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는 호주 기후변화에너지환경수자원부·산업과학자원부와 제31차 '한-호 에너지자원협력위원회'를 열고 에너지자원 공급망과 기후변화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고 22일 밝혔다. 한-호 에너지자원협력위는 에너지·광물자원 분야에 대한 양국의 공식 협력 창구로 이번 회의에서는 청정에너지 확대 및 에너지 공급망 확보를 위한 핵심광물, 수소, 천연가스, CCUS(탄소 포집·활용·저장) 등에 대한 협력 방안이 논의됐다. 산업부는 호주 측에 CCUS 협력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해 런던의정서 개정안 수락서를 국제해사기구(IMO)에 조속히 기탁해 달라고 요청했다고 밝혔다. IMO는 런던의정서 개정안의 발효가 지연됨에 따라 당사국 개정안 수락서 IMO 기탁 및 국가 간 협정 체결 시 이산화탄소 포집 과정에서 발생하는 물질의 수출입이 가능하게 했는데 한국의 경우 지난 4월 IMO 기탁을 완료했다. 산업부는 또 연내 양국 광물 기업 간 비즈니스라운드테이블을 개최하는 등 실질적인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이 밖에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여파 등을 고려해 양국이 상호 호혜적으로 천연가스 분야에 대한 투자와 교역을 지속해 나가기로 했다. 천영길 산업부 에너지산업실장은 "양국의 긴
새 정부가 지향하는 대표적인 공약 중 하나는 ‘원자력 발전 살리기’다. 정부는 원전을 활용해 탄소중립을 실현하고, 국내 기술력을 해외로 수출하기 위한 전략도 구상하고 있다. 이에 향후 국내에서의 원전 생태계가 어떻게 만들어질지 업계의 관심이 모이고 있다. 원전 생태계 복원 위한 준비 정부가 원전 생태계 복원을 목표로 삼았다.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의 업무보고에 따르면, 정부는 민간이 주도하는 성장지향 산업전략을 실행함으로써 산업 대전환을 이루겠다고 밝혔다. 특히 원전에 있어서는 에너지 분야에서 원전 비중을 30% 이상으로 확대해 안정적인 에너지 안보를 구축하고, 원전 생태계 복원, 원전 수출 등을 통해 원전 강국으로서의 입지를 다질 계획이다. 이에 지난 7월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는 오는 2027년까지 원전 중소기업의 기술 개발에 1500억 원을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중기부가 발표한 계획 방향은 생태계 복원, 미래 경쟁력 확보, 상생협력 강화 등 세 가지로 나뉜다. 내년에는 원전 특화 R&D 사업도 신설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중기부는 원전 분야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원전 중소기업 기술혁신 연구반을 구성했다. 한편, 원자력 발전이 유럽연
성능 예측 시간이 약 2시간(1가구) → 약 27초(10,000가구)로 단축 건물은 일상에서 가장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부분이자 전 세계 에너지 소비의 약 1/3을 차지한다. 즉 건물과 기후위기는 떼어내 생각하기 어려운 관계다. 건물은 하루아침에 새로 짓거나 단시간 내에 개보수하기 어려우며, 한 번 지어지면 정해진 배출 강도를 꾸준히 유지하기 때문에 타 영역보다도 빠른 전환과 성능개선이 필요하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에너지ICT융합연구단 김종훈 박사 연구진이 현장 방문 없이 AI를 활용해 건물의 에너지 성능을 측정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했다. 2050 탄소중립 정책기조에 따라 기존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개선 연구가 활발한 가운데, 효과적인 에너지 효율개선을 위해 건물의 현 에너지 성능 수준을 파악하는 에너지 진단과 모델링이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현재 에너지 성능을 파악하기 위해 외벽의 열관류율*과 기밀도 등을 현장에서 측정하고 있다. 하지만 대규모 사업일 경우 모든 대상 건물의 성능을 실측하기 어렵고 여건 또한 마땅치 않아 건물의 기본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성능을 평가하고 있지만,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건물의 정보들을 확인하기 위해서 현장 방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정승일 한국전력 신임 사장은 ‘탄소중립(Carbon Neutral)’이란 에너지 산업의 대전환기에 에너지 전 분야의 선제적 기술혁신, 과감한 에너지 시스템의 전환을 심각하게 고민해야 하며,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솔루션을 찾아 과감한 도전을 해야 하는 시점임을 강조했다. 정승일 한국전력 사장은 지난 1일 전남 나주 한전 본사에서 취임식을 하고 제21대 한전 사장으로서 경영방침을 밝혔다. 특히 정 사장은 탄소중립 시대의 에너지 분야 패러다임은 탈탄소화, 분산화, 지능화임을 강조하며 전력 패러다임 변화를 선도하는 기업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먼저 전력산업 전반의 탈탄소화를 위한 두 축은 에너지믹스의 과감한 전환과 효율 향상이며, 이를 위해 신재생발전 확대에 최적화된 송변전 시스템을 구축하고 전력의 생산·운송·소비 전주기의 효율을 높여야 한다고 설명했다. 다음으로 전력 생산과 소비의 분산화를 위해 한전의 역할이 변화하고 고도화돼야 하며, 전력수요의 지역적 분산을 유도하고 전력생산을 분산시킬 인센티브와 송배전 이용요금제도를 마련하고 전력시장 개편과 가상발전소 도입 등을 준비해야 한다고 내다봤다. 마지막으로 전력의 생산·운송·판매 등 밸류체인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