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노그리드는 한국무역보험공사의 ‘IT 인프라 장비 증설 및 교체 사업’을 수주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한국무역보험공사의 노후 장비 교체 및 인프라를 증설함으로써 안정적인 시스템을 운영하고 효율적인 정보화 자원 관리 체계를 구축하고자 추진됐다. 이노그리드는 지능형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관리 플랫폼 전문기업으로 ▲자체 개발한 클라우드 풀스택 솔루션(IaaS, PaaS, CMP 등)을 중심으로 ▲클라우드 전환 컨설팅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구축&운영 사업 ▲클라우드 관제 및 운영관리 등 클라우드 전 영역에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노그리드는 이번 사업에서 주사업자로서 한국무역보험공사의 본사 스토리지 증설 및 재해복구센터 스토리지 교체와 VDI SAN 스위치 교체, 인터넷 VDI 서버 증설을 진행할 계획이다. 특히 최신 기술이 적용된 고성능 장비와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보장해 무중단 데이터 이관을 가능하게 하는 IT 환경을 제공할 방침이다. 또한 노후 장비와 신규 도입 장비의 동일 제조사 전문 엔지니어의 기술지원으로 이슈 및 위급 상황 발생 시 빠른 대응이 이뤄질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김명진 이노그리드 대표이사는 “이번 사업을 통
티맥스소프트가 오는 29일부터 12월 1일까지 3일간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소프트웨이브 2023'에 참가한다고 23일 밝혔다. 소프트웨이브는 국내 최대 규모의 소프트웨어(SW) 전문 비즈니스 전시회다. SW·정보통신기술(ICT) 산업을 이끄는 기업이 대거 참여해 디지털 전환의 현재와 미래를 한눈에 볼 수 있다. 티맥스소프트는 이번에 클라우드 중심의 신수종 사업 방향을 제시한다. 서비스형소프트웨어(SaaS)와 저전력·고효율 ARM 기반 미들웨어, 인공지능(AI)으로 강화할 성장 모델을 알린다. 전시 공간은 티맥스소프트가 클라우드 미들웨어 솔루션을 통해 다양한 국내·외 기업의 비즈니스 가치를 극대화할 모습을 담은 영상 등 다채로운 콘텐츠로 채워질 예정이다. 미들웨어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다중 접속과 대용량 데이터를 원활하게 처리할 뿐 아니라, 개발 생산성 향상까지 돕는 SW다. 30일에는 SW 업계 핵심 트렌드를 조망하는 강연 행사인 '소프트웨이브 서밋 2023'에도 참가한다. 티맥스소프트 기업사업기획팀장 한만수 전무가 '클라우드 비즈니스 강화를 위한 SaaS 플랫폼 구축'을 주제로 발표한다. 이후 기업사업수행팀장 설희수 상무가 'ARM 어플라이
LG CNS가 이지스자산운용과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도심형 물류센터(MFC, Micro Fulfillment Center) 등의 신규사업 개발을 위해 전력적 협업에 나선다. LG CNS와 이지스자산운용은 19일 마곡 LG CNS 본사에서 사업 협력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체결식에는 LG CNS 현신균 대표, 클라우드사업부장 김태훈 전무, 이지스자산운용 강영구 대표, 이지스아시아 오현석 대표 등이 참석했다. 양사는 이번 MOU를 통해 ▲국내외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구축 확대, 신규 고객 유치 등 사업 발굴 ▲도심형 물류센터 구축 ▲AI, 클라우드 기반 신규 사업 확대를 위해 적극적인 상호교류를 시작한다. 먼저 양사는 LG CNS의 DX 기술 역량과 이지스자산운용의 투자 자산을 통해 데이터센터 사업에 협력,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을 강화한다. LG CNS는 부지선정부터 사업성 평가, 컨설팅, 설계, 구축, 운영, 임대 고객사 대상 서비스까지 데이터센터 전반에 걸친 'Total Life-Cycle Care' 솔루션을 제공한다. LG CNS는 국내 최초로 데이터센터 전용 건물인 인천 데이터센터를 1992년에 오픈했고, 상암, 부산, 가산 등 국내 4곳에 자체 데이터센
SK텔레콤은 인텔과 5G 망용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전력 절감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16일 밝혔다. SKT가 인텔과 연구 개발한 DPS(Dynamic Power Saving) 기술은 클라우드 방식으로 가상화한 서버에서 사용하는 CPU(중앙처리장치), 메모리 등의 주요 부품 소모 전력을 실시간으로 트래픽 추이에 따라 조정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을 데이터센터에 활용하면 CPU의 누적 전력 소모량 42%, 최대 전력 소모량 55%를 절감할 수 있다고 SK텔레콤은 설명했다. 해당 기술은 올해 말 상용 장비에 적용될 예정이다. SK텔레콤은 2030년까지 약 10GWh의 소비를 감축하고 약 5000톤의 탄소를 감축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SK텔레콤은 인텔과 연구 기술 개발 과정의 노하우를 담은 공동 기술백서도 이달 안으로 발간할 예정이다. 류탁기 SK텔레콤 인프라 기술 담당은 "인텔과의 지속적인 기술 개발 협력을 통해 5G 인프라의 최적화·효율화에 기여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할 수 있었다"며 "SKT는 앞으로도 기술을 통해 ESG 경영을 실천할 수 있도록 지속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2분기 실적전망치 시장 예상에 못 미쳐…주가 시간외 거래서 하락 미국 반도체기업 인텔의 펫 겔싱어 CEO가 현재 반도체 부족 사태가 예상보다 길어져 2024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고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겔싱어 CEO는 이날 분기 실적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생산장비 부족으로 업계가 전반적으로 우리가 이전에 생각했던 속도만큼 공급을 늘리지 못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당초 반도체 부족 사태가 2023년에는 끝날 것으로 예상한 바 있다. 인텔은 이날 2분기 실적 전망치로 매출액 180억달러(약 22조9천200억원), 주당순이익 70센트를 제시했다. 이는 시장의 예상치인 매출액 185억달러, 주당순이익 82센트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이로 인해 인텔 주가는 시간 외 거래에서 3.91% 하락했다. 인텔은 PC 매출 감소, 중국의 주요 도시 봉쇄가 미칠 영향력을 둘러싼 불확실성,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전반적인 경제 심리에 미칠 영향 등을 전망 배경으로 들었다. 다만 기존 연간 실적 전망치는 그대로 유지했다. 인텔은 올해 매출액이 760억달러(약 96조7천900억원)로 작년보다 2% 증가할 것으로 전망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