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거래소에 상장예비심사 신청서 제출 나우로보틱스가 한국거래소에 코스닥 상장예비심사 신청서를 냈다. 나우로보틱스는 현재 대신증권을 대표 주관사로 선정하고, 연내 하반기 코스닥 상장을 기대하고 있다. 지난 6월에는 한국거래소가 선정한 평가기관에서 A등급을 취득하며 소부장 특례 트랙을 통한 기술성 평가를 통과했다. 나우로보틱스는 산업용 로봇, 자율주행 물류 로봇 등을 각종 산업에 공급하고 있다. 직교 로봇 ‘뉴로(NURO) 시리즈’, 다관절 로봇 ‘뉴로 X(NURO X) 시리즈’, 스카라 로봇 ‘뉴카(NUCA) 시리즈’, 자율주행 물류 로봇 ‘뉴고(NUGO) 시리즈’ 등 다양한 형태의 로봇 모델을 구축해 국내 산업 자동화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현재 500개 이상의 로봇 자동화 솔루션 공급 레퍼런스를 보유했고, 글로벌 진출을 위해 북미·동유럽·멕시코 등에 지사 및 연락사무소를 배치했다. 이종주 나우로보틱스 대표는 “향후 코스닥에 상장해 기술력 및 성장성을 공고히 할 계획”이라며 “이를 기반으로 글로벌 수준의 로봇 기업으로 도약해 글로벌 자동화 산업에서 중요한 한 축을 담당할 것”이라고 전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자율주행 이송 로봇 ‘나르고 오더피킹’ 데모 시연...멀티 오더피킹 솔루션도 함께 공개 트위니가 이달 23일 개막하는 ‘제14회 국제물류산업대전(KOREA MAT 2024)’에 참가해 자율주행 물류 로봇 ‘나르고 시리즈’를 부스에 내놓는다.. 트위니는 자율주행 물류 이송 로봇 ‘나르고 오더피킹’을 대표 모델로 전시해 물류센터 생산성 제고 방안을 제시한다. 이 자리에서 물품을 찾고 옮기는 과정과 다품종 소량 주문 처리 시 효율을 끌어올리는 멀티 오더피킹 솔루션을 시연한다. 이를 통해 기존 물류센터 운영 방식 대비 효율적인 물류 혁신임을 강조할 예정이다. 트위니 관계자는 “참관객 및 업계 관계자는 트위니의 이번 전시부스에서 로봇의 시연과 함께 피킹 업무를 직접 체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중소벤처기업부·인천시가 3년간 지원사격...모빌리티 신기술 전환 도모 나우로보틱스가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와 17개 광역자치단체가 공동 추진하는 지역특화 프로젝트 ‘레전드 50+’에 선정됐다. 레전드 50+는 모빌리티 산업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이다. 17개 시도, 21개 프로젝트가 추진되며, 선정된 모든 기업을 대상으로 3년 동안 총 1조1000억 원을 지원한다. 나우로보틱스는 중기부와 인천시가 낙점한 모빌리티 신기술 기업으로 활동한다. 나우로보틱스는 지난 2016년 설립 이후 산업용 로봇 설계 및 제조, 자동화 시스템 등을 시장에 제시했다. 이어 지난해 자율주행 물류 로봇을 출시하며 모빌리티 분야에 본격 진출했다. 현재 직교 취출 로봇 ‘NURO Series’, 수직 취출 로봇 ‘NURO G Series’, 다관절 로봇 ‘NURO X Series’, 스카라 로봇 ‘NUCA Series’ 등 네 가지 라인업을 보유했다. 이종주 나우로보틱스 대표이사는 “레전드 50+에 선정돼 3년간 집중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돼 기쁘다”며 “인천시가 집중하는 모빌리티 분야에 기여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유진로봇이 2023 로보월드 부스에 자율주행 물류로봇 ‘GoCart’ 시리즈 3종을 전시해 참관객의 이해를 도왔다. 2023 로보월드가 이달 11일부터 나흘간 일산 고양시 킨텍스에서 18회차로 개최된다. 해당 전시회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로봇산업협회(KAR)·한국로봇산업진흥원(KIRIA)·제어로봇시스템학회(ICROS) 등 관계기관이 주관하는 로봇 산업 전시회로, 820부스 규모 30개국 241개사 업체가 참가해 4만여 명의 참관객을 모집한다. 유진로봇은 ‘인더스트리 4.0과 로지스틱스 4.0을 위한 전방위 토털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을 목표로, 공장 조립 자동화 설비, 공장 물류 자동화, 창고 물류 자동화, 헬스케어 물류 자동화, 로보타이제이션 등 영역에서 솔루션을 제시한다. 유진로봇은 이번 전시회에 GoCart 180, GoCart 250, GoCart 500 등 자율주행 모바일 로봇 ‘GoCart’ 시리즈를 선보인다. GoCart 시리즈는 자율주행 기반 물류배송 플랫폼으로, 다중 로봇 제어 시스템(FMS)과 연동해 활동하는 특징이 있다. 여기에 유진로봇 라이다 기술 ‘YUJIN 3D LiDAR’를 적용해 3D SLAM 및 주행이 가능하다. 해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