벡터코리아는 차세대 SDV 개발을 위한 혁신적인 플랫폼 SDV 2.0인 ‘벡터 소프트웨어 팩토리(Vector Software Factory)’를 25일 공개했다. SDV 2.0은 차량 소프트웨어의 개발, 통합, 배포 및 운영을 위한 새로운 표준을 확립하며, 자동차 제조사와 부품 공급업체가 소프트웨어 중심의 차량 개발 환경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벡터 소프트웨어 팩토리는 HPC(고성능 컴퓨팅) 및 Zonal E/E 아키텍처(중앙 집중화로 제어 구조 간소화)를 기반으로 구축됐으며, 확장 가능하고 모듈형 구조를 갖춘 베이스 레이어(Base Layer)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ADAS(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 IVI(차량 인포테인먼트), 차량 제어 시스템 등과 원활하게 연동되며 API 기반 데이터 교환 기능을 통해 시스템 간 높은 호환성을 보장한다. 또한 클라우드 네이티브(Cloud-Native) 환경에서 소프트웨어 개발을 지원해 개발자는 자동 코드 생성 및 라이브러리 구축 기능을 활용해 빠르고 효율적인 개발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차량 소프트웨어의 개발 주기를 단축하고 신속한 기능 구현이 가능해진다. 또한 배포된 소프트웨어는 SDV Cloud
현대오토에버가 글로벌 시험 및 인증 기관인 ‘TUV 라인란드(TUV Rheinland)’로부터 자동차 사이버보안 엔지니어링의 국제표준인 ISO/SAE 21434에 기반한 사이버보안 관리체계(CSMS) 레벨3 인증을 획득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는 현대오토에버가 2022년 5월에 CSMS 레벨2를 처음으로 획득한 이후 미래차에 대한 사이버보안 위협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보안 역량을 한층 강화해 인증받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회사 측은 전했다. CSMS(Cybersecurity Management System)는 차량의 설계부터 양산, 단종에 이르기까지 전체 라이프 사이클 동안 위험 요소를 지속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체계로 차량 제조사 및 부품 공급업체가 사이버보안을 보장하기 위해 객관적인 프로세스를 갖추고 있음을 증명하는 인증이다. 유엔 유럽경제위원회(UNECE)는 2021년 차량 사이버보안 규정 ‘UNECE R-155’를 시행했으며 이에 따라 2024년 7월부터는 CSMS 인증을 받은 차량만이 유럽경제위원회 협약에 가입한 56개국에서 판매될 수 있다. 이번에 획득한 CSMS 인증은 총 11개 영역에 걸쳐 이뤄졌으며 소프트웨어 전문 회사 기준으로 전 영역에
경로 탐색·교통 정보와 더불어 차량 내 결제·맞춤형 설정 등 기능 제공 TMAP 2.0버전 적용...인공지능 서비스, NUGU Auto 2.0도 담겨 볼보자동차코리아(이하 볼보)가 티맵 모빌리티와 개발한 인공지능(AI) 기반 차세대 티맵 통합형 차량 인포테인먼트를 24년형 모델부터 기본 적용할 예정이라고 26일 밝혔다. 이번 인포테인먼트 서비스는 구글 안드로이드 기반 모빌리티 탑재 기능이다. 시인성 개선 그래픽·티맵 2.0 내비게이션·누구 오토(NUGU Auto) 2.0·티맵 스토어(TMAP Store) 등이 해당 서비스에 적용된다. 여기에 포함된 티맵 2.0 내비게이션은 차세대 지능형 교통 시스템(C-ITS)를 기반으로 설계됐다. 해당 서비스는 실시간 신호 정보 및 잔여 신호 시간, 적정 교차로 통과 속도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가까운 충전소 내 이용 가능한 충전기 개수, 충전소로 향하는 차량 대수, 현장 이미지 등 전기차 관련 정보 제공 기능은 전기차 사용자에게 특화된 기능이다. 또 누구 오토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목적지 및 즐겨 찾는 경로를 제안하는 ‘개인화 추천 서비스’ 및 목적지·실내 온도 설정·음악 재생 등 기능을 담은 ‘개인화 루틴 설정’ 등으
자동차 업계 UX/UI 메가트렌드 설문조사 결과 발표 Qt그룹이 자동차 업계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한 'UX/UI 메가트렌드(Megatrends)' 설문조사 결과를 20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시장에서 경쟁력 및 점유율 제고를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및 사용자 경험(UX) 개선 및 개발에 투자하는 업체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Qt그룹 자체적으로 진행한 이 조사는 자동차 OEM 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것으로, 응답 기업의 약 36%는 수익 마진이 감소했으며, 43%는 이로 인해 제품 가격을 인상했다고 답하는 등 현재 전 세계적인 경기 침체와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자동차 업계의 제품 개발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다수의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어려운 상황에서 돌파구를 찾기 위해 UI/UX 혁신에 힘을 쏟고 있다. 실제로 응답 기업의 52%가 향후 12개월 동안 제품 개발 예산의 30% 이상을 UI/UX 개선에 투자할 계획이라고 답했고, 23%의 기업은 향후 12개월 동안 제품 개발 예산의 40~49%를 UI/UX 개선에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전년도의 경우 예산의 30% 이상을 UI/UX에 할당했다는 응답은 25%에 불과한
美서 3개월 동안 음성명령 기능 시범 적용 자동차에서도 챗GPT 기술을 활용하는 시대가 올까? 메르세데스 벤츠(이하 벤츠)가 마이크로소프트(이하 MS)와 손잡고 자동차 업계 최초로 챗GPT 도입을 위한 베타테스트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CNN·로이터 등 외신은 지난 15일(현지시간) 벤츠가 MS와 벤츠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MBUX’ 내 챗GPT 도입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력을 통해 기존 벤츠 차량에 탑재된 MBUX 음성 제어 기능에 챗GPT를 심는다. 양사는 우선, 이달 16일(현지시간)부터 3개월 동안 미국에서 판매된 MBUX 적용 차량 약 90만 대에 대해 베타테스트를 시행하기로 했다. 이번 베타테스트는 이용 희망자가 벤츠 공식앱 Mercedes me 또는 MBUX에 “Hey Mercedes. 베타테스트 참여하게 해줘”라는 음성 명령으로 참여 가능하다. 현재 베타테스트를 통한 서비스는 목적지 찾기·공조 기능 등 비교적 단순한 명령에 대한 기능을 수행할 것으로 보인다. 벤츠·MS 양사는 높은 수준의 명령에도 반응하도록 기능을 추가할 계획이다. 벤츠 관계자는 “챗GPT를 도입해 일방적 명령만 가능했던 기존 음성 제어 시스템에서 대화형 음성
제어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과 가상 검증 등 다양한 사례 공유 및 토의 현대오토에버가 지난 7~8일 이틀간 현대오토에버 삼성사옥에서 현대자동차그룹 MBD(Model Based Development) 컨소시엄의 기술 교류회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현대자동차그룹 MBD 컨소시엄은 올해 4월 현대차·기아, 현대차그룹 계열사 및 소프트웨어 전문기업 등 총 19개 기업이 모여 결성됐다. SDV 체제 전환에 발 빠르게 대응하려면 차량 내부의 다양한 전장품을 통합 제어하는 소프트웨어가 꼭 필요하다. 이런 소프트웨어는 규모가 크고 복잡도가 높으므로 완성차와 협력사가 협력을 통해 개발하되, 추적 관리가 가능하고 효율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개발 환경이 뒤따라야 한다. 컨소시엄 참여사들은 기술 교류를 통해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을 구축하고, 가상 개발 환경에 대한 표준화 및 공용화를 통해 SDV 대응 개발체계를 신속하게 구축할 수 있도록 긴밀하게 협업하고 있다. 특히 제어 소프트웨어의 개발 및 검증에 대한 노하우를 상호 공유하고, 소프트웨어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정기적인 기술 교류를 진행한다. 이틀간 진행된 이번 행사에서는 7일에 소프트웨어(SW) 개발, 8일에 버추얼(Virtua
키노트·온라인 10개 세션 발표로 차량 소프트웨어 기업으로서 존재감 과시 현대오토에버 개발자들이 현대차그룹이 개최한 ‘제2회 HMG 개발자 컨퍼런스’에 참여해 차량 소프트웨어 개발 경험을 발표했다. 현대오토에버는 차량 SW 품질 혁신을 위한 가상 검증 기술에 관해 오프라인 키노트 발표를 진행했으며, 10개의 온라인 세션 발표를 통해 현대오토에버의 개발자가 모빌리티 테크의 다양한 분야에서 얻은 개발 경험을 공유했다. SW품질혁신사업부 김성운 상무, 검증솔루션개발팀 김범섭 팀장은 키노트 발표를 통해 차량 제어 소프트웨어의 가상 검증 기술과 현대오토에버가 개발한 가상 검증 플랫폼에 대해 설명했다. 가상 검증 기술은 차량·시스템·제어기를 가상화하고 가상 주행 환경, 검증 도구 등을 제공해 기능별 검증, 기능 간 연계 검증, 시스템 단위 검증을 하드웨어 없이 가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차량 내 소프트웨어 비중이 늘어나고 복잡성이 증가하며 소프트웨어 품질 검증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에 검증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가상 검증 기술을 활용하면 실물 제어기·차량 기반 검증에 비해 다양한 환경을 시뮬레이션해 테스트를 진행할 수
현대자동차그룹은 채용 연계형 교육과정 '소프티어 부트캠프 2023'을 처음으로 열고, 참가자를 모집한다고 20일 밝혔다. 현대차그룹이 부트캠프를 개최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소프티어(Softeer)는 소프트웨어(Software)와 엔지니어(Engineer)의 합성어로, 차량 소프트웨어 분야의 개척자란 의미를 담고 있다. 이번 캠프는 소프트웨어 개발자를 양성하고, 우수 역량을 가진 개발자를 조기 채용하기 위해 마련됐다. 부트캠프는 면접 과정 없이 기초 코딩 역량과 소프트웨어 개발 관련 기초지식만 평가해 참가자를 선발한다. 선발된 인원은 8주간의 전문 개발자 교육을 받고, 소프트웨어 개발과 관련한 팀 단위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현대차그룹은 교육생 전원을 대상으로 채용 면접을 진행하고, 선발된 교육생은 추가 절차 없이 현대차·기아 입사 기회를 줄 계획이다. 내년 9월까지 현대차·기아에 입사가 가능한 인원이 대상으로, 지원은 오는 28일까지 가능하다. 진은숙 현대차그룹 ICT혁신본부 부사장은 "전문 교육기관의 개발자 교육과 실무 기반의 프로젝트를 경험할 수 있는 개발 역량 향상의 기회"라며 "소프트웨어 개발자를 지속적으로 양성하고, 이를 그룹사 전체의 채용 연계
헬로티 김진희 기자 | 현대오토에버는 올해 상반기에 대규모 채용을 진행한 데 이어 모빌리티 소프트웨어 전문 기업으로 발돋움하기 위해 대규모의 신입·경력사원 채용을 진행한다고 4일 밝혔다. 현대오토에버는 미래 자동차 산업의 경쟁력인 차량 소프트웨어 플랫폼, 차량 응용 소프트웨어 등 모빌리티 소프트웨어 분야를 중심으로 선제적 인재 확보에 나선다. 모집 분야는 △차량 SW 개발 △차량 SW 품질 △차량 응용 SW 개발(내비게이션·지도) △차량 응용 SW 품질 △디지털 전환(스마트 팩토리·클라우드·빅데이터 등)이다. 이번 채용을 통해 현대오토에버는 지도 데이터와 내비게이션 소프트웨어 개발 역량을 토대로 자율주행차, 커넥티드 카 등 차세대 모빌리티 분야에서 요구되는 차량 소프트웨어 및 인포테인먼트 기술을 고도화할 계획이다. 현대오토에버는 사전 온라인 채용설명회를 통해 현직자와 인사 담당자에게 이번 채용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경력 입사 지원자들은 8월 3일까지 지원할 수 있으며, 신입 입사 지원자들은 8월 10일까지 지원서를 제출하면 된다. 모든 채용 절차는 비대면으로 진행된다. 서류 심사 이후에는 직무 역량 테스트, 1차 실무 면접, 그리고 2차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엔비디아는 볼보자동차 테크 모멘트(Volvo Cars Tech Moment) 행사에서 볼보자동차가 차세대 소프트웨어 정의형 차량을 위해 엔비디아 드라이브 오린(NVIDIA DRIVE Orin) 기반의 중앙집중식 컴퓨팅 아키텍처를 구축한다고 밝혔다. 소프트웨어 정의 아키텍처를 통해 자동차는 공장에서 출고된 이후에도 무선(OTA) 업데이트를 통해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다. 이런 유연성을 통해 자동차 제조업체는 각 고객에게 맞춤화된 차량과 주행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알리 카니(Ali Kani) 엔비디아 오토모티브 부문 부사장 겸 총괄은 “볼보자동차는 전체 차량 라인업에 고성능 컴퓨터를 적용하겠다는 비전을 추진하는 파트너다. 볼보자동차는 소비자들이 차량을 구매한 날 이후로 점점 더 개선된다고 믿는다. 소프트웨어 정의 아키텍처를 통해 우리는 자동차 수명 주기 동안 새로운 서비스와 애플리케이션을 계속해서 제공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움직이는 컴퓨터, 차량 컴퓨팅 아키텍처 구축 볼보자동차는 이런 소프트웨어 정의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차량 컴퓨팅 아키텍처를 새롭게 구축하고 있다. 도로 위의 자동차는 차량 전체에 분산된 수십 개의 ECU(Elect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