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듀테크 기업 프리윌린이 아주대학교와 함께 국내 대학 최초로 학습관리시스템(LMS) 전 과목에 AI 기반 코스웨어를 통합하는 적응형 학습 플랫폼 구축에 나선다. 프리윌린은 20일 아주대학교와 ‘AALS(Ajou Adaptive Learning Square)’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는 글로벌 표준 LTI(Learning Tools Interoperability)를 활용해 AI 기반 학습 기능을 LMS에 직접 연동하는 첫 사례다. 이번에 구축되는 AALS는 학생 개개인의 학습 수준 차이를 줄이고 맞춤형 학습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AI 적응형 학습 체계다. 학생은 기존 LMS 환경에서 과목을 선택하면 AI 진단을 통해 학습 수준을 분석받고, 그 결과에 따라 필요한 보충학습 콘텐츠가 자동 추천된다. 평가 결과 역시 LMS로 즉시 연동돼 강의·학습·평가의 전 과정이 하나의 흐름으로 연결되는 구조가 마련된다. 이는 단일 과목 중심의 AI 활용을 넘어 ‘전 학과·전 과목 AI 학습 통합’이라는 국내 교육계 첫 모델이다. 아주대학교는 프리윌린의 대학 전문 AI 코스웨어 ‘풀리캠퍼스(PulleyCampus)’를 학교 LMS(Blackboard)에 연동
첫 공개되는 스쿨플랫 AI튜터, 문제 분석과 학습 확인 기능 탑재돼 프리윌린은 학교 맞춤형 수학 인공지능(AI) 코스웨어 ‘스쿨플랫’과 초중고 및 대학생 대상 AI 코스웨어 ‘풀리AI’가 ‘2024 에듀테크 코리아 페어(EdTech Korea Fair 2024)’에 참여해 새롭게 업데이트되는 AI 기반 에듀테크 기술을 선보인다고 20일 밝혔다. 교육부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는 2024 에듀테크 코리아 페어는 이달 23일부터 사흘간 코엑스 C홀에서 열린다. 올해 19회째를 맞는 이번 행사는 ‘AI가 이끄는 에듀테크의 미래’라는 주제로 진행되며 약 300개 기업과 기관이 500부스로 참여할 예정이다. 먼저, ‘학교 수업의 Next Level’이라는 슬로건으로 참여하는 스쿨플랫은 전시회를 통해 ‘스쿨플랫 AI 튜터’를 처음 선보인다. 첫 공개되는 스쿨플랫 AI튜터는 AI 튜터 문제 분석(학생용)과 AI 튜터 학습 확인(교사용) 기능이 탑재됐다. 학생용 AI 튜터는 학생의 문제 풀이 필기 내용을 분석해 풀이 과정을 가이드하고, 학생이 흥미를 잃지 않고 자기주도 학습이 가능하도록 구현한 것이 특징이다. 교사는 학생별로 AI 튜터의 사용을 제한 및 확인해 학생의 취약
에듀테크 스타트업 프리윌린이 프로덕트 고도화와 글로벌 시장 본격 진출을 위해 프리윌린의 첫 최고제품책임자(CPO)로 정용준 CPO를 영입했다고 밝혔다. 정용준 CPO는 다양한 프로덕트 경험을 바탕으로 자사 솔루션 '매쓰플랫'과 '풀리수학'의 서비스 강화 및 품질 향상에 주력할 예정이다. 특히 AI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해 개인 맞춤 학습을 실현하는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하고 풍부한 글로벌 시장 경험으로 글로벌 진출과 확장에도 힘쓸 예정이라고 회사 측은 전했다. 정 CPO는 연세대학교에서 사회학을 전공하고 LG유플러스, 삼성전자를 비롯해 네이버, 카카오, 번개장터 등에서 주요 서비스의 성장에 이바지했다. 최근 3년 동안은 커머스 분야에 새롭게 도전해 번개장터의 앱을 브랜드 중심으로 전면 개편, 번개장터를 국내 최대 패션 중고 플랫폼으로 자리잡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또한 카카오에서 부사장과 SNS 사업본부장을 역임하며 미국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인수해 인도네시아에 사업을 전개하고 총괄하는 최고상품책임자(Head of Product)로 근무했다. 네이버 포털전략팀에서는 핵심 서비스들에 대한 공적을 세웠으며 일본 현지에서 근무하며 국내 서비스의 글로벌 시장 진출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