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이동재 기자 | 지난 7월 우리 정보통신기술(ICT) 수출이 195억달러를 기록하며 역대급 실적을 달성했다. 수입 113.2억달러, 무역수지는 81.7억달러 흑자로 잠정 집계됐다. 산업부에 따르면 ICT 수출액(195억달러)은 전년 동월 대비 30.2% 증가하며, 작년 6월 이후 14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4개월 연속 두 자리 증가다. 수출액 규모는 역대 7월 수출액 중 1위에 해당된다. 주요 품목별로는 반도체가 110.5억달러로, 38.8% 증가했다. 지속적인 수요 증가와 단가 상승 등으로 메모리(71.4억달러, 43.8%↑)와 시스템(33.4억달러, 35.8%↑)이 동반 상승하며, 3개월 연속 100억달러대를 기록했다. 디스플레이는 20.9억달러로, 34.9% 증가했다. 모바일·TV 등의 수요 확대에 따른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의 수출 호조세로 11개월 연속 증가세를 구현했다. 휴대폰은 9.6억달러로 1.2% 소폭 증가했다. 하반기 프리미엄 스마트폰 출시 등으로 완제품·부분품 동시 확대되며, 증가세로 전환됐다. 컴퓨터‧주변기기는 15.5억달러를 기록하며 28.3% 증가했다. 컴퓨터(2.1억달러, 4.5%↑)와 주변기기(13.4억달러, 3
[헬로티] ▲3월 정보통신기술 (ICT) 수출 현황.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가 올해 3월 정보통신기술(ICT)의 수출이 174.1억 달러, 수입 109.3억 달러, 무역수지는 64.9억 달러 흑자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다. 산업부에 따르면, ICT 수출액(174.1억 달러)은 전년동월대비 8.9% 증가하며, 작년 6월 이후로부터 10개월 연속 증가세를 유지했다. 일평균 수출(7.3억 달러)도 전년동월대비 8.9% 증가했다. 1분기 수출은 13.6%의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하며, 역대 1분기 중 2번째로 높은 수출 실적을 달성했다. 주요 지역별로 보면, 중국(홍콩포함, 7.7%↑), 미국(4.1%↑), 유럽연합(25.7%↑)등에서 수출이 증가했고, 베트남(3.8%↓), 일본(1.8%↓)에서는 감소했다. 품목별로는 반도체 수출이 95.7억 달러로, 전년동월대비 7.9% 증가했다. 견조한 수요 등으로 메모리(61.2억 달러, 8.2%↑)와 시스템(29.0억 달러, 9.3%↑) 반도체가 동반 상승하며 9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디스플레이 분야는 전년동월대비 2.9%
[헬로티] 반도체, 컴퓨터 및 주변기기 수출, 경제 회복세 이끌어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리나라 정보통신기술(이하 ICT) 수출이 코로나19 영향에도 불구하고, 전년대비 3.8% 증가하며 역대 3위에 해당하는 수출 실적을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작년 우리나라 ICT 수출이 1836억 달러, 수입은 1126억 달러, 수지는 710억 달러 흑자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다. 작년 상반기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세계 경제둔화, 글로벌 교역 감소 등 어려운 경제 상황이 지속되며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2.8% 감소했지만, 지난 6월부터 증가세로 돌아서며 7개월 연속 증가를 기록했다. 수출 증가는 반도체(1002.5억 달러, 5.4%↑), 컴퓨터 및 주변기기(139.1억 달러, 53.1%)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반도체는 비대면 경제 활성화로 인한 수요 확대, 5G 서비스 상용화 등에 따른 수요 회복으로 역대 2위 수출액을 달성했다. 작년 640억 달러 수출을 기록한 메모리 반도체는 2분기까지는 수출이 감소했으나 비대면 경제 활성화로 수요가 증가(데이터센터, 피씨 등)하며 전체적으로는 전년대비 1.5%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