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산업생산이 반도체의 선전에 힘입어 한 달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소매 판매도 코리아세일페스타(코세페) 등 대규모 할인 행사에 힘입어, 승용차 부문을 중심으로 9개월 만에 최대 폭으로 늘었다. 다만 설비투자는 두달째 감소하는 등 부문별로 회복 속도에 차이가 나는 모습이었다. 28일 통계청이 발표한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11월 전(全)산업 생산(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 지수는 111.6(2020년=100)으로 전월보다 0.5% 증가했다. 지난 10월 1.8% '마이너스'에서 벗어나 한 달 만에 '플러스'로 전환했다. 반등을 이끈 것은 제조업이었다. 11월 제조업 생산은 전월보다 3.3% 증가했다. 지난 8월(5.3%) 이후 가장 큰 증가 폭이다. 특히 반도체 생산이 D램과 플래시메모리 등 메모리 반도체의 생산 증가에 힘입어 12.8% 늘었다. 10월 12.6% 감소를 딛고 두 자릿수 증가 흐름을 회복했다. 웨이퍼 가공 장비와 반도체 조립 장비 등의 생산이 늘면서 기계 장비도 8.0% 증가했다. 광공업 생산의 증가율(3.3%) 중 반도체 생산과 반도체를 만드는 기계 장비 생산의 기여도가 3.2%포인트에 달할 정도로, 반도체가 생산 반등에 결정적인 기여를
[헬로티] 싸이프러스 반도체 인수로 메모리 솔루션 기술력을 강화한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는 수상 경력의 Semper NOR 플래시 메모리 플랫폼에 Semper Secure를 추가한다고 발표했다. Semper Secure는 Semper NOR 플래시의 현장 검증된 견고한 스마트 메모리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다. 단일 NOR 플래시 디바이스에 보안과 기능안전을 결합하여 최첨단 커넥티드카, 산업용 및 통신 시스템이 요구하는 보안과 안전, 신뢰성을 제공한다. 커넥티드 시스템의 확산으로 더욱 강화된 시스템 보안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Semper Secure NOR 플래시는 까다로운 요구사항을 충족하고 중요한 시스템 정보를 보호하는 신뢰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한다. NOR 플래시가 프로세서 외부에 배치되어 다양한 공격에 취약해지면서 보안 플래시 솔루션 채택이 특히 중요해지고 있다. Semper Secure는 하드웨어 RoT (root-of-trust) 역할을 하여 종단간 (end-to-end) 보호를 제공하는 유일한 NOR 플래시 솔루션이다. 또한 Semper Solution 개발 키트로 손쉽게 시스템 통합이 가능해 제품 출시 기간을 단축하고 총소유비용을 줄
[첨단 헬로티] 오늘날 새로운 셀룰러 인프라를 포함한 5G의 가파른 성장과, 점차 확대되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위한 네트워크 및 데이터 센터의 증가에 따라 개발자들은 운영체제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새로운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이런 시장 니즈에 따라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는 Soteria-G2 커스텀 펌웨어가 장착된 CEC1712 마이크로컨트롤러(MCU) 모델의 새로운 암호화 지원 마이크로컨트롤러(MCU)를 발표했다. 암호화 기능이 내장된 MCU 신제품은 외부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플래시 메모리에서 부팅되는 시스템을 위해 루트킷 및 부트킷 등 악성 멀웨어를 차단하도록 설계됐다. 모든 기능을 지원하는 CEC1712 Arm Cortex-M4 기반 MCU에 내재된 마이크로칩의 Soteria-G2 커스텀 펌웨어는 외부 SPI 플래시 메모리에서 부팅되는 운영체제를 위해 사전 부팅 모드에서 하드웨어 신뢰 루트 보호를 바탕으로 안전한 부팅을 제공한다. 또한, CEC1712는 키 폐기 및 코드 롤백 보호 기능을 지원해 제품 수명 보장 기간 동안 현장 보안 업데이트를 제공하며, NIST 800-193 가이드라인에 따라 전체 시스템 플
[헬로티] 대만 반도체 파운드리 회사인 TSMC(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와 IT위탁 생산이 주특기인 폭스콘이 도시바 메모리 사업 지분 인수를 위해 동맹을 맺은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어 매체인 리버티타임스가 7일 관련 내용을 보도했다. 폭스콘과의 협력을 통해 TSMC는 플래시 메모리 시장에서 삼성전자가 가진 리더십에 도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리버티타임스는 전했다. 양사는 3월 29일 도시바 반도체 사업 지분 매각을 위한 첫번째 입찰을 앞두고 문서 제출 작업을 준비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테리 구오(중국명 궈타이밍) 폭스콘 최고경영자는 최근 수십억달러를 투입해 중국 광조우에 짓는 디스플레이 공장 착공식 기념 연설에서 도시바 반도체 사업 인수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인도 매체인 이코노믹 타임스에 따르면 테리 구오 CEO는 도시바 반도체 사업 인수를 확신할 수는 없지만 나름 자신감을 담은 발언을 했다. 폭스콘은 메모리 사업 기반이 없기 때문에 도시바 사업 인수에 따른 반독점 이슈로부터도 자유롭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그는 도시바 반도체 사업 인수에 성공한다면 핵심 기술은 일본에 남겨놓으면서 중국에 새 공장을
▲ 고성능 융합메모리에 대한 요약 모식도 [헬로티] 한국과학기술연구원(KAIST)은 나노선의 5단 수직 적층 기술을 통해 D램과 플래시 메모리 동작이 동시에 가능한 융합메모리 반도체 소자를 개발했다. 이번 개발에 성공한 연구팀(전기 및 전자공학부 최양규 교수와 이병현 박사과정)은 빠른 속도를 지원하는 D램과 전력소모가 적은 플래시 메모리의 기능이 하나의 트랜지스터 안에서 동시에 동작하는 전면-게이트 실리콘 나노선 구조 기반의 융합 메모리 소자 개발을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트랜지스터의 소형화로 인한 메모리 소자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 해결을 위해 전면-게이트 실리콘 나노선을 수직으로 5단까지 쌓았다. 이러한 5단 수직 집적 실리콘 나노선 채널을 보유한 융합 메모리소자는 단일 나노선 기반의 메모리 소자와 대비해 5배의 향상된 성능을 보였다. 이 연구를 통해 시스템 레벨에서 칩 사이즈의 소형화 및 전력 효율의 개선, 패키징 공정 단순화를 통한 제작비용 절감 등이 가능하다. 시스템 안에서 칩 간의 간섭효과를 줄여줌으로써 시스템 전체 속도 향상에도 기여가 가능해 융합 메모리의 실효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수직 집적 나노선 구조는 말 그대로 위쪽으
프리미엄 UFD는 삼성전자가 처음으로 내놓은 UFD 제품으로서, 스크래치에 강한 메탈 디자인을 적용해 스타일리쉬한 외관뿐만 아니라 뛰어난 그립감과 터치감을 자랑한다. 독보적인 플래시메모리 기술과 안전기준을 적용해 기존 보급형 UFD 대비 한단계 높은 성능과 신뢰성을 확보했으며, 64GB UFD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HDD)보다 뛰어난 연속 읽기속도(130MB/s)를 구현했다. 또한 연속 쓰기속도도 45MB/s로서 대용량의 자료도 빠르게 저장할 수 있다. 김연주 기자 (npnted@hello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