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통안전공단은 경기 화성시의 자율주행 전용 테스트베드 ‘케이시티’(K-City)가 지난 5년여간 국내 기업이 103억4000만 원의 연구 비용을 절감하도록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30일 밝혔다. 케이시티는 준공 이듬해인 2019년 3월부터 국토교통부의 지원으로 자율주행 관련 중소기업·스타트업 등에 무상으로 시설을 제공해 왔다. 지난해 중소기업 등은 케이시티 시설을 총 7951시간 활용해 26억8000만 원의 비용을 줄였다. 5년여간 총 이용 시간은 2만8815시간(약 1200일)에 달한다. 공단은 올해 하반기까지 케이시티의 3단계 고도화 사업을 마치고 입체교차로, 골목길, 자율주차 빌딩 등 신규 인프라를 추가할 예정이다. 또 실제 보행자를 맞닥뜨리는 상황과 비슷한 환경을 마련해 한 단계 더 나아간 자율주행 기술 개발 및 검증 기능을 지원할 수 있게 된다. 정용식 공단 이사장은 “케이시티는 인프라 제공이라는 단순한 역할을 넘어 민간 기업의 사업화 가능성이 높은 기술을 육성·검증해 글로벌 시장에 성공적인 진입을 지원할 것”이라며 “향후 한국이 완전 자율주행 상용화를 선도적으로 이끌어 갈 수 있도록 기술지원 및 검증체계를 지속적으로 고도화하겠다”고 밝혔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자율주행차 전용시험장(테스트베드)인 '케이시티'(K-City·자율주행실험도시)에 혼잡한 주행 환경을 재현한 첨단 시험설비가 구축됐다. 국토교통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은 완전자율주행차 개발을 위해 경기도 화성의 케이시티에 3종의 가혹 환경 재현시설 구축 등의 2단계 고도화 사업 시설을 준공했다고 19일 밝혔다. 완전자율주행차는 운전자 개입 없이 차량 스스로 주행 상황에 대응하는 차를 의미한다. 특정 조건에서 자율주행하는 레벨4와 모든 상황에서 자율주행하는 레벨5 기술이 완전자율주행에 해당한다. 완전자율주행차는 다양한 날씨와 혼잡한 교통 상황 등 복잡한 주행 환경에 대응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해당 상황에 대한 반복·재현 실험이 필수적이다. 2018년 조성된 케이시티는 5종의 주행 환경을 재현했지만, 더욱 복잡하고 다양한 상황이 주어지는 가혹 환경 등이 미흡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국토부는 비·안개 등 기상 상황, 터널이나 빌딩 숲에서 일어나는 GPS(위치정보시스템)·통신 방해상황, 자동차·자전거·보행자 등이 공존하는 혼잡주행상황 등 3종류의 가혹 환경을 케이시티에 구축했다. 기상환경 재현시설은 터널형 실험시설을 포함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