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김병기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가 16일 서울 양재동의 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CLS) 서브허브를 방문해 물류센터의 폭염 대응 실태를 점검했다. 이번 방문은 폭염에 따른 국민 안전과 물가 상승을 ‘민생비상상황’으로 규정한 민주당 지도부의 현장 대응 차원에서 진행됐다. 이날 현장에는 김주영 환노위 간사이자 산업재해예방 TF 단장을 비롯해 문진석·허영·김남근·이용우 의원 등 원내 지도부가 함께 했다. 의원들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서 물가 상황을 점검한 뒤 인근 CLS 서브허브를 찾아 노동자 보호 대책을 직접 확인했다. 특히 방문단의 관심을 끈 것은 쿠팡이 업계 최초로 도입한 ‘차폐식 대형 냉방구역’이었다. 해당 구역은 천장형 시스템 에어컨을 설치한 구획에 냉기 유출을 막는 특수 커튼을 설치해 냉방 효율을 높인 구조다. 이날 현장에서 측정된 내부 온도는 20도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었다. 김병기 직무대행은 “폭염은 더 이상 기후 이슈가 아니라 국민 생명과 직결된 재난”이라며 “현장의 안전 수칙이 실질적으로 작동하는지가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산업 현장에서 ‘폭염 안전 5대 수칙’이 제대로 이행되고 있는지 지속적인 점검이 필요하다”고
한국물류과학기술학회가 한국갤럽조사연구소와 함께 국내 6개 주요 택배사 소속 기사 1,20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택배기사 업무환경 및 만족도 조사’ 결과, 근무 유연성과 수입 수준에서 쿠팡CLS와 컬리가 가장 높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3월부터 6월까지 진행된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 전체의 월 평균 수입은 약 517만 원으로 집계됐다. 그중 컬리(578.2만 원), 쿠팡CLS(569.5만 원)가 가장 높은 수입을 기록했다. 이는 전체 평균보다 약 10% 이상 높은 수치이며 두 기업 소속 기사들은 높은 수입이 직무 만족도를 높이는 결정적 요인이라고 답했다. 반면 CJ대한통운(493.5만 원), 한진(471.1만 원)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입 수준을 보였다. ‘휴무 사용 경험’은 택배기사들의 근무 만족도를 가르는 또 다른 지표였다. 전체 응답자의 61.6%는 휴무가 가능하다고 답했지만, 실제로 3일 이상 연속 휴무를 경험한 비율은 평균 26%에 불과했다. 그러나 쿠팡CLS는 49%가 3일 이상 연속 휴무를 사용한 적이 있다고 응답해 근무 유연성 면에서도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또 주 5일 이하 근무자 비율도 쿠팡CLS는 62%로, 다른 택배사 평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