀘어 형상의 DHR237, 래디우스 형상의 DHR237R을 라인업하고 있다. 각각의 외관을 그림 1에 나타냈다. 이들 공구에 공통된 특징으로서 공구의 코팅에는 DLC 코팅을 채용하고 있다. DLC 코팅은 마찰계수가 낮기 때문에 절삭칩의 흐름이 원활하고, 박막이기 때문에 성막 후도 샤프 에지를 유지할 수 있어 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막의 경도가 높기 때문에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장시간의 가공을 가능하게 한다. 또 다른 하나의 공통된 특징으로서 절삭성이 높은 점을 들 수 있다. 그림 2에 스퀘어 형상의 DH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