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가 노후도로 4개 노선에 대한 확장 및 개량 사업을 성공적으로 완료하고, 오늘(8월 4일)부터 순차적으로 개통한다고 밝혔다. 총 28.6km에 이르는 이번 새 단장을 통해 해당 구간의 차량 정체 해소와 함께 더욱 안전하고 편리한 도로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기대된다. 노후도로 4개 노선, 새 옷 입고 '안전하게' 재탄생 국토교통부(장관 김윤덕)는 그동안 상습적인 차량 정체와 사고 위험이 높았던 일반국도 3개 노선(3호선, 38호선, 59호선)과 국가지원지방도 1개 노선(49호선)에 대한 개선 사업을 마무리하고, 오늘 경북 김천 국도 59호선 개통을 시작으로 나머지 노선들도 이달 내 차례로 개통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번에 개통되는 4개 노선은 △경북 김천 국도 59호선(대광동~감문면 태촌리 8.2km), △경기 안성 국도 38호선(공도읍 만정리~대덕면 신령리 3.7km), △경기 연천 국도 3호선(신서면 도신리~대광리 6.9km), △전북 진안-무주 국지도 49호선(진안 동향면 대량리~무주 안성면 장기리 9.8km)이다. 국토교통부는 이번 사업에 총 2,287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하여 상습 차량 정체 완화, 교통사고 위험 구조적 개선, 그리고 대중교통
전남, 경북, 충북 등 7개 지역 지자체 관리 도로 국도·국지도로 승격 도로 간선 기능 향상, 산업단지·공항 등 연결성 강화, 낙후 지역 접근성 확보 기대 전남, 경북, 충북 등 7개 지역의 지방자치단체 도로 14개 노선이 국도 및 국가지원지방도(이하 ‘국지도’)로 승격·지정된다. 국토교통부는 지역 간 연결성을 높이고 간선도로망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기존에 지자체가 관리하던 지방도 등을 국도·국지도로 승격한다고 9일 밝혔다. 일반국도 8구간(269.9km) 및 국지도 6구간(83.9km) 지정 방안은 도로 정책심의위원회 심의(7월 2일~7월 8일)를 거쳐, 오는 7월 11일에 승격·지정 노선으로 고시될 예정이다. 이번 노선 지정 지역은 인구 밀집 지역과 주요 산업 거점을 잇는 간선망이 보강되어, 공항, 산업단지, 관광지로의 접근이 더욱 편리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도로는 기능과 종류에 따라 일반국도, 지방도, 시군도 등으로 등급이 나뉘며, 그 등급에 따라 관리 주체와 시설 기준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주간선도로인 일반국도는 설계속도 80km/h, 차로 폭 3.5m, 우측 길어깨 2m의 기준을 가지며 국가에서 건설 및 관리를 담당한다. 반면, 교통량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