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디스플레이는 모니터, 노트북 등에 사용되는 IT용 하이엔드 LCD 패널이 글로벌 검사·인증 기관 티유브이 라인란드와 SGS로부터 친환경 제품 인증을 연이어 획득했다고 11일 밝혔다. 티유브이 라인란드는 탄소 배출 측정의 국제표준(ISO 14067)에 의거해 LG디스플레이 IT용 하이엔드 LCD 패널의 생산부터 폐기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정밀하게 검증했다. 그 결과, 재활용 소재 신규 적용 및 패널 투과율 향상 등을 통해 탄소 배출량을 기존 대비 최대 29% 줄여 '제품 탄소발자국 저감(PCF, Product Carbon Footprint)' 인증을 부여했다. 디스플레이 패널이 티유브이 라인란드의 제품 탄소발자국 저감 인증을 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LG디스플레이 IT용 하이엔드 LCD 패널은 SGS로부터 글로벌 친환경 기준을 준수한 제품에 부여되는 '에코 마크(Eco Mark)'와 친환경적이면서 뛰어난 성능과 품질까지 갖춘 제품에 한해 부여되는 '퍼포먼스 마크(Performance Mark)' 인증도 동시에 획득했다. 재활용 소재 사용률을 최대 22%까지 높이는 등 자원 효율성, 에너지 효율성 측면에서 두루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삼성디스플레이의 노트북용 유기발광다이오드(OLED)가 재료 및 부품 유해 물질 사용 평가에서 업계 최고 수준의 안전성을 인정받았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자사 2023년형 노트북형 OLED 14종(13∼16형)이 중금속, 잔류성 유기 오염물, 생태계 미분해물 등 총 300여종에 이르는 유해 물질 검증에서 최저 수치를 기록해 글로벌 안전 인증기관인 SGS로부터 'HSA' 인증을 받았다고 24일 밝혔다. HSA는 제품의 성분 분석을 통해 인체 유해 물질의 사용 정도를 평가하는 친환경 제품 인증이다. 특히 패널을 파괴 분석해 제품의 사용부터 재활용·폐기까지 제품 생애 주기 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해성을 종합 평가한다. 잭슨 우 SGS 홍콩 사무국 부국장은 "HSA 인증 1호 전자 제품인 삼성디스플레이의 노트북용 OLED는 전문적 유해 물질 검증을 거쳐 안전성과 신뢰성을 제공한다"고 평가했다. 한편 삼성디스플레이는 2021년 휘발성 유기화합물 방출량을 최소화해 글로벌 인증기관 UL로부터 공기 질의 안전성을 나타내는 '그린가드 골드' 인증을 획득하는 등 친환경 제품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롯데케미칼은 자사 합성수지 7개 제품이 국제 친환경 제품 인증인 ISCC PLUS(International Sustainability & Carbon Certification)을 획득했다고 25일 밝혔다. ISCC PLUS 인증은 제품 생산 과정 전반에 걸쳐 친환경 원료가 사용됐음을 국제적으로 인증해주는 제도로, 전 세계 130여개 정유·화학사와 원료 제조사 등이 회원사로 가입돼 있다. 이번에 인증을 받은 제품은 석유화학 원료인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뷰타다이엔(Butadien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제품과 고기능성 합성수지 제품인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컴파운드 PC 제품 등이다. 이번 친환경 소재 인증으로 친환경 폴리머 시장에서 한발 앞선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롯데케미칼은 올해 안으로 화학적 재활용을 통한 열분해 나프타를 시범 도입할 예정이다. 2025년 약 5만톤(t)의 친환경 합성수지 제품을 생산·공급하고, 2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