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원티앤디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Smart Factory+Automation Word 2023, 이하 AW 2023)’에 참가해 로보트 케이블, 비전, 스케일 등 제품을 전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8일부터 10일까지 사흘간 코엑스 A,B,C,D홀 전관에서 개최되며, ‘We connect your factory’를 테마로 스마트제조부터 탄소중립까지 지속가능한 디지털 혁신을 선보인다. 해원티앤디는 FA 토탈솔루션 전문 업체다. DYDEN, COGNEX, NIDEC 등 업체의 품목을 취급하고 있다. 한편, AW 2023은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스마트팩토리엑스포(Smart Factory Expo), 한국머신비전산업전(Korea Vision Show)으로 구성되며, 올해는 400개 사가 1700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디지털 제조 혁신을 중심으로 하는 다양한 컨퍼런스 및 세미나도 열리며, 업계 전문가가 참여하는 200여개의 발표로 구성된다. 헬로티 이동재 기자
해원티앤디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로봇 케이블, 비전 카메라, 스케일 제품 등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해원티앤디는 FA(Factory automation) 토탈 솔루션 전문 업체로서 자동화 부품, 공장자동화 케이블, 정밀 기어, 감속기, 비전검사 장비, 전자 재료, 산업용 Film, 전자 제조 장치, 부품·소재·코팅, 분야별 기술 지원 사업 등을 하고 있다. 일본의 DYDEN, 미쓰비시 전기, 미국의 코그넥스, 독일의 BALLUFF 등의 총판이기도 하다. 해원티앤디는 DYDEN의 로봇 케이블, 플랫 케이블, 통신 케이블, 특수 사양 케이블 등 스케일 제품과 스케일 제품을 전시했다. DYDEN에서 생산되는 케이블은 일본 가동용 케이블 시장 점유율 No.1 실적을 기록하고 있다. 전시 부스에는 각종 머신비전 제품들도 전시됐다. 해원티앤디의 머신비전사업부는 미국 COGNEX와 독일 BALLUFF 제품을 국내에 공급하고 있다. 한편 첨단, 한
[첨단 헬로티] 개성시대라 불릴 만큼, 디자인이 새로운 무기로 떠올랐다. 조명도 마찬가지다. 실내를 밝혀주는 조명은 성능뿐만 아니라 디자인도 높이 평가되고 있다. 레드밴스는 이러한 디자인을 중시하는 조명기업 중 하나다. 레드밴스의 디자인 랭귀지인 ‘SCALE(스케일)’ 2019 독일 디자인 어워드(German Design Award)를 수상하기도 했다. ▲ 레드밴스의 ‘SCALE’ 디자인이 적용된 ‘Tracklight Spot’ 제품 <사진 : 레드밴스 제공> 지난 3월,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린 2018 Light+Building에서 처음으로 선보인 SCALE은 레드밴스의 기업특징을 해석하여 현대적 제품 디자인으로 구현한 디자인 랭귀지다. SCALE은 2016년 7월 오스람에서 분사하면서 100년 이상의 조명 기술과 역사를 갖고 있는 신생기업 레드밴스의 아이덴티티인 용기와 역동성, 유연성을 보여준다. SCALE은 첫 무대인 Light+Building에서 소비자들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최근에는 2019 독일 디자인 어워드에서도 수상하게 되는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이번 수상은 특별했
▲레드밴스가 박람회에서 선보인 등기구 디자인 ‘SCALE’ 라인의 매장조명 신제품, ‘Tracklight Spot’ [첨단 헬로티] 글로벌 조명기업 레드밴스가 18일(일)부터 23일(금)까지 독일 프랑크푸르트 메세 프랑크푸르트(Messe Frankfurt)에서 열리는 ‘조명건축박람회(Light + Building 2018)’에 참가해 새로운 디자인의 등기구 등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선보이며 LED 조명산업의 미래를 제시한다. 레드밴스는 급격하게 변화하는 조명시장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110년 전통의 오스람(OSRAM)에서 2016년 7월 분사한 글로벌 일반조명 기업이다. 분사 초기에는 기본적인 제품 라인업으로 시작해 현재는 유럽 시장 TOP10에 드는 등기구 제조사로 성장했다. 140여개국에서 사업을 펼치며 50여개국에 지사를 둔 글로벌 리딩기업으로 전 세계 조명시장에서 확고히 자리잡았다. 레드밴스는 올해 안에 LED 등기구 라인업을 2,700개 이상 늘리고, 2020년까지 글로벌 시장 TOP10, 유럽 시장 TOP5 진입하는 것을 목표로 눈 부신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이번 박람회에서 레드
산업 설비 유지보수 제품 제조 기업인 NCH코리아는 ‘에바콘’의 스케일 제거를 위한 ‘에바콘 세관 서비스’를 출시했다. ‘에바콘’은 냉매인 암모니아 가스를 응축시키는 설비로서, 아연 도금관의 외벽에 물을 분사하고 증발시키기 때문에 관 표면에 스케일이 발생한다. 스케일은 암모니아 가스의 압력을 증대시켜 전력비를 상승시킨다. 지금까지는 에바콘의 스케일을 제거하기 위하여 산성 세관제를 사용했는데, 산성 세관제는 아연도금을 심하게 손상시키고 배관 부식을 일으켰다. 부식이 진행되면 에바콘을 교체해야 하는데, 많은 비용과 오랜 시간을 요함으로 그 손실이 컸다. NCH코리아의 ‘에바콘 세관 서비스 프로그램’은 화학약품에 의한 분해와 기계적 파쇄를 결합하여 에바콘에 형성된 스케일을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특히 알카리성과 중성 약품을 사용하므로 아연도금, 동 등의 배관 재질에 안전하다. 특히 NCH의 에바콘 세관 서비스는 약품 세관과 기계 세관을 결합하여 부작용 없이 스케일의 90% 이상을 제거할 수 있다. NCH코리아의 강동섭 팀장은 “에바콘에는 스케일이 많이 발생하고, 부식이
시스코가 클라우드 스케일 네트워킹을 위한 첨단 소프트웨어 솔루션과 개발자 도구를 출시했다. 이를 통해 통신사업자와 웹서비스 사업자들이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데에 있어 민첩성·자동화·간편성은 높이고 네트워크 관리 및 운영 비용은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달 발표한 ‘2014-2019 시스코 글로벌 클라우드 인덱스’에 따르면 전세계 데이터센터 트래픽은 2019년까지 약 세 배 가량 증가하고, 이 중 83%의 트래픽이 클라우드에서 발생될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 기업들이 디지털화에 주력함에 따라 사람과 프로세스, 데이터, 사물 등의 연결이 점점 더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앞으로는 비즈니스 기기 및 M2M 연결이 확산되고, 확장형 서비스 및 애플리케이션이 지속적으로 개발됨에 따라 스토리지와 네트워크에 더욱 다양한 역량이 요구될 전망이다. 이번에 선보인 시스코 IOS-XR 네트워크 운영시스템의 새로운 기능은 기존 통신 및 웹서비스 사업자가 자사 데이터센터와 광역통신망(WAN) 아키텍처를 융합하도록 돕는다. 이는 시스코 네트워크의 프로그래머빌러티(programmability)를 향상시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