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스택 연결 기술 제품군으로 AI 인프라에 특화한 맞춤형 연결 실현 파네시아가 AI 인프라 최적화를 위한 ‘링크솔루션(LinkSolution)’ 전 제품군을 공식 공개하며, 자사의 기술 철학과 브랜드 정체성을 본격화하고 있다. 이번 발표는 파네시아가 새롭게 개편한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됐으며, AI 인프라 설계 전반에 대한 통합적 접근을 제시하고 있다. 파네시아는 AI 시대를 맞아 GPU, AI 가속기, 메모리 등 다양한 연산 자원을 유연하게 연결하는 연결 반도체 분야에 주력해 왔다. 이번에 선보인 링크솔루션은 하드웨어, 반도체 설계자산(IP), 네트워크 구조, 소프트웨어까지 아우르는 풀스택 연결 기술 제품군으로, AI 인프라에 특화한 맞춤형 연결을 가능케 한다. 제품은 크게 세 가지 구성으로 나뉜다. 첫째, 하드웨어 분야에서는 스위치 SoC(PanSwitch)와 리타이머(PanRetimer)가 핵심이다. 스위치는 여러 AI 장치를 연결해 대규모 네트워크 구성을 지원하며, 리타이머는 장거리 신호 전송 시 신호 세기를 보정해 통신 품질을 유지한다. 이들은 모두 파네시아의 저지연 설계자산이 적용돼 통신 오버헤드를 줄이는 데 효과적이다. 둘째, 반도체 IP 분
단일 기업으로는 이례적으로 다섯 편의 논문 채택받아 파네시아가 차세대 반도체 및 연결 기술 연구 성과를 글로벌 저널 IEEE Micro에 게재하며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파네시아는 컴퓨터 아키텍처 분야 권위지로 꼽히는 IEEE Micro 5·6월호 특집호에 총 5편의 논문을 발표하며, CXL(Compute Express Link)과 인-스토리지 프로세싱을 중심으로 한 차세대 스토리지 아키텍처를 선보였다. 이번 특집호의 주제는 ‘캐시 일관성 보장 연결 기술 및 자원 분리(Cache Coherent Interconnects and Resource Disaggregation Techniques)’로, 마이크로소프트, IBM, 메타, 구글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이 최신 연구 성과를 공개한 가운데, 파네시아는 단일 기업으로는 이례적으로 다섯 편의 논문을 채택받아 존재감을 부각시켰다. 핵심 연구는 크게 세 가지 방향에서 진행됐다. 첫 번째는 CXL 기반 SSD(CXL-SSD)를 활용한 고성능 메모리 아키텍처 개발이다. 파네시아는 기존 SSD를 DRAM처럼 활용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고, 이를 최적화하기 위한 기술 두 가지를 함께 소개했다. 하나는 데이터 처리 방식에 대
CXL 3.x 스위치, CPU·GPU·NPU·메모리 등 다양한 장치를 자유롭게 연결 파네시아가 유럽 최대 슈퍼컴퓨팅 행사인 ‘ISC High Performance 2025(이하 ISC 2025)’에 처음으로 참가하며 CXL 3.x 기반의 고성능컴퓨팅(HPC) 풀 스택 솔루션을 선보였다. 행사 기간은 6월 10일부터 12일까지였으며, 독일 함부르크에서 전 세계 HPC 업계 전문가 30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파네시아는 이번 전시에서 자체 개발한 CXL 3.x 스위치와 CXL 설계자산(IP)을 적용한 컴포저블 서버를 공개했다. 이 솔루션의 특징은 연산자원(CPU, GPU)과 메모리 자원을 별도의 노드로 분리하고, 이들을 CXL 스위치를 통해 유연하게 구성할 수 있다는 점이다. 기존 HPC 시스템은 메모리 부족 시 연산 자원을 포함한 전체 서버 증설이 불가피해 자원 낭비 및 비용 부담이 컸다. 반면 파네시아의 컴포저블 서버는 필요한 자원만 선택적으로 추가할 수 있어 불필요한 연산 자원 구매를 방지하고 비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핵심 부품인 CXL 3.x 스위치는 CPU, GPU, NPU, 메모리 등 다양한 장치를 자유롭게 연결할 수 있으며, 멀티 레
칩렛 구조 채택한 반도체 SoC 개발에 먼저 집중할 것으로 보여 파네시아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이 추진하는 ‘AI 반도체를 활용한 K-클라우드 기술개발사업’의 핵심 과제를 다수 수주하며, 차세대 AI 인프라 기술 개발에 착수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과제는 급증하는 대규모 AI 서비스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인프라 기술 고도화를 목표로 한다. 파네시아는 자체 보유한 CXL(Compute Express Link) 기반 기술을 중심으로 LLM(대규모언어모델), RAG(검색증강생성) 등 고성능 AI 모델의 효율적 구동을 위한 인프라를 설계할 계획이다. 파네시아는 먼저 칩렛(Chiplet) 구조를 채택한 반도체 SoC(System on Chip) 개발에 나선다. 칩렛 기술은 메모리와 연산 자원을 유연하게 조합해 사용자 요구에 맞는 칩 구성이 가능하다. 기존 일체형 칩 설계 대비 기능 변경이나 확장이 용이하며, 메모리·연산 비율을 최적화해 불필요한 자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AI 인프라의 자원 활용률을 높이고, 맞춤형 확장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어 파네시아는 메모리 내부에서 연산을 수행하는 컴퓨테이셔널 메모리
조용진 파네시아 부사장, 행사에서 CXL 3.x 기반의 인프라 구축 사례와 응용 방향 제시 파네시아가 ‘CXL DevCon 2025’에서 고출력 CXL 3.x 스위치 기반 프레임워크를 선보이며 글로벌 기술 무대에서 존재감을 드러냈다. 파네시아는 올해 국내 기업 중 유일하게 해당 행사에 전시 기업으로 참여했다. 미국 캘리포니아 산타클라라에서 4월 29일부터 이틀간 열린 이번 행사는 CXL(Compute Express Link) 표준을 주도하는 CXL 컨소시엄이 주관하는 글로벌 컨퍼런스로, 케이던스, 텔레다인 르크로이 등 주요 회원사가 대거 참여해 차세대 고속 인터커넥트 기술을 선보였다. 파네시아가 이번에 선보인 고출력 CXL 3.x 스위치는 CPU, GPU, 메모리 등 다양한 장치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해주는 브릿지 역할을 수행한다. 고유의 저지연 IP 기술을 기반으로 설계된 해당 스위치는 멀티 레벨 스위칭, 포트 기반 라우팅을 모두 지원하며, 장치 연결 수를 극대화함으로써 평균 홉 수를 줄이고 시스템 지연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기술은 특히 고성능 컴퓨팅(HPC)과 대규모 AI 응용 환경에서 효율적인 자원 활용과 저비용 고성능 인프라 구현을
연산 스토리지 시스템과 온디바이스 AI 관련 핵심 기술 개발 인정받아 파네시아 정명수 대표가 2025 ICT 기술사업화페스티벌에서 연산스토리지·온디바이스 AI 기술 공로로 IITP 원장상을 수상했다. 파네시아의 정명수 대표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이 주최한 ‘2025 ICT 기술사업화페스티벌’에서 IITP 원장상을 수상했다. 이번 수상은 연산 스토리지 시스템과 온디바이스 AI 관련 핵심 기술 개발을 포함한 정보통신기술(ICT) 분야에서의 기여도를 인정받은 결과다. 정 대표는 KAIST 지정 석좌교수이자 반도체 및 AI 기술 기반 스타트업 파네시아의 CEO로서, 다수의 국가 연구개발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해온 인물이다. 특히 저전력 연산 스토리지 솔루션과 온디바이스 AI 구현을 위한 차세대 메모리 기술 개발에 집중해왔으며, 이러한 성과가 이번 수상 배경으로 작용했다. 정 대표는 ICT 융합 기술이 필요한 다양한 산업 현장에 맞춘 저전력 연산 스토리지 시스템과 AI 연산 내장형 스토리지 솔루션 개발을 주도해 왔다. 특히 온디바이스 AI 분야에서 기존 중앙 처리 방식 대비 전력 효율성과 응답 속도를 동시에 향상시키는 시스템 구조를 제안하며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내년 1월 7∼10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규모 기술 박람회인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 2025)에서 혁신 기술을 선보인다고 31일 밝혔다. KAIST는 CES 유레카파크에 140㎡ 규모의 단독 부스를 운영한다. KAIST 창업기업인 버넥트, 스탠다드에너지, 에이투어스, 파네시아는 CES 2025 ‘이노베이션 어워드’(Innovation Award·혁신상)를 수상했다. KAIST관 중앙 스테이지에서는 CES 학생 서포터즈로 선발된 KAIST 재학생들이 참여기업과 인터뷰를 진행하며 기업의 혁신적인 기술과 솔루션을 홍보할 예정이다. 이건재 KAIST 기술가치창출원장은 “KAIST는 기술가치창출원을 통해 혁신적인 창업기업들의 성장 및 마케팅을 지원하고, 글로벌 네트워크 강화 및 협력 기회를 확대함으로써 기술사업화를 더욱 촉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정명수 대표, 국내 젊은 엔지니어 양성하는 환경을 구축하는 데 주력해 파네시아 정명수 대표가 이달 중순 열린 2024 디지털 혁신 시상식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표창을 수상했다. 정명수 대표는 반도체 설계 산업에서 국내 젊은 엔지니어를 양성하는 환경을 구축함으로써, 국가 반도체 기술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이번 표창을 수상했다. 최근 국내 반도체 기업들은 인건비가 비교적 낮은 국가에서 반도체 인재를 찾고 있는 추세다. 글로벌 인재 확보를 위해 동남아시아 국가를 인재 육성의 중요한 거점으로 삼고, 현지 개발자 양성을 위한 교육 시스템을 운영하며 해외에서의 인재 발굴과 육성에 힘쓰고 있다. 이러한 글로벌 트렌드 속에서 정명수 대표는 국내 젊은 반도체 인재 양성을 위한 환경을 조성하는 데 집중함으로써 반도체 전문가로 성장하고 싶은 국내 엔지니어가 기술을 선도할 수 있는 기회를 넓히고 있다. 정명수 대표는 젊은 반도체 엔지니어를 대상으로 성장 환경을 구축하고, CXL 기술을 중심으로 국가 반도체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이번 장관 표창을 수상하게 됐다. 정명수 대표는 수상과 관련해 "모든 이들과 함께 만들어낸 의미 있는 성과”라며, “이들 모두가 반
CXL 기술 개발 선도하는 총 16개의 기업 중 하나로 선정되는 쾌거 달성 파네시아가 지난 17일부터 22일까지 미국 애틀랜타주 조지아에서 열린 슈퍼컴퓨터 관련 기술 전시회 '슈퍼컴퓨팅 2024(이하 SC24)'에 참가했다. 국내 기업으로는 유일하게 CXL 공식 컨소시엄에서 주관하는 ‘CXL 파빌리온’의 운영기업으로 선정된 파네시아는 CXL 3.1 스위치 기반의 HPC 서버 솔루션인 ‘CXL 3.1 컴포저블 서버’를 선보였으며, 이를 통해 다수의 서버 운용·제작 기업으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았다고 밝혔다. SC24는 미국 에너지부(DoE), HPE 등 세계적인 슈퍼컴퓨터 운영기관과 관련 기술 개발기관이 모여 최신 기술을 발표하는 업계 최대 연례행사다. 올해에는 1만8000명이 넘는 인파가 참석해 기술을 교류했다. 파네시아는 이번 전시회에서 본인들의 주요 제품인 CXL 3.1 IP와 CXL 3.1 스위치를 활용해 구성한 고성능컴퓨팅(HPC)향 랙-스케일 서버 솔루션, CXL 3.1 컴포저블 서버를 선보였다. 해당 솔루션은 CXL 계산 노드, CXL 메모리 노드로 구성되는데,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계산 노드, 메모리 노드의 수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
팹리스 업계 최대 규모 시리즈 A 투자 유치...누적 투자금액 1000억 원대 달성 파네시아가 800억 원 이상 규모의 시리즈 A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 유치로 파네시아는 잠재적 지분을 반영해 3400억 원대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았다. 이번 투자는 시리즈 A 단계에서 한국에 본사를 둔 팹리스 스타트업으로는 유일하게, 벤처캐피탈(VC)만으로 이뤄진 초대형 투자로, 역대 최대 규모의 투자금액과 기업가치를 기록했다. 이로써 파네시아는 창업 약 2년 만에 보조금을 포함해 1000억 원대 누적 투자금을 성공적으로 조달했다. 파네시아의 정명수 대표는 “이번 투자금을 바탕으로, 세계를 선도하는 CXL 3.1 스위치 실리콘 칩 개발, CXL IP 고도화, 글로벌 IT 기업과의 협업 등 주요 현안 과제를 완수하고, 함께하는 임직원이 글로벌 산업계에서 성공의 주역으로 주목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파네시아는 캐시 일관성 인터커넥트 기술을 비롯해 효율적인 메모리 확장 솔루션을 개발하는 팹리스 스타트업이다. 데이터 센터 및 AI 가속 솔루션 등 다양한 라인업을 가졌지만, 현재는 차세대 메모리 연결기술인 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Compute Expre
AI 데이터 센터에 CXL 기술을 실용적으로 도입하기 위한 청사진 제시 파네시아가 이달 15일부터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개최된 세계 최대 규모 데이터 센터 관련 행사인 'OCP Global Summit에서 CXL 3.1 스위치가 포함된 AI 클러스터를 공개했다. 파네시아 관계자는 “AI가 메인 토픽으로 다뤄진 올해 행사에서 파네시아는 AI 데이터 센터에 CXL 기술을 실용적으로 도입하기 위한 청사진을 제시함으로써 많은 글로벌 기업의 관심을 받고, 고객사·협업사 풀을 확장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AI가 널리 상용화된 현재, AI 서비스 정확도가 많은 기업의 매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마이크로소프트, 구글과 같은 기업들은 최근 많은 양의 데이터와 거대한 모델을 활용해 AI 서비스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시도를 반복하며, 이로 인해 기업 데이터 센터의 메모리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메모리 확장에 제동을 거는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센터에서는 메모리 용량을 늘리기 위해 서버를 추가하는 방식을 활용하는데, 이렇게 메모리를 확장하는 과정에서 메모리 외의 부품 구매 비용, 즉 불필요한 지출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내년 하반기에 파네시아 CXL 3.1 스위치 칩을 고객사에 제공할 계획 밝혀 파네시아가 반도체공학회 메인 키노트 발표에서 CXL 핵심 제품군의 개발 현황과 로드맵을 발표했다. 파네시아는 CXL 3.1 스위치 SoC 칩을 생산해 내년 하반기에 고객사에 제공할 계획이다. 해당 스위치 칩에는 파네시아가 순수 국산 기술력으로 개발한 설계자산(IP)이 내제되며 LLM 등 대규모 AI 응용을 처리하기 위한 차세대 데이터 센터 구조를 설계하는 데 활용된다. 데이터 센터에서 요구하는 메모리 용량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빅테크는 비용 및 성능 측면에서 효율적인 메모리 확장을 가능하게 하는 연결 기술인 CXL가 주목받고 있다. CXL을 활용하면, 엔지니어가 원하는 비율로 계산 자원·메모리 자원을 연결해 통합된 메모리 공간을 구성하기에 비용 효율적인 메모리 확장이 가능하다. 이와 동시에 확장된 메모리 자원을 관리하는 일련의 동작을 CXL 컨트롤러에서 하드웨어 가속된 형태로 수행하기에 성능 측면에서도 합리적이다. 파네시아는 지난 2022년 USENIX 연례회의에서 세계 최초로 CXL 2.0 전체 시스템을 공개하며 주목받기 시작했다. 이듬해에는 앞선 시스템을 발전시켜 CXL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