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올, 2060세대 200명 대상 의료용 대마 인식조사 실시 질병 치료에 의료용 대마 사용 부문, 69% 긍정 의료용 대마(Hemp)에 함유된 칸나비디올(이하 CBD) 성분은 소아뇌전증·파킨슨병·알츠하이머 등 희귀질환 환자 치료에 유효하다고 알려져 있다. 현재 미국·캐나다·영국·호주·일본 등 전 세계 50여개 국이 의료용 대마를 합법화해 활용 중이다. 해당 배경에서 메타올이 우리나라 의료용 대마 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해당 조사 응답자 69%는 치료를 위한 의료용 대마 사용에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낸 것으로 조사됐다. 메타올은 설문조사기관 엔트러스트 서베이(Entrust Survey)에 의뢰해 우리나라 2060 성인남녀 200명을 대상으로 의료용 대마 인식조사에 나섰다. 질문 항목은 ‘의료용 대마 인지’와 ‘치료 목적의 의료용 대마 사용’ 등 두 가지다. 의료용 대마를 알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응답가 38.5%가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알지 못한다’ 26%, ‘보통이다’ 21%, ‘전혀 알지 못한다’ 14.5%가 뒤를 이었다. ‘질병 치료를 위한 의료용 대마 사용’을 묻는 질문에 응답자 58.5%는 ‘대체로 긍정적’이라고 답변했다. 이
헬로티 조상록 기자 | 헬스케어 전문기업 '라온즈'가 파킨슨 환자 보행 지원 기기인 '스마트 글라스'를 상용화했다. 스마트 글라스는 환자의 외부 활동에 필요한 보행 지원 장치로 외부의 도움 없이 보행을 가능하게 하는 지원기기다. 보행 패턴을 수집 분석하며 ‘보행 기능 향상’을 위해 시각적 패턴을 제공한다. 라온즈의 스마트 글라스는 식약처로부터 안정성과 기능성을 인정받았다. 현재 파킨슨병 치료제 시장에는 도파민 작용제와 항콜린제 등의 증상완화제는 있지만 근본 치료제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에 따르면 국내 파킨슨병 환자는 2016년 9만6,766명에서 지난해 11만1,313명으로 5년 새 15% 증가했다. 지난해 기준 전체 환자의 93%가 60세 이상 고령층이었다. 스마트글라스는 경북대학교병원 뇌신경센터에서의 임상 연구 결과, 파킨슨병 환자의 이동속도 및 보폭이 확연히 증가했다. 'See Through' 형태의 양안 렌즈로 AI, 상황인지, 컴퓨터비전 기술을 적용한 증강현실(AR)을 구현했으며 카메라를 통한 안구의 미세한 떨림을 분석하여 치매 진단이 가능하다. 라온즈 신상용 대표이사는 “스마트 글라스는 도파민 신경세포가 손상되어 보행 장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