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케미칼은 환경부로부터 배터리 핵심소재인 양극재에 대한 '환경성적표지' 인증을 획득했다고 26일 밝혔다. 환경성적표지 인증은 제품의 원료 채굴부터 생산, 사용, 폐기까지 전 과정에 대한 환경 영향을 평가해 표시하는 국가 공인 인증제도다. 포스코케미칼은 지난 1월 음극재에 이어 이번에 양극재까지 환경성적표지 인증을 획득함으로써 배터리 소재 업계 최초로 양·음극재 제품의 환경영향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게 됐다. 포스코케미칼은 인증을 획득한 PN6, PN8 양극재의 탄소·자원·물발자국, 오존층 영향, 산성비 등 환경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공개했다. 포스코케미칼이 PN8 양극재 1㎏을 생산할 때 발생하는 탄소발자국(제품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이산화탄소 배출량으로 환산한 지표)은 25.9㎏·CO2이다. 60KWh 용량 전기차 1대 기준으로 환산하면 약 2천20㎏·CO₂이다. 전기차는 친환경 운송수단이지만 생산 과정의 탄소배출량 등 전체 제품주기의 친환경성을 입증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유럽연합은 2024년부터 배터리 탄소발자국 신고를 의무화하는 등 관련 산업에 대한 환경규제를 강화하는 추세다. 포스코케미칼은 환경성적표지 인증을 통해 고객사의
[첨단 헬로티] 현재 공작기계의 액온제어장치 냉매로는 주로 R407C, R410A 등의 HFC(Hydrofluorocarbon)이 채용되고 있다. 또한, HFC 이전의 주류 냉매였던 R22를 채용한 구식 액온제어장치가 현역 가동되고 있는 곳도 드물지 않다. 이들 기존 프레온류의 대기 누설은 지구온난화나 오존층의 파괴를 초래한다. 그렇기 때문에 국제적으로 엄격한 규제가 시행되고 있는 동시에 환경부하가 작은 차세대 냉매로 전환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차세대 냉매에 요구되는 성능으로서는 지구온난화계수(GWP : Global Warming Potential)와 오존층파괴계수(ODP : Ozone Depletion Potential)가 낮은 것은 물론이고, 냉각 효율이 높고 안전한 것도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특징을 만족시키는 냉매의 하나로 CO2가 있다. 이 글에서는 현재의 냉매 규제에 대한 개략을 나타내는 동시에, CO2 냉매를 채용한 공작기계의 액온제어장치를 소개한다. 냉매 규제 표 1에 나타냈듯이 R407C나 R410A, R22의 GWP는 대략 1,800~2,100으로 과대하다. 또한, R22는 강한 온실효과 가스인 것은 물론이고, 오존층 파괴를 초래한다.
[첨단 헬로티] 日 전역 2만여 편의점 매장에 사용 하니웰은 세븐일레븐 재팬이 유통 업체로는 최초로 차세대 냉매인 솔스티스N40(Solstice® N40, R-448A) 제품을 지구온난화지수(GWP) 저감을 위해 도입한다고 발표했다. 세븐일레븐 재팬은 현재 日 전역 2만여 편의점 매장의 히타치어플라이언스 콘덴싱 유닛에 사용 중인 R-404A 냉매를 하니웰의 친환경 냉매 솔스티스 N40으로 교체할 예정이다. 일본의 경우, ‘탄화플루오르의 합리적 이용과 적절한 관리에 관한 법'에 의해 2025년까지 지구온난화지수가 1,500 이하인 물질을 의무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이에, 하니웰은 SEJ(세븐일레븐의 모회사) 및 히타치어플라이언스와 1년여에 걸쳐 테스트한 결과, 솔스티스 N40을 사용할 경우 R-404A보다 에너지가 17% 절감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뿐만 아니라 솔스티스 N40은 지구온난화지수가 1,387으로 R-404A보다 65% 낮으며, 오존층을 파괴하지 않고, 기존 설비에 사용할 수 있어 편의성이 높다. 히사시 오하시 세븐일레븐 재팬의 건설 및 장비 담당 총괄은 "솔스티스 N40을 적용할 경우 탄소 발자국과 운영비를 동시에 절감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