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바이오사이언스(대표 진근우)가 글로벌 제약사에서 20년 이상 마케팅 전략을 이끌어온 이지은 신임 상무를 해외개발 및 전략마케팅 부문에 영입하며 글로벌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지은 상무는 중앙대 화학과와 연세대 경영전문대학원(MBA)을 졸업한 후 한미약품, 유유제약 등 국내 제약사와 한국노바티스, 한국먼디파마, 다케다제약 등 글로벌 기업에서 항암제, 희귀질환 치료제, 신제품 론칭 등 다양한 분야의 마케팅 전략을 담당해왔다. 특히, 다국적 제약사에서의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국내외 시장에서의 제품 포지셔닝 및 사업 개발 역량을 인정받아 왔다. 현대바이오는 이번 인사를 통해 항암플랫폼 기술과 항바이러스 제품의 상업화를 위한 글로벌 전략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이 상무는 해외 사업개발 및 마케팅 전략을 총괄하며 특히 미국, 유럽, 아시아 등 주요 시장에서의 제품 진출을 위한 현지 파트너십 구축과 마케팅 전략 수립에 주력할 예정이다. 현대바이오 관계자는 “이지은 상무의 영입으로 글로벌 제약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한층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며 “그동안 축적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현대바이오의 혁신적인 바이오 의약품이 해외 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도록 전략을 구축
현대바이오는 자사의 코로나19 치료제 후보물질인 CP-COV03를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긴급사용승인 신청을 위한 절차를 진행한다고 26일 밝혔다. 미국 등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 일본내 자사의 화장품 판매 합작법인인 비타브리드 재팬의 지분 137억원어치를 매각해 미국 등 글로벌 진출 자금을 미리 확보했다고 회사 측은 말했다. 현대바이오는 미국 현지에 전담 법인을 설립해 FDA에 CP-COV03의 긴급사용승인 신청 절차를 밟는 한편 원숭이두창 치료제로 패스트 트랙을 신청하는 방안도 모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코로나 치료제 등 신약을 개발하는 바이오나 제약기업이 미국 현지에 법인을 설립할 경우 미 정부의 정책자금 지원 대상으로도 선정될 수 있다. 일부 자금은 연내 호주에서 시작할 예정인 이른바 '무고통 항암제' 폴리탁셀의 글로벌 임상 자금으로 사용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회사 측은 FDA에 CP-COV03의 긴급사용승인 신청을 위한 사전준비 등을 위해 글로벌 CRO(임상시험수탁기관)인 I사와 컨설팅 계약을 금명간 맺기로 했다고 밝혔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현대바이오가 자사의 범용 항바이러스제 후보물질인 CP-COV03를 코로나19 치료제로 보건당국에 긴급사용승인을 신청하기 위한 행보에 속도를 올렸다. 22일 현대바이오에 따르면 CP-COV03를 코로나19 치료제(브랜드명 제프티)로 월 20만명분을 생산하기 위한 전용 제조설비 15대를 국내 H사에 발주 완료했다. 일부 설비는 이미 납품 받아 조립 중이다. 현대바이오는 이들 생산설비를 오는 10월 말까지 CP-COV03 위수탁생산 제약사에 모두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대바이오 관계자는 "CP-COV03를 코로나 치료제로 긴급사용승인을 신청하기 위해서는 대량생산체제가 미리 구축돼 있어야 한다"며 "전 세계를 대상으로 CP-COV03를 공급할 수 있도록 1차로 월 20만명분 생산설비를 발주했는데 상황을 봐가며 생산설비는 더 늘릴 수 있다"고 말했다. 현대바이오는 CP-COV03의 원활한 대량생산을 뒷받침하기 위해 주원료인 니클로사마이드와 산화마그네슘(MgO) 등의 확보도 진행중이다. 회사 측은 안정적 사전 확보가 필요한 산화마그네슘의 경우 월 84만명분인 4톤을 해외에서 구입 완료했다고 밝혔다. 니클로사마이드는 국내외 구입선을 이미 확보해둔 상태다. 현대바이오
현대바이오는 범용 항바이러스제 후보물질인 CP-COV03의 코로나 장기 후유증인 '롱코비드(Long COVID)'에 대한 유효성 평가를 위한 연구자 주도 임상에 들어간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임상은 한림대 동탄성심병원 감염내과 우흥정 교수와 함께 진행한다. 현대바이오가 개발한 CP-COV03는 니클로사마이드를 주성분으로 하며 코로나19 외에도 여러 바이러스 감염질환을 치료할 수 있도록 세계 제1호 범용 항바이러스제를 목표로 탄생한 신약 후보물질이다. 회사측은 롱코비드 환자를 대상으로 코로나19용 먹는 항바이러스제를 투여하는 임상이 이뤄지는 것은 세계 최초 사례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자 임상은 우 교수가 CP-COV03의 뛰어난 범용성과 혈중유효농도, 바이러스 제거 기전등에 주목해 현대바이오에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바이오는 연구자 임상에 필요한 임상시약 등 일체를 제공키로 했다. 우 교수는 연구자 임상에서 CP-COV03의 범용성을 토대로 기침, 전신쇠약, 숨참 등 롱코비드의 대표적인 증상에 중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우 교수는 "롱코비드에 뚜렷한 치료제가 없는 상황에서 체내 잔존 바이러스가 롱코비드의 원인일 수 있다는 설명을 뒷받침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