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 주관하는 ‘인공지능 경진대회(AI 챌린지) 2025’ 본선 진출 10개 팀의 발대식이 15일 서울사무소에서 열렸다. 이번 대회는 창의적인 인공지능 서비스·아이디어를 가진 스타트업과 시민 개발자의 창업·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지난 8월 19일부터 9월 5일까지 총 124개 팀이 참가 접수했으며 심사를 거쳐 본선 진출 10개 팀이 선정됐다. 본선 참가팀은 통합테스트베드에서 제공하는 개발 도구, 데이터, API 등을 활용해 국민 생활과 밀접한 사회문제 해결 아이디어를 인공지능 서비스로 구현하게 된다. 발대식에는 참가팀과 대회 관계자 등 70여 명이 참석해 팀 소개와 멘토단 첫 만남이 진행됐다. 멘토단에는 네이버클라우드, KT, 업스테이지, 더존비즈온, 와이즈넛 등 5개 ICT 기업이 참여한다. 이후 참가팀은 9월 18일부터 11월 19일까지 9주간 단기 집중 개발 방식(애자일 방법론)을 훈련받고 전문가 멘토링을 통해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개발 과정에서는 중간보고회를 통해 성과 점검과 피드백이 이뤄진다. 최종 평가는 11월 20일 열리며, 참가팀은 개발 결과물을 발표·시연한다. 심사 기준은 문제 해결 능력,
LG유플러스가 유아이패스와 협력해 에이전틱 자동화를 중심으로 디지털 전환 속도를 높이고 있다. 2018년 RPA를 시작으로 반복 업무 자동화를 넘어 생성형 AI와 대규모 언어모델(LLM)을 결합한 복합 업무 자동화로 전환을 확대 중이다. 대표 사례는 네트워크 장비 장애 대응이다. 과거 수동 대응이 필요했던 프로세스를 알람 인지부터 원격 조치, 콜봇 기록까지 자동화하며 운영 효율을 극대화했다. 여기에 사내 LLM과 유아이패스의 생성형 AI 액티비티를 연동해, 멀티모달 데이터 분석 및 자연어 지시 기반 후속 RPA 실행도 구현 중이다. 이처럼 LG유플러스는 AI, RPA, 인력을 유기적으로 연결한 에이전틱 자동화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최근 ‘UiPath Agentic Automation Summit’에 패널로 참여해 자동화 성숙도와 향후 전략을 공유했다. 자동화 전략, 시민 개발자 문화, 가치 창출 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유아이패스 마에스트로’ 파일럿 프로젝트를 통해 모델링, 실행, 모니터링 전 과정을 통합 관리하는 방식을 도입 중이다. 박종원 LG유플러스 AX실행담당은 “직원 주도의 자동화 문화를 기반으로 디지털 혁신을 더욱 신속히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