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수도권 3곳·비수도권 5곳…융합인재 양성, 반도체 초격차 확보 융합인재를 양성해 반도체 초격차를 확보하기 위한 반도체 특성화대학으로 수도권 3개교(연합)와 비수도권 5개교(연합)가 선정됐다. 교육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은 ‘반도체 특성화대학 지원사업 선정 결과’를 발표했다고 13일 밝혔다. 반도체 특성화대학 지원사업은 반도체 인재양성 역량과 의지를 갖춘 대학을 집중 육성해 산업계의 학사급 인력 공급과 석·박사급 인재양성의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반도체 관련 인재 양성 방안에 따라 올해 신설된 사업이다. 올해는 학계·산업계·연구계 전문가의 서면검토, 현장조사, 종합평가를 거쳐 수도권 3개교와 비수도권 5개교를 개별 대학이 참여하는 ‘단독형’과 대학연합이 참여하는 ‘동반성장형’으로 나눠 선정이 이뤄졌다. 수도권 단독형으로는 서울대(회로·시스템, 소자·공정), 성균관대(차세대 반도체)가, 수도권 동반성장형은 명지대-호서대(소재·부품·장비, 패키징)가 선정됐다. 비수도권 단독형은 경북대(회로·시스템, 소자·공정, 소재·부품·장비), 고려대(세종, 첨단반도체 공정장비), 부산대(차량반도체)가, 비수도권 동반성장형에는 전북대-전남대(차세대 모빌리티반도체), 충북대
서울대 반도체공동연구소와 연계, 전국·개방형 공정 서비스 연결망 구축 교육부는 국립대학 권역별 반도체공동연구소 공모사업 심사 결과, 전남대(Ⅰ권역)·부산대(Ⅱ권역)·경북대(Ⅲ권역)·충남대(Ⅳ권역)를 선정하고 국립대학 권역별 반도체공동연구소 건립을 본격 추진한다고 지난 15일 밝혔다. 교육부는 시설 인프라 구축 비용 등 올해부터 2025년까지 총 656억6,800만원을 지원해 권역별 반도체 공동연구소를 건립할 계획이다. 권역별 반도체 공동연구소가 준공된 이후인 2026년부터는 지역이나 산학 공동 활용 등을 전제로 특화 분야별 장비를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지원규모는 장비 선정 후 확정 예정이다. 권역별 반도체 공동연구소는 반도체 직접 제작을 위한 실습 중심의 체계적인 교육과 훈련을 제공하고, 반도체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게 된다. 이번에 선정된 4개 권역 반도체공동연구소(권역 HUB)는 서울대 반도체공동연구소(중앙 HUB)와 연계해 전국·개방형 공정 서비스 연결망을 구축한다. 또한 전국의 반도체 교육수요를 포괄하는 촘촘한 연결망과 협업 체계 구축을 통해 지역별로 균등한 반도체 교육과 협업 기회를 보장하고 각 연구소 간 연계를 강화한다. 이는 이
헬로티 김진희 기자 |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올해 정보보호 특성화 대학 1곳을 추가로 선정해 총 3곳을 운영할 방침이라고 지난 28일 밝혔다. KISA는 정보보호를 전공하지 않은 대학생들이 1∼2학년 때는 원래 전공 공부를 하고, 3∼4학년 때는 정보 보호 양성 과정을 수강해 미래에 이 분야에서 일할 수 있도록 인력 양성을 지원하고 있다. 지원은 학교마다 기본 4년에, 단계 평가를 통해 최대 2년이 추가로 이뤄진다. 정보보호 특성화 대학으로 선정되면 KISA는 학교에 정보보호 전문 실습장, 학과 과정 개발, 산학 협력 등을 지원한다. 충북대와 KISA는 6년간 특성화 대학을 운영하고 작년에 종료했다. 작년에는 고려대 세종 캠퍼스와 세종대 총 2곳이 새 특성화 대학으로 선정됐다. 올해 KISA 협력 융합보안대학원은 8곳이 지속해서 운영된다. KISA는 순천향대와 '자율주행차', 전남대와 '에너지 신산업', 성균관대와 '디지털헬스케어' 등 지역 전략산업에 특화한 융합보안대학원을 개설하고 협력해 융합보안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윤승한 KISA 사이버보안인재센터장은 최근 기자들과 만나 "현재 총 11곳인 정보보호 특성화 대학과 융합보안대학원을 장기적으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