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용 디스플레이, 10% 차지하는 잠재력 높은 시장"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는 17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 한국자동차연구원과 함께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파르나스에서 '미래차 디스플레이 전략협의체'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4개 기관은 향후 전략협의체를 통해 차량용 디스플레이 생태계 구축과 신시장 선점을 위한 산업 공급망 분석, 공동 연구개발(R&D) 과제 발굴, 산업 간 전시·포럼 협력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동욱 디스플레이산업협회 부회장은 "차량용 디스플레이는 전체 디스플레이 시장의 약 10%를 차지하는 잠재력 높은 시장"이라며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장이 새 성장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디스플레이산업협회에 따르면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장 규모는 올해 91억 달러에서 2029년 116억 달러로 커질 전망이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미 재무부 의견 수렴 기간에 업계 첫 서한 전달…"차별조항 삭제 요청" 국내 자동차 부품업계가 한국산 전기차의 세액 공제 혜택을 제외한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대한 우려를 미국 정부와 의회에 전달한다. 앞서 미 재무부는 지난달 5일부터 이달 4일까지 IRA 인센티브 하위규정에 관련된 의견을 수렴하기로 한 상태다. 현대모비스, 만도, 한온시스템 등 250여개 자동차 부품기업으로 구성된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KAICA)은 이달 4일 전기차 세제 혜택 규정에 대한 산업계 입장을 담은 서한을 미국 재무부, 상무부, 에너지부와 주요 상·하원 의원에게 전달한다고 3일 밝혔다. 국내 관련업계에서 이 기간에 미국 정부에 의견서를 전달하는 건 이번이 처음인 것으로 알려졌다. 조합은 서한에서 "IRA에 외국산을 차별하는 전기차 세제 혜택 규정이 포함된 것에 상당한 우려를 금치 못하고 있다"며 "코로나와 대내외 무역환경 급변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우리나라 부품 업계에 매우 큰 타격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주장했다. 이어 "세계적인 전기차 전환 시대의 흐름에 뒤처져 생태계마저 무너질까 우려가 크다"며 "미국 의회와 정부 부처에서 전기차 세액 공제 혜택이 미국의 동맹
[헬로티] "정부 발표 시의적절"…컨설팅 지원·전문가 인력 DB 구축 등 필요 향후 미래차 추진 정책은 내연기관 판매 금지와 같은 규제보다는 인센티브 위주의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자동차산업연합회는 지난달 1일 보도자료를 내고 "정부가 지난달 30일 제시한 미래차 확산과 시장 선점 전략이 충실히 이행될 수 있도록 관련 예산 확보, 제도 개선 등이 차질없이 진행돼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자동차산업연합회는 한국자동차산업협회와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 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 한국자동차연구원 등 자동차 산업 관련 6개 기관 연합체로, 작년 3월 발족했다. 연합회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인한 유동성 위기와 미래차로의 급격한 패러다임 변화에 직면한 국내 자동차산업의 미래 불확실성이 증대되는 상황에서 이번 정부 발표는 매우 시의적절한 조치"라고 환영의 뜻을 밝혔다. 사진. 이원희 현대자동차 사장이 30일 오전 현대자동차 울산공장에서 열린 '미래차 전략 토크쇼'에서 현대자동차그룹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출처: 연합뉴스) 앞서 정부는 지난달 30일 '2025년
[첨단 헬로티] 서보신 현대자동차 사장 '은탑', 남종승 남양텍스모 대표이사 '동탑' 수상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자동차산업협회 그리고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은 지난 10일(금)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국내외 자동차업계 관계자, 유관기관장 등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16회 자동차의 날 기념식'을 개최했다. 자동차의 날은 국가경제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큰 자동차산업 발전을 기념하기 위해 수출누계 1천만 대를 돌파한 1999년 5월 12일을 기념해 2004년도부터 매년 개최돼왔다. ▲지난 10일, 국내외 자동차업계 관계자 등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16회 자동차의 날 기념식'이 개최됐다. 이번에 16회째를 맞는 자동차의 날은 최근 자동차 생산, 수출 감소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완성차업체와 자동차부품업체, 그리고 자동차 관련 산학연 관계자가 함께 모여 자동차산업의 재도약을 결의하는 자리로 의미가 깊다. 기념식은 기념사(자동차산업협회 회장), 축사(산중위 위원장, 산업부 장관) 및 유공자 포상(산업부 장관 수여, 단상수상 33명) 순으로 진행된다. 성윤모 장관은 "전통적인 내연기관차에서 전기차, 자율주행차 등 미래차로 자동차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