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디스플레이가 미국 새너제이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디스플레이 전시회 ‘SID 2025’에 참가해 미래 모빌리티 시대를 겨냥한 차세대 차량용 디스플레이를 대거 선보인다. 올해 전시 주제는 ‘신기술을 통한 사업 확대(Driving the Future)’로, LG디스플레이는 차량 내 다양한 영역을 디스플레이화할 수 있는 솔루션과 폼팩터 혁신 기술을 집중 소개한다. LG디스플레이는 차량 센터페시아 영역에 적용 가능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솔루션'을 공개했다. 이 제품은 화면이 최대 50%까지 유연하게 늘어나면서도 100ppi 해상도와 RGB 풀컬러를 구현하며, 손가락 터치 시 버튼이 물리적으로 솟아오르는 터치 반응형 인터페이스도 구현할 수 있다. 이는 버튼과 디스플레이가 분리돼 있던 기존 센터페시아 디자인의 한계를 넘어선다. 초대형 일체형 디스플레이인 '필러투필러(Pillar to Pillar)' 솔루션은 운전석부터 조수석까지 대시보드를 가로지르는 57인치 단일 패널로 구현됐으며, 주행 정보부터 엔터테인먼트 콘텐츠까지 모두 고화질로 제공할 수 있다. 이 제품은 지난해 LG디스플레이가 40인치 제품을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 데 이은 확장판이다. 함께 선보인 18인치
LG디스플레이가 초대형 차량용 디스플레이 40인치 필러투필러(Pilar to Pilar, P2P)를 업계 최초로 양산한다. 이 제품은 운전석에서 조수석까지 가로지르는 대화면을 구현해 SDV 시대에 발맞춘 차별적 고객가치를 제공한다. 운전자는 초대형 디스플레이로 주행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고 조수석에서는 영화나 게임을 즐길 수 있다. 특히, SPM(Switchable Privacy Mode) 기능으로 조수석 화면이 운전석에서는 보이지 않도록 설계함으로써 안전성을 높였다. 또한, 로컬 디밍 기술로 고화질과 저전력 소비를 동시에 구현해 배터리 소모를 줄이고 주행 효율을 극대화했다. 이 디스플레이는 터치 기능을 탑재해 차량 내 물리적 버튼을 최소화하는 혁신적 모빌리티 디자인을 가능하게 했다. LG디스플레이는 해당 제품을 일본 소니와 혼다의 합작사인 소니혼다모빌리티의 첫 전기 세단 ‘아필라’에 공급하며 SDV 시대를 위한 최적의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선보일 계획이다. 권극상 LG디스플레이 Auto사업그룹장은 “독자 기술과 제품 경쟁력을 바탕으로 차별화된 고객가치를 제공하는 혁신적인 솔루션을 지속 선보일 것”이라고 전했다. 헬로티 구서경 기자 |
최근 국제 전시회에서 주목받은 혁신 제품 대거 전시해 삼성디스플레이가 16일부터 사흘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리는 'K-디스플레이 2023'에 참가해 기술력을 선보인다. 올해로 22회째인 K-디스플레이는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가 주최하는 국내 최대 디스플레이 산업 전시회다. 삼성디스플레이는 국제 전시회에서 주목받은 혁신 제품을 대거 소개한다. 전시 제품에는 QD-OLED 제품을 비롯해 차량용 디스플레이, 투명 OLED, 디스플레이 신기술 등이 포함됐다. 삼성디스플레이는 부스 정면에 '닥터 OLED의 이상한 실험실'을 열어 관람객에게 신선한 재미와 즐거움을 선사했다. 이곳에서는 참관객이 이색 실험으로 삼성 OLED의 방수성, 가벼움, 내구성을 경험하도록 만들어졌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세계정보디스플레이학회(SID)에서 올해의 디스플레이 상을 받고, 글로벌 색채 기업 팬톤으로부터도 우수한 색 표현력을 인정받은 QD-OLED 제품을 전시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에너지 효율을 개선하고 휘도와 시야각 한계를 뛰어넘은 OLED 혁신 기술 '메타 테크놀로지'를 부각했다. QD-OLED는 기존의 대형 OLED가 컬러 필터로 색을 구현하는 것과 달리 입자 크기에 따라 다른 색을
모빌리티, 토털 솔루션, 투명한 미래 등 세 가지 테마로 부스 구성 LG디스플레이가 16일부터 사흘간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K-디스플레이 2023’에 참가해 LG디스플레이만이 가능한 OLED 풀 라인업을 공개하며 혁신적 고객경험을 제안했다. 올해로 22회째를 맞은 ‘K-디스플레이 2023’은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가 주최하는 디스플레이 산업 전문 전시회다. LG디스플레이는 ‘다양한 사용 환경에 최적화한 디스플레이로 고객경험을 혁신한다’는 뜻을 담아 ‘올웨이즈 온’이라는 주제로, '모빌리티', '토털 솔루션', '투명한 미래' 등 세 가지 테마로 부스를 구성했다. 모빌리티에서는 계기판과 센터페시아, 뒷좌석 등 차량 내 곳곳에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자율주행 콘셉트카를 선보이며 모빌리티 혁신의 방향성을 제시했다. 대시보드를 가로지르는 ‘34인치 초대형 P-OLED’는 계기판과 네비게이션 등 다양한 정보를 선명하게 제공해 주행 편의성을 높여주는 것이 특징이다. 센터페시아와 뒷좌석에도 유연한 곡선으로 디자인 차별화가 가능한 P-OLED 기반의 12인치 디스플레이를 탑재했다. 이외에도 차량용 OLED 공급 확대를 위해 유리 기판을 사용한 합리적인 가격대의 신제품 ‘AT
삼성전자와 삼성디스플레이, IAA 모빌리티 삼성전자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과 삼성디스플레이가 오는 9월 5∼10일 독일 뮌헨에서 열리는 국제모토쇼 'IAA 모빌리티'에 참가한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반도체를 담당하는 삼성전자 DS 부문과 삼성디스플레이가 IAA 모빌리티에 참가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전장이 미래 먹거리로 떠오른 가운데 차량용 반도체와 차량용 디스플레이를 앞세워 고객사 확보에 나서는 것으로 풀이된다. 삼성전자는 2030년 이후 오토모티브가 서버, 모바일과 함께 3대 응용처가 될 것으로 보고 차량용 반도체 시장을 적극 공략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또 최근 업계 최저 소비 전력을 지닌 차량용 인포테인먼트(IVI) 유니버설 플래시 스토리지(UFS) 3.1 메모리 솔루션 양산을 시작했다. 이 제품은 256GB 라인업 기준 전 세대 제품 대비 소비전력이 약 33% 개선돼 전기차 등에 적용된다. 삼성디스플레이도 차량용 디스플레이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앞서 삼성디스플레이는 지난 4월 슈퍼카 브랜드 페라리와 차세대 자동차 모델에 탑재될 디스플레이 솔루션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이로써 페라리의 차세대 모델에 삼성디스플레이의 최첨단 유
글로벌 경기침체 영향으로 침체된 디스플레이 업계에 차량용 디스플레이가 새로운 돌파구가 되고 있다. 전기차, 자율주행차 등 미래차 시장이 열리면서 차량용 디스플레이 수요도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TV 수요 둔화와 중국 업체들의 저가 공세에 위기를 맞은 국내 디스플레이 업체들은 차량용 디스플레이를 미래 먹거리 삼아 돌파구를 마련한다는 구상이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시장조사기관 디스플레이서플라이체인(DSCC)은 최근 보고서에서 올해 글로벌 차량용 디스플레이 출하량이 2억장을 넘을 것으로 전망했다. 자동차 한 대당 평균 두 장 이상의 패널을 탑재한다는 의미라고 DSCC는 덧붙였다. DSCC는 "평판 디스플레이 시장이 어려운 상황이지만 자동차의 전자장비화에 따라 차량용 디스플레이는 올해도 계속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자동차가 단순한 운송 수단을 넘어 디지털 생활 공간으로 변화하면서 디스플레이의 역할이 더 중요해졌기 때문이다. 특히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이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장을 이끌 것으로 보인다. OLED는 액정표시장치(LCD)보다 화질과 시야각이 뛰어나다. 또 얇고 가벼운데다가 자연스러운 곡면을 구현할 수 있어 차량용 디스플레이로 최적이라는 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