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날로그 회로 시뮬레이터 ‘MPLAB Mindi 아날로그 시뮬레이터’ 온라인 세미나 개막 하드웨어 프로토 타이핑 전 아날로그 회로 성능 모사 툴 및 과정 소개해 이해 돕는다 “마이크로칩 독점 모델뿐만 아니라 일반 범용 회로도 모델링 가능...하드웨어에 완성도 더할 것” 하드웨어 제품에는 디지털 영역과 아날로그 영역이 존재한다. 여기에 이식되는 회로의 설계 관점에서 아날로그 회로는 메모리 및 비메모리 소자 모두에 탑재되는 핵심 부품 중 하나다. 아날로그 회로는 아날로그 전기신호를 담당하는 기술로, 과거부터 오랜 시간 하드웨어 가동에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 이러한 아날로그 회로를 설계하는 것은 고도의 기술력을 요구한다. 그만큼 설계 진입장벽이 높은 것이다.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하면서 ‘누구든, 어디서든, 무엇이든’ 다룰 수 있는 시대가 열림에 따라 직관적인 아날로그 회로 설계가 가능해졌다. 100조 규모로 평가받는 전 세계 아날로그 회로 시장에서 이 양상은 어떤 혁신을 도출할까? 글로벌 반도체 제조업체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는 아날로그 회로 설계에 특화된 시뮬레이션 툴 ‘MPLAB Mindi’를 보유했다. 이 솔루션은 ‘SIMetrix’와 ‘Simplis’로 엔
아날로그 회로 시뮬레이터 ‘MPLAB Mindi 아날로그 시뮬레이터’ 온라인 세미나 개막 하드웨어 프로토 타이핑 전 아날로그 회로 성능 모사 툴 및 과정 소개해 이해 돕는다 “마이크로칩 독점 모델뿐만 아니라 일반 범용 회로도 모델링 가능...하드웨어에 완성도 더할 것” 하드웨어 제품에는 디지털 영역과 아날로그 영역이 존재한다. 여기에 이식되는 회로의 설계 관점에서 아날로그 회로는 메모리 및 비메모리 소자 모두에 탑재되는 핵심 부품 중 하나다. 아날로그 회로는 아날로그 전기신호를 담당하는 기술로, 과거부터 오랜 시간 하드웨어 가동에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 이러한 아날로그 회로를 설계하는 것은 고도의 기술력을 요구한다. 그만큼 설계 진입장벽이 높은 것이다.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하면서 ‘누구든, 어디서든, 무엇이든’ 다룰 수 있는 시대가 열림에 따라 직관적인 아날로그 회로 설계가 가능해졌다. 100조 규모로 평가받는 전 세계 아날로그 회로 시장에서 이 양상은 어떤 혁신을 도출할까? 글로벌 반도체 제조업체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는 아날로그 회로 설계에 특화된 시뮬레이션 툴 ‘MPLAB Mindi’를 보유했다. 이 솔루션은 ‘SIMetrix’와 ‘Simplis’로 엔
아나로그디바이스 메이 앤 폴리 AE, 케빈 체서 제품 AE 개요 이 글에서는 혼성신호 PCB 레이아웃을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할 점들을 알아본다. 부품 배치, 보드 레이어, 접지 플레인을 어떻게 해야 할지 설명한다. 이 글에서 설명하는 가이드라인은 혼성신호 보드 레이아웃에 관한 것이기는 하나, 모든 분야의 엔지니어들이 똑같이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머리말 혼성신호 PCB 설계에서 기본적으로 중요한 것은 아날로그 회로와 디지털 회로 사이에 신호 간섭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많은 최신 시스템이 디지털과 아날로그 두 가지 영역에서 동작하는 부품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시스템 전반에 걸쳐서 신호 무결성을 달성하도록 시스템을 설계해야 한다. PCB 레이아웃은 혼성신호 제품 설계에 있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서 결코 만만치 않은 작업이다. 부품 배치는 이 작업의 시작에 불과하다. 보드 레이어를 어떻게 할지 역시 중요하다. 보드 레이어는 기생 커패시턴스에 의해서 발생하는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해야 한다. PCB 내부 층들 사이에 의도치 않은 기생 성분들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접지 또한 혼성신호 시스템 PCB 레이아웃 설계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다. 접지는
[헬로티] 전세계 아날로그 반도체 시장에서 지각변동이 예상된다. 미국 기업 아나로그디바이스(Analog Devices, ADI)가 맥심 인터그레이티드(Maxim Integrated)를 209억 달러(한화 25조 1949억원)에 인수합병(M&A)한다는 최종 계약을 7월 13일(미국 현지시간) 체결했다. 계약 조건에 따라 맥심의 주주는 ADI 주식 0.63 주를 합쳐 약 68억 달러에 이르는 합작 회사의 지분 31%를 얻게된다. 이번 거래는 2021년 여름에 종료 될 것이다. 이번 합병으로 인해 ADI는 아날로그 반도체 시장에서 입지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조사기관 IC인사이츠에 따르면 2019년 기준으로 ADI는 52억 달러의 매출로 2위이며 점유율이 10%다. ADI의 산업별 판매량은 산업(50%), 통신(21%), 자동차(16%), 소비자(13%) 순으로 구분된다. 맥심의 경우에는 2019년 19억 달러의 매출로 아날로그 반도체 시장에서 7위를 기록했다. 맥심은 자동차, 데이터센터 분야에서 강점을 보유하고 있다. 양사가 합병되더라도 아날로그 반도체 시장에서 업계 1위인 텍사스인스트루먼트(TI)의 절반 규모에 불과하다(TI의 지난해 매출은
더욱 다각화된 제품 라인업이 목표 텍사스 인스트루먼트(이하 TI)는 1930년에 처음 설립되어 올해 87주년을 맞이했다. 텍사스 인스트루먼트라는 이름은 50년 전에 지어졌고 지금까지 이름이 한 번도 바뀐 적이 없지만 그동안 TI에는 아주 많은 변화가 있었다. 특히 지난 20년동안 일어난 TI의 변화는 놀라웠다. 그만큼 시장이 급변하기도 했지만 TI도 그에 발맞춰 혁신을 이뤄왔다. TI가 급변하는 전자 산업 트렌드를 빠르게 맞출 수 있었던 경쟁력은 무엇이었을까? 한국을 찾는 TI의 세일즈·애플리케이션 부문 수석 ‘빙 쉐(Bing Xie)’ 부사장과 TI의 혁신적인 비즈니스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봤다. 아날로그와 임베디드 TI 총 매출의 85% 차지 현재 TI가 가장 초점을 두고 있는 제품은 바로 ‘아날로그 반도체’와 ‘임베디드 프로세서’이다. 전자제품 시장에서 아날로그 반도체의 시장 규모는 약 400억 달러 정도이고 임베디드 프로세서는 약 200억 달러 정도로 엄청난 규모를 차지하고 있다. TI는 10년 전만 해도 아날로그와 임베디드 매출이 TI 총 매출의 50%를 차지했는데 가장 최근
[헬로티] 온세미컨덕터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 자사의 ONC18 0.18 μm CMOS 프로세스에서 여러 가지 아날로그 IP블록을 검증하기 위해 Hexius Semiconductor와 협력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온세미컨덕터는 고객들이 궁극적으로 설계 주기와 시장 출시 기간을 줄이도록 증명된 아날로그 IP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 협력을 통한 여덟 개의 초기 설계는 다양한 ADC, DAC를 비롯해 전압 및 전류 레퍼런스 등을 포함한다. 필요한 경우, 특정 애플리케이션 요구 사항에 맞게 이러한 설계를 커스터마이징 할 수도 있다. 데이터 컨버터 및 PLL 설계용 IP 등은 올해 하반기 출시를 목표로 현재 개발 중이다. 온세미컨덕터의 ONC18 프로세스는 0.18 마이크로미터(μm) CMOS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하는데 고전압 용량 덕분에 자동차, 산업용, 군사용 및 의료용 개발에 적합하다. 고객사들은 이 프로세스를 지원하는 광범위한 IP 포트폴리오에 억세스 해 많은 자체 엔지니어링 리소스를 작업에 할당할 필요 없이 특정 요구사항에 맞게 최적화된 ASIC 구현의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이에 따라 훨씬 더 빠른 설계 주기, 줄어든 재작업 위험 등의 이
[헬로티] 전세계 반도체 시장은 지난 몇달 동안 반등세를 보였다. 지난 10월은 2015년 3월 이후 가장 큰 매출 증가율을 기록했다. 대부분 지역 시장과 거의 모든 주요 반도체 제품 카테고리에서 지난달에 비해 매출이 증가했다. 이에따라 올해 초 비관적으로 전망했던 반도체 시장에 대한 수정이 불가피해졌다. 세계반도체무역통계기구(World Semiconductor Trade Statistics, 이하 WSTS)는 올해 반도체 시장 규모가 2015년과 비슷한 수준으로 전망하면서 올해 예측치를 수정했다. 수정 이유는 지난 10월 반도체 시장의 가파른 반등의 영향으로 지난 2015년 3월 이후 가장 커다란 매출 증가율을 기록했기 때문이다. 지난 10월 반도체 칩 매출은 305억 달러로 9월에 비해 3% 늘었고, 2015년 10월 대비 5% 증가했다. 이는 중국, 일본을 비롯 다른 아시아 국가에서의 매출 성장이 기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 6월 반도체산업협회(SIA)는 WSTS의 전망에 따라 올해 반도체 산업 매출이 2015년 대비 2.4% 감소할 것으로 발표했다. 당시 SIA는 올해는 실망스러운 한해를 예측하는 IHS, 가트너, International Data
[헬로티] 리니어 테크놀로지 코리아(대표 홍사곽)는 레일투레일 입력 공통모드 범위를 지원하는 8개의 동시 샘플링 채널이 특징인, 채널당 1.5Msps 성능의 16비트 무지연 SAR(successive approximation register) ADC 신제품 'LTC2320-16'을 출시했다. LTC2320-16은 차동, 단극 또는 양극성 아날로그 입력 신호 뿐만 아니라 임의 입력 신호를 받아들이고, 나이퀴스트(Nyquist) 주파수까지 입력 신호를 샘플링 할 때 82dB의 신호대잡음비(SNR)와 102dB의 높은 공통모드 제거비(CMRR)를 유지하는 유연한 아날로그 프런트엔드(AFE)가 특징이다. 입력 대역폭이 넓어서 750kHz의 나이퀴스트 주파수까지 입력 신호의 디지털화가 가능하다. 이와함께 LTC2320-16은 드리프트가 낮고 20ppm/ºC의 최대 온도 계수를 보증하는 정밀 밴드갭 레퍼런스를 55mm2 크기의 작은 QFN-52 패키지에 통합하고 있어 밀집도가 높은 설계에서 PCB 공간을 절감할 수 있다. 또다른 방법으로는 내부 레퍼런스가 두 개 채널로 구성되는 각각의 쌍에 대해 최대 4개의 별도 외부 레퍼런스로 오버드라이브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
[헬로티]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가 자동차 전원 네트 아키텍처에 대한 요구를 충족하고자 저항이 매우 낮은 스마트 하이사이드 스위치 제품군 Power PROFET을 출시했다. 오늘날 자동차의 전원 아키텍처는 릴레이와 퓨즈의 한계점 때문에 제약을 받고 있다. 전기기계식 릴레이와 퓨즈는 부피가 크고, 빈번하게 교체를 해야 하며, 기능이 다소 제한적이다. 예를 들어서 스위칭 사이클 능력이 대략 200,000회에 불과하다. Power PROFET 스위치를 사용하면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많은 이점들을 제공한다. Power PROFET 스위치는 1,000,000회 이상의 스위칭 사이클이 가능하다. 또한 단일 디바이스를 사용해서 릴레이, 퓨즈, 릴레이 드라이버, 케이블, 커넥터 등 기존 시스템에 사용되는 다수의 부품을 대체할 수 있다. 인피니언에 따르면, Power PROFET 스위치는 온 저항이 가장 낮게는 1.0mΩ이며 고전류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도록 설계됐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으로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 보조 전원 아웃릿, PTC 히터, 리어 윈도우 히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스위치는 스타트/스톱 시스템
[헬로티] 온세미컨덕터가 현금 24억 달러에 페어차일드 컨덕터의 인수 작업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발표했다. 온세미컨덕터의 키스 잭슨(Keith Jackson) 회장은 "페어차일드의 인수는 광범위한 애플리케이션 및 완성품 시장을 위한 전력 관리 및 아날로그 반도체 솔루션의 최고 공급 업체를 지향하는 당사의 비전을 한 단계 앞당겨줄 것이다. 페어차일드의 인수는 새로 재편되어가는 반도체 업계에서 수익성을 크게 확대할 플랫폼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온세미컨덕터는 페어차일드를 온세미컨덕터의 전액 출자 자회사로 합병해 인수를 완료했다. 이번 인수를 계기로 온세미컨덕터는 수년간에 걸쳐 축적돼 온 포트폴리오인 범용 제품군을 차별화 된 전력 관리 제품군, 이미징 제품군 및 아날로그 솔루션 군으로 관리하는 새로운 조직으로 개편했다. 새 조직은 빌 홀 (Bill Hall)이 이끄는 전력 솔루션 그룹, 밥 클로스터보어 (Bob Klosterboer)가 이끄는 아날로그 솔루션 그룹, 테너 오즈셀릭 (Taner Ozcelik)이 이끄는 이미지 센서 그룹으로 편성된 3 개의 그룹으로 구성된다. 기존의 시스템 솔루션 그룹은 새로 편성된 3개의 그룹으로 흡수된다. 김진희 기
TI가 가장 높은 레벨의 RF(radio-frequency) 샘플링 성능을 달성하는 14bit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DC), ADC32RF45를 출시한다. 이 듀얼 채널 ADC는 최대 4GHz까지 직접 RF 신호 변환이 가능해 엔지니어들이 최대의 동적 범위와 입력 대역폭을 활용할 수 있다. TI의 RF 샘플링 포트폴리오의 새로운 데이터 컨버터 제품군 중 첫 번째 제품인 ADC32RF45는 멀티대역 리시버로 최대 4개의 중간 주파수(intermediate-frequency) 다운변환 스테이지를 제거해 시스템 아키텍처를 간소화하고 보드 공간을 75%까지 절약할 수 있다. 직접 RF 샘플링은 레이더, SDR(software-defined radio), 항공우주 및 방위, 테스트 및 측정, 무선 통신, 전파 천문학 시스템에서 보다 높은 통합성과 더 우수한 잡음 성능, 더 넓은 대역폭, 더 소형화된 풋프린트를 달성하고자 하는 엔지니어들의 요구사항을 충족한다. 이동화 객원전문기자
최근 인수한 ZMDI의 기술을 적용한 새로운 칩 제품으로서 다양한 컨슈머 제품에 사용 가능 Integrated Device Technology(IDT, 한국지사장 이상엽)는 자사의 무선 전원 기술과 최근 인수한 ZMDI의 신호 컨디셔닝 기술을 결합, 고도로 프로그래머블한 새로운 반도체 제품군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이들 새로운 디바이스 제품은 웨어러블, 홈 오토메이션, 산업용, 계측기, 의료용 제품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의 애플리케이션에 사용할 수 있다. 현재 개발 중인 이들 제품은 IDT의 검증된 무선 전원 기술과 IDT가 지난 12월에 인수한 ZMDI에서 개발한 신호 컨디셔닝 기술을 통합한다. IDT의 최고 기술 책임자이자 해외 사업 부사장인 Sailesh Chittipeddi는 "대개의 경우에 센싱을 하는 제품은 무선 전원의 편의성도 활용할 수 있으면 좋을 것"이라며, "전하를 보존하는 능력이 한정적이거나 배터리 교체나 유선 충전을 필요로 하는 많은 센싱 애플리케이션에서 무선 충전과 센싱을 결합할 수 있으면 의료용 이식 장치에서부터 홈 오토메이션, 웨어러블, 산업용, 계측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새로운 가능성이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
마이크로컨트롤러, 혼합신호, 아날로그 및 플래시-IP 솔루션 분야의 리더인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한국대표: 한병돈)는 마이크로칩의 32비트 PIC32 MCU 고객 기반의 새로운 비즈니스 가능성을 모색중인 임베디드 미들웨어 및 운영시스템 개발자를 위한 MPLAB 하모니(MPLAB® Harmony) 에코시스템 프로그램을 발표했다. 마이크로칩에 따르면, MPLAB 하모니는 업계에서 가장 포괄적인 32비트 마이크로컨트롤러 펌웨어 개발 프레임워크로, 라이센싱 및 재판매 권한이 포함돼 있으며 마이크로칩과 협력업체의 미들웨어 및 드라이버, 라이브러리, 실시간 운영시스템을 모두 지원한다. 이러한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구현된 이 새로운 에코시스템 프로그램은 임베디드 컨트롤 업계에서 유일한 테스트 하네스(Test Harness) 세트와 체크리스트, 레퍼런스 검증 포인트를 이용해 ‘하모니 호환성(Harmony Compatible)’ 인증을 받기 위한 개방형 구조적 방법을 제공한다. 개발자들은 부가가치 높은 무료 소프트웨어 개발 시, 이 광범위한 코드-호환 에코시스템에 액세스해 위험요소 및 전반적인 비용을 줄이는 동시에 시장 출시를 앞당길 수 있으며,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대다수의 데이터는 체계화되어 있지 않다. 이런 데이터를 우리는 ‘빅 아날로그 데이터’라고 부른다.” NI 글로벌 DAQ 마케팅 부사장인 차드 체드니의 말이다. 체드니 부사장은 최근의 데이터를 보면 측정된 중요한 데이터 중 고작 5%만을 분석하고 있다고 말한다. 그러면 사물 인터넷 시대의 ‘빅 아날로그 데이터’ 문제는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그 해법을 그래픽 기반 시스템 디자인 컨퍼런스인 ‘NIDays 2015’에서 자세히 다뤘다. 빅 아날로그 데이터로 열어가는 사물 인터넷 시대에 엔지니어들이 스마트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그래픽 기반 시스템 디자인 컨퍼런스인 ‘NIDays 2015’가 지난 10월29일 열렸다. NIDays 2015는 매년 한국NI가 개최하는 연중 최대 컨퍼런스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 종사하는 800명 이상의 엔지니어와 연구원들이 참석하여 내쇼날인스트루먼트의 제품과 최신 기술 및 관련 파트너사들의 정보를 습득하고 교류하는 장으로 자리매김해 왔다. 이번 행사는 LabVIEW, 측정, 제어/모니터링
최근 국내 전기, 전자 분야를 보면 반도체를 응용한 제품이 많다. 이러한 제품은 지금도 수없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기, 전자, 반도체 관련 기술자들은 반도체의 종류와 응용 기술에 대해 숙지하고, 응용하는 것이 중요해 보인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반도체의 종류와 그 응용 기술에 관해 살펴본다. 반도체의 종류를 알아보자 그림 1에 반도체의 종류를 분류했다. 이러한 분류 외에도 집적도, 용도 및 재질, IC Package에 따라 여러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이 글을 쓰는 목적은 전기전자 회로 설계, 회로 분석과 응용을 위한 것이므로 위의 분류를 토대로 분석하려 한다. 1. 아날로그 반도체 아날로그 반도체는 빛, 소리, 압력, 전기 등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전환 및 관리하는 반도체이다.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전력관리IC(PMIC) : 전자기기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반도체이다. 일례로 휴대폰을 사용하지 않을 때 LCD화면이 꺼지게 하는 IC를 들 수 있으며, 대표적 기업으로 텍사스인스투르먼츠(TI)와 실리콘 마이터스를 꼽을 수 있다. ■조명용 LED구동 IC : LED 조명에 전원을 연결하는 반도체이다. 일례로 LED 조명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