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론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4, 이하 AW 2024)’에 참가해 ESTQ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ESTQ는 바코드 방식 절대위치 리니어 센서 SSI 출력을 Q uadrature 신호 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장치이다. 동시에 신호 검증을 위하여 부가 기능으로 Mitsubishi PLC 와 Ethernet 으로 연결, Mitsubishi PLC 용 MC Protocol 3E 를 통하여 별도의 프로그램 추가 없이 직접 PLC로 센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트론은 Renishaw사 초정밀 리니어 엔코더와 iC-Haus사 등 엔코더에 관련 IC에 대하여 제품을 수입 판매하고 있다. 로봇 및 자동화 산업과 관련하여 다양한 응용분야 경험을 기반으로 엔코더 전용 IC에 대한 제품 선정, 기술 지원 및 교육을 시행한다. 인덕티브 방식 엔코더 부품 메이커인 POSIC, Cambri
트론이 바코드 방식 절대위치 리니어 센서 SSI 출력을 Q uadrature 신호로 변환해 출력하는 시스템인 ESTQ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4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27일부터 29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됐으며, 올해는 450여 개 기업이 20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트론의 ESTQ는 Mitsubishi PLC와 Ethernet으로 연결, Mitsubishi PLC용 MC Protocol 3E 를 통해 별도의 프로그램 추가 없이 직접 PLC로 센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다. 이전 버전과 비교해 Ethetnet 통신으로 PLC에 위치 데이터를 전송해 데이터 갱신 횟수를 늘려 시스템 안정성을 배가했다. 트론은 Renishaw사 초정밀 리니어 엔코더와 iC-Haus사 등 엔코더와 관련한 IC 제품을 수입 판매하고 있다. 이와 함께 엔코더 전용 IC에 대한 제품 선정, 기술 지원 및 교육도 진행하고 있다. 한편, AW 2024는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스마트팩토리엑스포(Smart Factory Expo), 한국머신비전산업전(Korea Visi
트론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3, 이하 AW 2023)'에 참가해 엔코더 시리즈와 스케일 디스크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8일부터 10일까지 사흘간 코엑스 A,B,C,D홀 전관에서 개최되며, 'We connect your factory'를 테마로 스마트제조부터 탄소중립까지 지속가능한 디지털 혁신을 선보인다. 트론은 Renishaw사 초정밀 리니어 엔코더와 iC-Haus사 등 엔코더에 관련 IC에 대하여 제품을 수입 판매하고 있다. 로봇 및 자동화 산업과 관련해 다양한 응용분야 경험을 기반으로 엔코더 전용 IC에 대한 제품 선정, 기술 지원 및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자체적으로 신호 보상, 인터폴레이션, 시리얼 통신 관련 기반 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며 물류 시스템에 관한 신호 변환기 등을 자체 제작해 판매한다. 트론이 이번 전시회에서 공개한 제품은 ATOM DX 엔코더 시리즈로 Renishaw에서 가장 작은 증분형 옵티컬 엔코더다. 판독 헤드로부터 직접 디지털 출력이 가능하다. 이와 함께 소
트론이 오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 이하 SF+AW 2022)’에 참가한다. 트론은 이번 전시회에서 전원 공급·변환 장치인 ESTQ를 선보인다. ESTQ는 바코드 방식 절대위치 리니어 센서 SSI 출력을 Q uadrature 신호로 변환해 출력하는 장치다. 동시에 신호 검증을 위해 부가 기능으로 미쓰비시 PLC와 이더넷으로 연결, 미쓰비시 PLC용 MC 프로토콜 3E를 통해 별도의 프로그램 추가 없이 직접 PLC로 센서 정보를 전달한다. 또한, 기존 자사 ETC STRS422 제품이 RS422 통신을 적용한데 비해 이 제품은 이더넷 통신으로 PLC에 위치 데이터를 전송해 데이터 갱신을 보다 자주함으로써 시스템 안정성을 배가했다. 트론은 레니쇼의 초정밀 리니어 엔코더와 iC-Haus 등 엔코더에 관련 IC에 대해 제품을 수입 및 판매하고 있다. 로봇 및 자동화 산업과 관련해 다양한 응용분야 경험을 기반으로 엔코더 전용 IC에 대한 제품 선정, 기술 지원 및 교육도 시행하고 있다. 트론은 인덕티브 방식 엔코더 부품 메이커인 POSIC, Ca
헬로티 임근난 기자 | 트론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 참가해 초정밀 인코더와 인코더 전용 IC에 대한 차별화된 제품들을 집중 소개했다. 트론은 Renishaw사 초정밀 리니어 인코더와 iC-Haus사 등 인코더에 관련 IC에 대하여 제품을 수입 판매하는 기업이다. 로봇 및 자동화 산업과 관련해 다양한 응용분야 경험을 기반으로 인코더 전용 IC에 대한 제품 선정, 기술 지원 및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특히, 인덕티브 방식 엔코더 부품 메이커인 POSIC, CambridgeIC 등에 대한 솔루션도 제공하며, 자체적으로 신호 보상, 인터폴레이션, 시리얼 통신 관련 기반 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며 물류 시스템에 관한 신호 변환기 등을 자체 제작해 판매하고 있다. 트론이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바코드 방식 절대위치 엔코더 ‘iC-PZ 시리즈’는 듀얼 트랙 방식(인크리멘탈+절대위치)과 리니어 및 로터리를 적용했다. 또한 BiSS & Analog 신호 출력 기능과 고성능 Blue LED를 적용했으며 소형 박형 서모모터와 단거리 초소형 리니어 인코더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18bit~24bit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주식회사 트론이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트론(대표 김진성)은 SF+AW 2021에서 전원공급/변환 장치를 선보인다.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일 ESTQ 제품은 바코드 방식 절대위치 리니어 센서 SSI 출력을 Q uadrature 신호로 변환해 출력하는 장치다. 동시에 신호 검증을 위해 부가 기능으로 Mitsubishi PLC와 Ethernet으로 연결해 Mitsubishi PLC용 MC Protocol 3E를 통해 별도의 프로그램 추가 없이 직접 PLC로 센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기존 자사 ETC STRS422 제품이 RS422 통신을 적용한 데 비해 본 제품은 Ethetnet 통신으로 PLC에 위치 데이터를 전송하여 데이터 갱신을 보다 자주함으로써 시스템 안정성을 배가했다고 밝혔다. 트론은 Renishaw사 초정밀 리니어 엔코더와 iC-Haus사 등 엔코더에 관련 IC에 대하여 제품을 수입 판매하는 기업이다. 로봇 및 자동화 산업과 관련해 다양한 응
[헬로티] 댑레이더, 이더리움·이오스·트론 등 11개 블록체인 기반 약 5000개 디앱 관련 정보 제공 플랫폼 (출처 : 디비전 네트워크) NFT기반 메타버스 플랫폼 디비전 네트워크(Dvision Network, 이하 디비전)가 글로벌 디앱(Dapp) 정보 제공 서비스 플랫폼 댑레이더(DappRadar)와 전략적인 제휴를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댑레이더는 세계 최대의 글로벌 디앱(Dapp) 정보 제공 서비스 플랫폼이다. 댑레이더는 이더리움(ETH), 이오스(EOS), 트론(TRON) 등 총 11개의 주요 블록체인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는 약 5000개 정도의 디앱에 대한 세부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디비전은 박람회 및 게임 등 사용자가 손쉽게 메타버스 콘텐츠를 경험할 수 있도록 Web을 기반으로 한 실시간 스트리밍 3D VR 메타버스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NFT 캐릭터로 디비전의 메타버스 생태계에서 개성을 표출하고 추가적인 보상도 받을 수 있다. 이번 제휴로 디비전은 댑레이더 사이트 내 게임 카데고리에 등록됐다. 사용자는 댑레이터 사이트에서 디비전 플랫폼의 블록체인앱에 관한 정보를 보다 빠르고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헬로티] 서비스 런칭 후 5일 만에 예금 및 대출금 규모 109억 넘어서 멀티체인 플랫폼으로 탈중앙화 금융시장 본격 공략 나서 ▲멀티체인 디파이 'Bifi'가 선보인 예금·대출 서비스 이미지 (출처 : 파이랩테크놀로지) 파이랩테크놀로지가 자체 개발한 멀티체인 디파이(탈중앙화 금융) 프로젝트 ‘바이파이(BiFi)’에 예금, 대출 및 리워드 서비스를 새롭게 도입했다고 14일 밝혔다. 바이파이는 파이랩테크놀로지가 개발한 블록체인 미들웨어 플랫폼 ‘바이프로스트’를 기반으로 한 멀티체인 디파이 프로젝트다. 이더리움 하나에 종속된 기존 디파이 서비스와 달리, 바이파이는 중앙화 거래소에서만 취급하는 비트코인, 트론, 클레이튼 등 다양한 블록체인의 암호화폐로 거래가 가능하다. 다양한 암호화폐의 거래가 가능한 것은 바이프로스트를 통해 한 개 디앱에 복수의 블록체인 프로토콜(메인넷)이 연결돼 작동하는 멀티체인 환경을 구현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거래 수수료(가스비)를 최소화하고 느린 데이터 처리 속도 및 접근성은 개선하는 동시에, 이더리움에 국한된 디파이 생태계를 확장함으로써 한층 혁신적인 금융상품을 선보이는 것이 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