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원, 4개 중고거래앱 소비자 조사…번개장터·당근마켓 순 만족도 높아 앱을 이용한 중고거래 이용 경험자 중 24%가 피해 경험이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3일 한국소비자원이 최근 3개월 이내에 당근마켓과 번개장터, 중고나라, 헬로마켓(이상 가나다순) 이용 경험이 있는 10∼50대 소비자 115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이들 4개 앱의 종합만족도는 5점 기준에 평균 3.48점이었다. 이는 2020년 하반기 이후 소비자원이 조사한 10개 서비스 분야 46개 기업의 종합만족도가 평균 3.61점인 점을 고려할 때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이다. 사업자별 만족도는 번개장터가 3.63점으로 가장 높았고 이어 당근마켓(3.60점), 헬로마켓(3.48점), 중고나라(3.22점) 순이었다. 번개장터와 당근마켓 간 종합만족도 차이는 오차 범위 내였다. 부문별 만족도에서는 거래물품·거래정보 등 본원적 서비스에 대해 평가하는 '서비스 상품 만족도'가 평균 3.64점으로 가장 높았다. 반면 서비스 체험 만족도는 3.24점으로 가장 낮아 중고거래앱 사업자들의 개선 방안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서비스 품질 요인별로는 중고거래앱 메뉴 구성과 관련한 '효율성' 만족
[헬로티] 개인간 중고거래 플랫폼 헬로마켓(대표이사 이후국)은 2016년 서비스내 안전결제 서비스인 헬로페이 거래 건수가 전년대비 약 764%, 거래 금액은 673% 성장하는 성과를 거뒀다고 31일 밝혔다. 헬로페이는 헬로마켓 구매자가 1,000원만 부담하면 어느 중고물품이든 안전하게 거래할 수 있는 에스크로 서비스다. 회사측에 따르면 지난해 헬로마켓 연간 거래액은 2015년 대비 약 300% 성장했고 월 거래액도 100억원을 크게 상회했다는 것이 회사측 설명이다. 헬로마켓은 현재 누적 아이템 4,300만건(2017년 1월 기준)을 확보하고 있다. 2016년에만 2,900만건이 등록됐다고 회사측은 강조했다. 일 평균 앱 사용시간이 헬로마켓은 약 37분에 이른다고 덧붙였다. 헬로마켓 이후국 대표이사는 “세계적인 시장에서도 뒤지지 않는 기술력과 서비스로 국내시장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며 “2016년 회원들의 사랑에 힘입어 폭발적인 성장을 이루었으며, 2017년에는 안전성과 편리함을 더욱 발전시켜 세계 수준의 개인 간 거래 마켓을 만들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황치규 기자(delight@hello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