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I가 전기차 캐즘(Chasm·일시적 수요 정체) 여파로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40% 가까이 급감했다. 삼성SDI는 연결 기준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2802억 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37.8%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30일 공시했다. 매출은 4조4501억 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23.8% 감소했다. 순이익은 3012억 원으로 38% 줄었다. 전 분기와 비교하면 영업이익은 4.8% 늘었으나 매출은 13.3% 감소했다. 사업부별로 보면 전지 부문 매출은 3조872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2080억 원으로 46% 줄었다. 영업이익률은 5.4%를 기록했다. 중대형 전지 중 자동차 전지는 시장 수요 둔화에 따른 판매 감소 등으로 실적이 축소됐으나, 에너지저장장치(ESS) 전지는 데이터센터 수요 증가로 전력용 '삼성 배터리 박스'(SBB)와 고출력 UPS용 전지 판매가 늘며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증가했다. 소형 전지 중 원형 전지는 고객의 재고 조정으로, 파우치형 전지는 전방 수요 둔화로 각각 매출이 감소했다. 전자재료 부문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5772억 원과 722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 16% 증가했다.
삼성SDI가 전기차 수요 성장세 둔화 국면에서도 올해 1분기 자동차 전지 부문에서 양호한 실적을 냈으나 전체 영업이익은 지난해 대비 30% 가까이 하락했다. 삼성SDI는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2674억 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28.8%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30일 공시했다. 매출은 5조1309억 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4.2% 감소했다. 순이익은 2867억 원으로 38.3% 줄었다. 전지 부문 매출은 4조5818억 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5%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2145억 원으로 지난해 대비 32% 줄었고 영업이익률은 4.7%를 기록했다. 다만 중대형 전지는 전기차 전방수요 둔화에도 상대적으로 선방한 실적을 달성했다. 자동차 전지는 프리미엄 차량용 P5의 견조한 판매와 신규 P6 제품의 미주 공급 개시 등 고부가 제품 판매 확대 등 영향으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늘었다.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상 첨단제조 생산 세액공제(AMPC)도 처음 수익으로 인식됐다. 삼성SDI는 미국법인에서 작년부터 올해 1분기까지 생산한 제품에 대한 AMPC 467억 원을 이번 영업이익에 반영했고, 2분기부터는 매 분기 발생하는 금액을 수익으로 인식할
"4분기도 신모델 출시 효과 등으로 견조한 성장세 지속될 것" 삼성SDI가 전기차 수요 증가세 둔화 등에도 올해 3분기에 전년보다 10%대 성장한 매출을 기록하며 선방했다. 삼성SDI는 연결 기준 올해 3분기 매출이 5조9481억 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10.8% 증가했다고 26일 공시했다. 3분기 영업이익은 4960억 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12.3%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매출은 자동차 전지 판매 호조로 3분기 기준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직전 분기와 비교하면 매출은 1075억 원(1.8%), 영업이익은 458억 원(10.2%) 각각 증가했다. 영업이익률은 8.3%를 기록했다. 부문별 실적을 보면 전지 부문 매출이 5조3384억 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10.5%, 직전 분기 대비로는 1.3% 각각 늘었다. 영업이익은 4118억 원으로 작년보다 15.1% 감소했으나 직전 분기보다는 6.1% 증가했고 영업이익률은 7.7%를 달성했다. 중대형 전지 중 자동차 전지는 헝가리 신규 라인 조기 증설 완료에 따라 주요 고객사 프리미엄 차량에 탑재되는 P5 각형 배터리 매출이 확대돼 분기 최고 수익률을 기록했다. 에너지저장장치(ESS) 전지는 4분기 신제품 대기
LG에너지솔루션과 연세대가 전기차 배터리 기술 개발을 위한 산학 협력을 한층 강화한다. 양측은 22일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 신촌캠퍼스에서 '자동차전지 기술개발 프로그램 운영 산학협력 협약식'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약에 따라 LG에너지솔루션과 연세대는 기존 차세대 배터리 소재 등 선행 기술 산학협력을 넘어 실제 전기차용 현행 제품 개발과 밀착된 실용 기술 분야로까지 협력을 확대하기로 했다. 또한 더 효과적인 협력을 위해 연세대 이차전지연구센터 산하에 실무협의기구인 '자동차전지 산학기술센터'도 설립할 예정이다. LG에너지솔루션 자동차전지사업부장 김동명 부사장은 "급변하는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차별화된 품질과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현재 상용화된 제품과 밀착된 실용 기술 분야에서의 혁신이 중요해지고 있다"며 "이번 협력을 바탕으로 고객들에게 세계 최고의 제품과 솔루션을 제공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연세대 공과대학 명재민 학장은 "이번 협약식은 지난해 이차전지 계약학과 신설에 이은 또 하나의 뜻깊은 협력"이라며 "이차전지 분야 글로벌 선도 기업인 LG에너지솔루션의 전기차 배터리 기술 경쟁력을 한 단계 더 도약시키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삼성SDI가 매출 13조 5,532억 원, 영업이익 1조 676억 원의 2021년 연간 경영실적을 발표했다. 매출, 영업이익 모두 사상 최대 실적이며 매출 13조원과 영업이익 1조원 돌파도 최초이다. 전년 대비 매출은 2조 2,584억 원(20.0%)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3,963억 원(59.0%) 증가했다. 삼성SDI는 2021년 4분기 실적으로 매출 3조 8,160억 원, 영업이익 2,657억 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5,646억 원(17.4%) 증가했고 영업이익도 195억 원(7.9%) 증가했다. 전분기 대비 매출은 3,762억 원(10.9%)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일회성 비용 등의 영향으로 1,078억 원(△28.9%) 감소했다. 2021년 4분기 사업부별 영업 실적을 살펴보면, 에너지 및 기타 매출은 3조 1,073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2%, 전분기 대비 13.4%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1,202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 증가했고, 전분기 대비 40.4% 감소했다. 전분기와 비교해 중대형 전지는 매출이 성장했고 흑자도 유지됐다. 자동차 전지는 차량용 반도체 수급 이슈에도 불구하고 Gen.5(젠5
ⓒGetty images Bank [헬로티] 산업부는 최근 강화된 “자동차 동력 업계 규범조건”에 의해 중국 내 사업 리스크가 커지고 있는 우리 기업의 애로를 해결하기 위해 가능한 모든 조치를 취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주형환 산업부장관은 중국 공신부장, 상무부장에게 합리적이고 우호적인 관점에서 우리 기업의 투자 애로를 해소해 달라고 요청했고, 외교부 등 관계부처 협력채널도 적극 활용하여 범정부차원에서 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노력했다. 또한, 산업부 우태희 제2차관은 25일 추궈홍 주한 중국대사와의 면담을 통해 이번 규범조건 의견수렴본에 대한 우리 업계의 우려를 상세히 전달하고, 외국인투자자의 예측 가능성 및 합리적인 기대이익이 적극 보호될 필요성이 있음을 전했다. 한편, 산업부는 정만기 제1차관 주재로 삼성SDI, LG화학, SK이노베이션 등 업계와 대책회의를 개최하여 중국 전지 동향을 면밀히 점검하고 향후 대응방안과 우리 업계 사업 활동 지원을 위한 방안을 깊이 있게 논의했다. 김지환 기자 (ueghqwe@hello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