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탄소국경제도 본격 시행…설비전환 등 탄소감축 대응력 강화 지원 정부가 유럽연합(EU)에 수출하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맞춤형 탄소국경조정제도 대응 지원에 나선다. 이를 위해 수출 규모와 업종 등에 따른 전략적 지원은 물론, 설비 전환과 융자·보증 등 탄소 감축 대응력 강화, 중소기업 탄소중립 촉진법 제정 등 탄소중립 기반 조성을 추진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 22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유럽연합 탄소국경조정제도 대응 중소기업 지원방안 발표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는 지난해 10월부터 시범으로 시행되고 있다. 철강, 알루미늄, 비료, 수소, 시멘트, 전력 등 6개 품목의 탄소 집약적 제품을 EU로 수출할 때 생산과정에서 배출한 탄소량에 상응하는 인증서 구매를 의무화는 제도다. 내년까지 2년 동안의 전환 기간을 거쳐 2026년부터 본격 시행된다. 이날 간담회에서 발표된 CBAM 대응 중소기업 지원방안은 수출 규모, 업종, 품목 등 CBAM 대상 중소기업 및 EU 요구 항목 등을 분석해 EU 수출 중소기업이 CBAM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지원 방안에 따르면 먼저, 수출규모가 일정
SK C&C가 ‘디지털 탄소 여권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제3자 검증 서비스’를 제공해 EU 탄소 규제에 빠르게 대응하는 패스트 트랙을 마련한다고 밝혔다. SK C&C는 글래스돔과 함께 개발한 ‘디지털 탄소 여권 플랫폼’을 통해 EU 디지털 배터리 여권 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로이드인증원(LRQA) 제3자 검증 서비스’를 제공한다. EU는 2027년부터 배터리 생산·이용·폐기·재사용·재활용 등 제품 전주기 정보를 디지털로 기록하고 공유하는 ‘디지털 배터리 여권’ 제도를 도입한다. 특히 EU는 국제 표준 ISO 14067를 바탕으로 탄소배출량 데이터에 대해 ‘제3자 검증’을 받도록 요구할 방침이다. 로이드인증원은 EU가 인정한 탄소 배출권 거래제 검증 공인 기관 중 하나로, 현재는 160여 개 국가에서 국제 표준 인증 및 검증을 실시하고 있다. SK C&C와 글래스돔이 함께 개발한 디지털 탄소 여권 플랫폼은 실제 데이터를 기반으로 스콥3 전주기평가를 자동화된 관리 체계로 지원하는 종합 디지털 탄소 배출량 관리 플랫폼이다. 이 플랫폼은 국제 표준 ISO 14067에 따라 탄소 배출량 리포트를 자동 생성할 뿐만 아니라, 원료 채취부터 제조,
기후위기로 인해 탄소중립과 지속가능성이 각국에서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의제로 떠오르고, 유럽연합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등 산업에 친환경성을 강제하는 기조가 전 세계적인 흐름으로 자리잡은 가운데, LCA(Life Cycle Assessment, 전 과정 평가)가 중요한 환경평가 기준으로 떠올랐다. LCA는 제품의 원료 채취 단계서부터 가공, 조립, 수송, 사용, 폐기까지 이어지는 전 과정에 걸쳐 이뤄지는 환경 영향을 정량화하고 평가하는 기법으로, 기존의 평면적인 환경영향 평가기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자동차로 따지면, 운행 중 이산화탄소 배출만을 평가하는 게 아니라, 자동차의 원료, 소재, 부품 등의 생산에서부터 폐기 재활용까지 전 주기를 걸쳐 이뤄지는 환경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LCA 평가를 포함해 국제 사회의 환경 정책들은 특히 국내 수출 기업들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우리 기업들의 대응은 아직까지 미비한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흐름이 앞으로 가속화돼 관련 규제들이 우리 기업의 수출에 족쇄로 작용할 수 있는 만큼, 기업들의 신속한 대응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기후위기로 인해 탄소중립과 지속가능성이 각국에서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의제로 떠오르고, 유럽연합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등 산업에 친환경성을 강제하는 기조가 전 세계적인 흐름으로 자리잡은 가운데, LCA(Life Cycle Assessment, 전 과정 평가)가 중요한 환경평가 기준으로 떠올랐다. LCA는 제품의 원료 채취 단계서부터 가공, 조립, 수송, 사용, 폐기까지 이어지는 전 과정에 걸쳐 이뤄지는 환경 영향을 정량화하고 평가하는 기법으로, 기존의 평면적인 환경영향 평가기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자동차로 따지면, 운행 중 이산화탄소 배출만을 평가하는 게 아니라, 자동차의 원료, 소재, 부품 등의 생산에서부터 폐기 재활용까지 전 주기를 걸쳐 이뤄지는 환경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LCA 평가를 포함해 국제 사회의 환경 정책들은 특히 국내 수출 기업들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우리 기업들의 대응은 아직까지 미비한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흐름이 앞으로 가속화돼 관련 규제들이 우리 기업의 수출에 족쇄로 작용할 수 있는 만큼, 기업들의 신속한 대응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