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온도 30도 낮춰…아스콘 1t 생산시 이산화탄소 1kg 감축 예상 SK에너지가 '중온 아스팔트'를 활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을 생산해 탄소배출권을 확보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됐다. SK에너지는 최근 '국내 중온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 생산을 통한 연료 및 온실가스 감축' 외부사업에 대한 환경부 탄소감축 인증을 획득했다고 9일 밝혔다.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은 통상 '아스콘'으로 불리는 도로 포장 건설자재다. SK에너지가 독자 개발한 중온 아스콘은 기존 160∼170도가량이던 아스콘 생산 온도를 약 30도 낮춰 이에 필요한 연료와 전력량을 20∼30%가량 줄일 수 있다. 아스콘 1t 생산 때마다 이산화탄소(CO2) 약 1kg를 줄일 수 있으며, 저온 포장시공이 가능해 도로공사 기간을 단축하고 교통정체도 최소화할 수 있다고 SK에너지는 설명했다. SK에너지와 아스콘 생산 전문업체인 인우아스콘은 중온 아스콘을 생산해 탄소 상쇄배출권(KOC)을 확보하고자 지난해부터 관련 절차를 진행해왔다. SK이노베이션 계열이 국내에서 KOC 확보를 위한 '외부사업' 사업계획 승인을 받은 건 이번이 처음이다. 외부사업은 배출권거래제 할당대상업체가 아닌 외부업체에서 실
포스코그룹이 친환경 건설자재 생산을 위해 벤처기업과 협력키로 했다. 포스코와 포스코건설, 대륙신소재는 2월 25일 서울 포스코센터에서 ‘수재슬래그 활용 저탄소 친환경 시멘트 생태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를 체결했다. 이날 협약을 통해 포스코는 원료가 되는 수재슬래그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포스코건설은 개발된 제품을 실제 건설현장에 적용해 품질 검증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대륙신소재가 개발한 보도블럭 등 건자재에 사용되는 친환경시멘트는 건설현장에 적용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선인명 대륙신소재 대표이사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수재슬래그 기반 저탄소 친환경 시멘트 제품개발을 확대해 친환경 소재기업으로 성장하도록 하겠다”라고 말했다. 김대업 포스코 열연선재마케팅실장은 “포스코의 철강부산물이 친환경 시멘트 원료가 되어 탄소 저감에 더욱 기여할 수 있도록 지속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대륙신소재는 포항 블루밸리국가산단 내에 위치해 있으며 울산과학기술원(UNIST)으로부터 무석회석 시멘트 제조 기술을 이전 받아 자원순환형 친환경 건설재료 및 건축자재를 제조하는 벤처기업이다. 일반적으로 시멘트 1톤 생산 시 석회석의 열분해와 이를 위한 화석연료 사용으로 약 0.8
헬로티 김진희 기자 | SK에너지의 탄소 중립(Net Zero, 넷제로)을 위한 노력이 환경부로부터 인정을 받았다. SK에너지는 최근 개최된 환경부의 배출량 인증위원회에서 SK에너지가 국내 최초로 개발한 ‘중온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이하 아스콘) 생산을 통한 연료 및 온실가스 저감 방안’이 환경부 외부사업 방법론으로 승인을 받았다고 4일 밝혔다. 외부사업은 배출권거래제 할당대상업체가 아닌 업체 외부에서 실행하는 온실가스 감축사업으로, 외부사업을 하기 위해서는 환경부의 승인을 받은 방법론에 의거해 사업계획을 신청하고 승인을 받아야 한다. 또 방법론은 온실가스 배출 시설 및 활동 등에서 온실가스를 감축/흡수/제거하는 물량을 계산하고 모니터링을 하기 위해 적용하는 기준/절차 등을 종합한 가이드다. 환경부가 등록한 방법론에 적합한 외부사업이 없을 경우, 회사가 직접 방법론을 개발하기도 한다. 이번에 환경부에서 승인받은 중온 아스콘 관련 외부사업 방법론은 SK에너지가 직접 개발한 방법론으로, 지난 ‘20년 9월 중온 아스콘에 투입되는 SK에너지의 중온아스팔트는 국토부 건설 신기술로도 인증받은 바 있다. 중온 아스콘은 일반 아스콘 대비 약 30도(℃) 낮은 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