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 발표와 산업 무역 박람회 모두 포함하는 대형 컨퍼런스로 올해 50주년 맞아 리콘랩스는 8일 미국 로스엔젤레스에서 열린 최대 규모 컴퓨터 그래픽스 컨퍼런스 ‘시그래프(SIGGRAPH) 2023’에 참가한다고 밝혔다. 시그래프는 학술 발표와 산업 무역 박람회를 모두 포함하는 대형 컨퍼런스로 북미에서 진행되며, 올해 50주년을 맞았다. 시그래프 2023에는 스탠포드, MIT 등 유수 대학에서 논문을 기고하고, 엔비디아, 어도비, 유니티, 디즈니, 픽사, 에픽게임즈, 구글, 오픈AI, 메타와 같은 기업의 리더들이 강연, 토록, 논문 저자 등으로 참여한다. 리콘랩스는 시그래프 부스 전시에서 ‘3D와 함께하는 새로운 라운드의 시작(A WHOLE NEW ROUND IS COMING WITH 3D)’라는 주제로 3D 생성 AI 기술 기반의 3D 크리에이션 솔루션, 3D프레소를 선보인다. 부스에서는 메타버스와 게임, 영상 VFX 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3D 에셋의 제작을 직접 경험해볼 수 있다. 또한, 8일(한국기준)에는 반성훈 리콘랩스 대표가 3D 스캐닝 기술을 기반으로 한 프로젝트 경험에 대한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다. 3D프레소는 지난 5월 첫 공개 후 디지털 콘텐츠
비브스튜디오스가 글로벌 기업 에픽게임즈와 덱스터스튜디오, 엑스온스튜디오와 함께 버추얼 프로덕션 얼라이언스 ICVFX 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비브스튜디오스 곤지암 버추얼 스튜디오에서 진행된 이번 포럼에서는 지난 해 7월 4개사가 함께 한 버추얼 프로덕션 산업 활성화를 위한 기술 교류 업무협약 이후 새로운 기술사례들을 선보이며 혁신적인 디지털 콘텐츠 제작에 대한 아이디어와 경험을 공유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특히 마일즈 퍼킨스 에픽게임즈 언리얼 엔진 미디어&엔터테인먼트 비즈니스 디렉터와 후안 고메즈 에픽게임즈 언리얼 엔진 솔루션 아키텍트 디렉터 등 글로벌 전문가들이 연사로 참가, 4개사 아티스트 및 엔지니어들은 물론 외부 VFX 전문가, 연출감독들도 함께 한 가운데 실제 해외 버추얼 프로덕션 제작 사례 등을 전하며 다양한 제작기술 이슈들에 대한 활발한 논의도 이어졌다. 이번 포럼은 4개사가 손잡고 버추얼 프로덕션의 역량과 잠재력을 보다 넓게 이해하는 계기를 마련하며, 물론 영상산업 전반에 협업과 혁신을 촉진하는 기회로 준비됐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영상산업 분야 내 제작환경 변화의 큰 흐름 속 버추얼 프로덕션이 더 이상 단순한 시도가 아니라 창작자
헬로티 이동재 기자 | 메타버스 열풍과 함께 실감형 콘텐츠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콘텐츠 제작 과정에 실시간 시각효과를 적용한 ‘버추얼 프로덕션’이 주목받고 있다. 버추얼 프로덕션은 가상환경의 실감형 콘텐츠 제작과 실시간 시각효과 기술 전반을 아우르는 기술로, 기존 제작 과정에서 후반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됐던 것과 달리, LED 월을 활용해 실감형 콘텐츠 제작의 전 과정을 실시간으로 확인한다. 콘텐츠의 완성도를 높이면서 시간과 비용을 효율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으로 꼽힌다. 가상 콘텐츠 제작사들은 실감형 콘텐츠 제작 주도권을 선점하기 위해 버추얼 프로덕션 스튜디오를 앞다퉈 선보이고 있다. 브이에이코퍼레이션, 자이언트스텝, 덱스터스튜디오는 버추얼 프로덕션 인프라 구축을 위한 투자를 늘리고 메타버스 콘텐츠 제작 파이프라인을 한층 강화할 전망이다. 브이에이코퍼레이션, 아시아 최대 규모 버추얼 프로덕션 스튜디오 브이에이코퍼레이션은 지난 6월 하남시에 아시아 최대 규모 버추얼 프로덕션 스튜디오 ‘브이에이 스튜디오 하남’을 선보였다. 총 1만1265㎡ 규모의 브이에이 스튜디오 하남은 국내 최초로 규모별 총 3개의 버추얼 프로덕션 스튜디오를
[첨단 헬로티] 글로벌 게임개발사이자 게임엔진 개발사인 에픽게임즈 한국법인 에픽게임즈코리아(대표 박성철)는 최신 언리얼 엔진 4.17 업데이트됐다고 8일 발표했다. 이번 4.17 버전에선 애플 ARKit과 구글 탱고(Tango) AR 등 모바일 AR개발 기능, 그리고 최신 콘솔인 마이크로소프트 엑스박스 원 엑스(Xbox One X) 개발 기능이 추가됐다. ARKit 지원 플러그인은 지난 6월 열린 애플 WWDC(Worldwide Developer’s Conference)에서 처음 선보인 윙넛(Wingnut)팀의 작품에 기반을 둔 것으로, 언리얼 엔진을 이용하는 개발자들은 올해 말 애플의 iOS 11의 공식 지원에 앞서 먼저 이 새로운 기능을 시험해볼 수 있게 됐다. 안드로이드용 구글 탱고 플러그인은 6 축 모션 트래킹과 영역 학습, 환경 재구성 등을 포함한 구글 탱고의 기능을 지원한다. 마이크로소프트 최신 차세대 콘솔인 ‘엑스박스 원 엑스’ 지원은 별도 빌드 플랫폼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개발자들은 엑스박스 원용으로 컴파일하기만 하면 되며, 이렇게 엑스박스 원용으로 쿠킹된 데이터는 엑스박스 원 엑스에서도 바로 작동하게 된다.
[첨단 헬로티] 게임 및 게임엔진 개발사인 에픽게임즈는(대표 팀 스위니) ‘SIGGRAPH 2017(이하 시그라프)’에서 언리얼 엔진의 새로운 리얼타임 워크플로우 툴킷 ‘데이터스미스(Datasmith)’ 프리뷰를 공개했다고 밝혔다. 7월 30일부터 8월 3일(이하 현지시각)까지 미국 LA에서 열리는 시그라프는 컴퓨터 그래픽과 인터랙티브 기술을 다루는 전시회로, 에픽게임즈는 시그라프에서 2015년 ‘소년과 연’, 2016년 실시간 영화촬영기법, 2017년 ‘휴먼 레이스’로 3년 연속 ‘실시간 그래픽 및 인터랙티브 최우수상(Award for Best Real-Time Graphics and Interactivity)’을 수상한 바 있다. 이번에 에픽게임즈가 선보인 ‘데이터스미스’는 외부 데이터를 언리얼 엔진으로 불러들이는 임포트 과정을 간소화하는 기술로, 건축 및 디자인 시각화 작업을 하는 아티스트와 디자이너를 돕기 위해 개발됐다. 컴퓨터 그래픽 작업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오토데스크 3ds 맥스(Autodesk 3ds Max)를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