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출하량은 전년 대비 33%↓…2분기엔 코로나 이전 수준 회복 전망 수요 부진에 극심한 침체를 겪던 액정표시장치(LCD) 패널 시장이 올해 2분기부터 기지개를 켤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30일 대만의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글로벌 LCD 모니터 출하량은 전 분기보다 2.6% 감소한 3190만장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33.4% 감소한 것이다. 트렌드포스는 수요 약세와 재고 조정 여파로 1분기 출하량이 급감했다고 분석했다. 다만 2분기 제품 수요에 대해서는 낙관적 전망을 내놨다. 트렌드포스는 2분기 LCD 패널 출하량이 전 분기 대비 15.1% 증가한 3670만장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코로나 발생 전인 2018년 1분기(3730만장), 2019년 1분기(3450만장)와 비슷한 수준이다. 트렌드포스는 수요 회복의 주요 원인으로 중국의 경제활동 재개를 꼽았다. 트렌드포스는 "작년 12월 코로나 봉쇄가 풀린 후 중국의 피시방 고객이 급증하고 있다"며 이에 따라 고급 게임용 LCD 모니터 교체 수요가 늘 것으로 분석했다. 아울러 트렌드포스는 중국 618 쇼핑축제 등 대규모 이벤트가 다가오면서 패널 재고를 비축하려는
통계청 "내수·서비스업 호조지만 수출·제조업 부진해 경기 회복 주춤" 반도체 경기 위축 등의 영향으로 8월 산업생산이 두 달째 감소했다. 다만 소비와 투자는 증가로 전환했다. 30일 통계청이 발표한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8월 전(全)산업 생산(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 지수는 117.4(2015년=100)로 전월보다 0.3% 감소했다. 전산업 생산은 5월(0.7%)과 6월(0.8%) 증가했으나 7월(-0.3%) 감소로 돌아섰고 8월까지 두 달 연속 줄었다. 제조업 생산(-1.6%)을 비롯한 광공업 생산이 1.8% 감소한 영향이다. 특히 반도체 생산 감소 폭이 컸다. 반도체 생산은 전월보다 14.2% 줄어 7월(-3.5%)에 이어 두 달째 하락했다. 반도체 생산은 1년 전과 비교해도 1.7% 줄었는데, 반도체 생산이 전년 동월보다 감소한 것은 2018년 1월(-1.7%) 이후 4년 7개월 만이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반도체는 중국 봉쇄 조치 여파 등으로 수출이 정체하고 있고 세계 경제 둔화 우려로 정보기술(IT) 수요도 줄어 출하가 좋지 않고 재고가 쌓이면서 생산이 감소하는 양상"이라며 "반도체 업황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반도체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