텍사스 인스트루먼트(TI)가 최근 발사된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인도우주연구기구(ISRO)의 합작 합성개구레이더(NISAR) 위성에 자사 반도체 기술을 공급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위성 발사는 십여 년간 이어온 양 기관과 TI의 협력 성과로, 지구 관측 임무에 필요한 전자 시스템 성능 최적화에 기여했다. NISAR에는 TI의 방사선 내성 강화 및 내방사선 제품이 탑재돼, 위성 시스템의 전력 밀도와 정밀도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ISRO에 따르면 NISAR는 세계 최초로 듀얼밴드 합성개구레이더(SAR) 기술을 적용한 지구 관측 위성으로, 낮과 밤, 다양한 기상 조건에서도 고해상도 이미지를 확보할 수 있다. TI의 반도체 기술은 효율적인 전력 관리, 고속 데이터 전송, 정밀 신호 샘플링과 타이밍을 지원해 위성의 차세대 기능을 구현한다. NISAR 위성은 12일 주기로 지구 전역을 촬영하며, 생태계, 빙하 질량, 식생 바이오매스, 해수면 상승, 지하수 변화 등 환경 변화를 정밀 분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진, 쓰나미, 화산, 산사태 등 자연재해 모니터링 능력도 강화될 전망이다. 닐레쉬 데사 ISRO 우주응용센터(SAC) 소장은 “TI는 제품
아이스아이(ICEYE)는 SAR(Synthetic-Aperture Radar: 합성개구레이더) 위성군에 신규 위성 2기를 추가로 발사했다고 24일 발표했다. 두 위성은 아이스아이의 최신 영상 촬영 기술을 활용해 25cm 고해상도 영상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이 위성들은 미국 캘리포니아 반덴버그 우주 기지에서 스페이스X(SpaceX)의 밴드웨건-2(Bandwagon-2)에 탑재되어 발사됐으며 엑소런치(Exolaunch)에 의해 궤도에 안착했다. 두 위성 모두 통신이 성공적으로 이뤄져 정상적인 초기 운영과정을 수행하고 있다. 이번 발사를 통해 아이스아이는 2018년 이후 총 40기의 위성을 궤도에 올리는 데 성공했으며, 2024년 한 해 동안만 9기의 위성을 발사했다. 새로 발사된 SAR 위성은 중간경사궤도에 안착했다. 중간경사궤도는 극궤도와 비교했을 때 중위도 지역(+/- 45도)에서 2배 이상의 영상 수집 기회를 제공한다. 중위도 지역에 관심이 높은 아이스아이 고객사는 해당 지역에서의 관측 빈도 증가에 따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반면 중위도 이외의 지역에서의 영상 촬영에 관심이 있는 고객사는 수십 개의 아이스아이 위성이 극궤도를 높은 빈도로 재방문하기에
美 반덴베르그 우주군 기지서 스페이스X 트랜스포터-9 활용...통신 설정 구축 지구 관측 및 자연재해 솔루션 업체 아이스아이(ICEYE)가 이달 11일 합성개구레이더(Synthetic-Aperture Radar 이하 SAR) 위성 네 개 기 발사에 성공했다고 알렸다. 이날 발사는 미국 캘리포니아 반덴베르그 우주군 기지(Vandenberg Space Force Base)에서 진행됐다. 이 과정에서 소형 위성 승차공유에 활용되는 스페이스X(SpaceX)사 트랜스포터-9(Transporter-9)이 활약했고, 현재 각 우주선 간 통신 설정이 완료된 상태다. 이번에 발사된 아이스아이 3세대 위성에는 50cm 지상 해상도 지구 영상 획득이 가능한 ‘스폿 파인(Spot Fine) 모드’, 실시간 지상 변화 감지 시스템 ‘드웰(Dwell) 모드’ 등 기존 아이스아이 위성영상 기능을 개선한 기술이 적용됐다. 라팔 모드르제브스키(Rafal Modrzewski) 아이스아이 공동 창립자 겸 CEO는 “아이스아이는 빠른 주기로 영상을 필요로 하는 고객의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탄력적인 위성군을 배치하고 있다”며 “이번 발사로 고객을 지원하기 위해 지속 기술 발전을 추구한 아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