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기업들의 경기회복 기대감이 올해 처음 내리막을 탔다. 한국중견기업연합회(중견련)는 4분기(10∼12월) 중견기업 경기전망지수가 94.9로 전분기보다 5.7포인트(p) 내렸다고 6일 밝혔다. 지수가 기준점인 100을 넘으면 전분기보다 긍정적으로 전망한 기업이 많다는 것을 뜻하고, 100 미만이면 그 반대를 의미한다. 지수는 올 들어 3분기(7∼9월)까지 상승세(93.3→97.5→100.6)였다가 4분기에 처음 하락 전환됐다. 부문별로 보면 제조업이 93.0으로 7.0p, 비제조업은 96.5로 4.7p 떨어졌다. 제조업의 경우 전자부품 업종이 16.9p 내린 91.7을 기록했다. 전자부품은 2020년 3분기부터 긍정적 전망을 유지했지만, 아홉 분기 만에 부정적 전망으로 전환됐으며 지수는 역대 두 번째로 낮은 수치라고 중견련은 설명했다. 화학 업종과 식음료품 업종의 지수는 각각 84.6, 95.3으로 직전 분기보다 15.4p, 6.4p 하락했다. 비제조업은 출판·통신·정보서비스 업종이 90.6으로 전 분기 대비 10.9p 떨어져 가장 큰 폭으로 내렸다. 내수 전망지수와 수출 전망지수는 각각 4.9p, 4.2p 내린 96.6, 96.2를 나타냈다. 수출·내수 전
[첨단 헬로티] 중소기업들이 인건비 상승에 대한 부담으로 2018년 1월 경기가 더 움츠러들 것으로 전망했다. 12월 업황실적도 전월에 비해 감소했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지난 12월 13일부터 12월 20일까지 3,15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2018년 1월 중소기업경기전망조사’를 실시한 결과, 업황전망 중소기업건강도지수(SBHI)가 전월에 비해 하락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인건비 상승에 대한 부담감, 건설업 관련 업종의 계절적 비수기 등으로 인하여 경기전망이 하락한 것으로 분석된다. <2018년 1월 업황 전망 중소기업 건강도 지수> 2018년 1월 업황전망 중소기업건강도지수는 84.3으로 전월대비 4.8p 하락, 전년동월대비 2.6p 상승하였다. 그 중 제조업은 전월대비 2.6p 하락한 83.9이며, 비제조업은 건설업이 전월대비 8.3p 하락하고, 서비스업이 전월대비 6.0p 하락하여 전월대비 6.5p 하락한 84.6으로 나타났다. 내수판매와 영업이익, 그리고 자금 사정에 대한 부분은 하락한 전망치를 나타냈으며, 그나마 수출에 대해서는 기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업종별로 보면 음료,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등 6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