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AW 2025)은 아시아 최대의 산업 자동화 전시회다. 산업 디지털 전환의 핵심으로 손꼽히는 자동화(Automation) 기술과 스마트 팩토리의 현재를 진단하고, 관련 산업군의 솔루션과 제품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축제로 인식된다. 올해 35회차로 진행된 만큼, 지금까지 전시회를 통해 수많은 제품·솔루션·기술 등 자동화 레퍼런스가 소개됐다. 이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국내 자동화 기업 경쟁력 제고에 기여했고, 궁극적으로 우리 산업을 한 단계 도약시키는 밑거름이 된 것으로 평가받는다. 이번 특집에서는 AW 2025 참가기업들의 주목할 만한 제품과 솔루션을 소개한다. [특집] AW 2025 주목할 베스트 솔루션 (3편) [자율주행로봇] 미래형 물류 현장 키플레이어 ‘로봇’…AMR로 여는 차세대 물류 세상 [물류자동화] 제조·물류 공간 효율 극대화에 도전…오토스토어 “유연한 도입·확장 지원” [자율주행 모바일 솔루션] 로봇·자동화 융합 기술 집약체 커스텀 AMR…유진로봇 ‘고카트’, 다양한 산업 요구 충족 PEOPLE & COMPANY 분타 코야스 RX Japan 사무국장 “제조 시스템 변혁의 구심점은 SW”…日 업계가 주시한 ‘
미라콤아이앤씨가 지난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AW 2025)’을 성황리에 마쳤다고 18일 밝혔다. AW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 전시회다. 올해는 500개 기업이 참여하고 2200개 부스가 마련됐으며 약 7만 명이 참관한 것으로 추산되는 등 역대 최대 규모를 자랑했다. 미라콤아이앤씨는 이번 전시회에서 SDF(Software-Defined-Factory, 소프트웨어 정의 공장) 비전을 핵심 주제로 내세웠다. SDF는 최근 떠오르는 제조 패러다임으로 제조 환경의 모든 요소와 프로세스를 소프트웨어로 정의하고 제어, 최적화한다는 특징이 있다. 미라콤아이앤씨는 지난 27년간 고객의 제조 디지털화에 앞장서 왔다. 이번 전시회에서도 회사는 SDF 시대를 준비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혁신 솔루션을 선보였다. 통합모니터링과 품질/설비관리, 생산관리, AMHS, 전사적 자원관리, 에너지/탄소관리 등 6개의 존을 마련해 데모 시연과 함께 솔루션을 상세히 소개했다. 가장 많은 주목을 받은 것은 Nexplant MESplus였다. Nexplant MESplus는 미라콤아이앤씨의 27년 노하우를 집
바이드뮬러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파워 매니지먼트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이번 전시회에서 바이드뮬러코리아는 AC 라인부터 DC 라인까지의 효율적인 전력 모니터링 파워 매니지먼트를 선보였다. 이 솔루션을 구성하는 파워 서플라이는 실시간 모니터링 기능과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차세대 전원 공급 장치다. 이 제품은 설비의 전원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유지보수의 편리성을 높이고,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스마트 팩토리 환경에 대응한다. 이를 통해 제조 현장의 신뢰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한다. 바이드뮬러는 독일의 전장품 제조사로, 자동화 시장에서 혁신적인 결선 기술과 전원 공급 솔루션을 제공하며 세계적으로 신뢰받는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손쉽고 효율적인 전장 설계를 지원
에스에이치텍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COGNEX의 머신비전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에스에이치텍은 바코드 리더기, 2D, 3D 머신 비전 및 딥러닝 검사 전문 SI(system integrator)로 공장 자동화 분야에서 지난 20년간 다양한 경험과 기술을 축적해 왔다. 최근 딥러닝을 활용한 제조라인에서의 외관 검사 분야에 더욱 많은 경험과 기술 개발을 진행해 오고 있다. 신규 사업분야로 소형 산업용 로봇을 추가해 로봇과 머신 비전을 활용한 어플리케이션 개발 및 시스템을 개발했다. 특히 비전사업부는 20여 년간 축적된 다양한 머신비전 솔루션을 통해 제품 평가 및 결함을 발견하고 로봇·기타 장비와의 맞춤 시스템으로 4차 산업혁명 세계의 공장 자동화를 선도하고 있다. 에스에이치텍은 이번 전시회에서 제조 자동화에 사용되는 비전
엠씨테크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총판을 맡고 있는 MOONS'의 제품을 소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엠씨테크는 세계적인 스텝모터 제조회사 MOONS'의 한국 총판을 맡아 국내 산업 특성에 맞는 제품을 중점적으로 판매하는 기업이다. MOONS'는 세계 3위의 스텝모터 생산기업으로 스텝서보, AC&DC서보, BLDC, Linear Motion, SMPS 등의 다양한 솔루션과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모션 시장에서의 영역을 점차 확대해 가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 엠씨테크는 스탭 모터, 스탭 서보, 서보모터, 감속기 등을 소개했다. 이 가운데 8축 스테이지는 모든 모션 구현이 가능하며 그 특징으로는 ▲AC Servo + Closed Loop Step + Open Loop Step 적용 ▲All In One System ▲MOONS' 제품
맥슨모터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로보틱스 드라이브 시스템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이번 전시회에서 맥슨모터는 통합 드라이브 시스템 ‘HEJ(High Efficiency Joint)’ 및 ‘HTJ(High Torque Joint)’, 중공형 모터 ‘EC-i 프레임리스’ 등을 소개했다. HEJ와 HTJ는 모터·기어·센서·제어기 등으로 구성된 솔루션으로 로봇 조인트 적용에 특화됐다. 해당 제품군은 다채로운 구동뿐만 아니라, 고출력·고토크·고냉각성 등 성능을 갖췄다. 이를 통해 휴머노이드 로봇, 4족 보행 로봇,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등 자유로운 구동을 요구하는 로봇 기체에 적용될 전망이다. 맥슨모터는 고정밀 스마트 드라이브 시스템, 모션 컨트롤 솔루션 등 모션 컨트롤 솔루션을 전파하고 있다. 로보틱스·모빌리티·의료·항공우주 등 다양
아나로그디바이스(ADI)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지능형 모션 제어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ADI는 모션 제어를 위한 새로운 기술과 솔루션을 제공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정밀 측정과 안전 절연, 전력 관리부터 일관된 성능의 산업용 이더넷과 자기 위치 센서 및 머신 상태에 이르기까지 ADI는 고객이 지속 가능한 차세대 첨단 모션 제어를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ADI의 Trinamic은 디지털 정보를 정밀한 물리적 모션으로 변환하는 고성능 모터 제어 솔루션이다. 특히 로봇공학, 3D 프린터, 산업자동화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 제품은 스텝 모터 드라이버, BLDC 모터 드라이버, 모션 컨트롤러 등으로 구성되며 고속 정밀 제어가 가능하다. 한편, AW 2025는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스마트팩토리엑
엠엠티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자사의 스마트 스테이지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이번 전시회에서 엠엠티는 자동 정밀 스테이지, 수동 정밀 스테이지, Q센서, 드라이버 컨트롤러 등을 전시했다. 이 가운데 스마트 스테이지란 단순 스테이지 공급에서 벗어나 간편한 제어까지 한 번에 가능하도록 업그레이드한 올인원 시스템이다. UVW(XYθ축)스테이지와 Q센서(3D 엔코더), 일체형 드라이버 컨트롤러의 결합으로 기존 UVW스테이지 대비 높은 사양 수준, 작은 사이즈, 간편한 제어를 가능하게 해 준다. 중앙 제어 시스템이 아닌 자율 제어를 통해 스테이지가 스스로 위치 제어기능을 수행하며 이송 오차에 대한 Self-Calibration 기능도 탑재했다. 스테이지 기구물의 경우 140*140mm부터 1000*1000mm 이상의 다양한 사이즈로 고객
단해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소프트 그리퍼 시스템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그리퍼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통적인 그리퍼인 공압 그리퍼, 전동 그리퍼, 진공 패드 등은 종종 픽업 물체의 모양, 유형, 위치 등과 같은 요소들에 영향을 받아 물체를 원활하게 잡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단해가 소개한 소프트 그리퍼는 폴리머 실리콘 유연 재료로 제작돼 물체를 부드럽고 손상 없이 잡을 수 있으며 매우 높은 유연성을 가지고 있다. 제품과 접촉할 때 크기, 모양, 재질 등에 대한 사전 조절 없이 대상 물체를 유연하게 잡을 수 있다. 기존의 그리퍼와 비교해 제품의 크기와 모양에 대한 제한이 크지 않다. 단해는 “공압 제어 콘드롤러와 소프트 그리퍼를 사용해 로봇암과 같은 이동 매커니즘과 함께 그리퍼 시스템을 구성, 기존의 그리퍼가 픽업할 수
네모시스템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스마트한 복제기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네모시스템이 소개한 EZ Dupe M.2 NVME 복사기 MK-II는 원본 1개의 데이터를 7개에 동시 복사할 수 있으며 직관적인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간편하고 신속한 복사가 가능하다. 1초당 32MB 빠른 속도로 복사 되며 빠른 삭제 기능이 있다. 독립 포트 설계로 동시 다중 복사가 가능하며 SSD M.2 NVME & M.2 SATA 인터페이스를 지원, 더 큰 호환성을 제공 한다. 산업용 컴퓨터 전문 회사로 국내 GIGAIPC 총판인 네모시스템은 산업용 PC와 임베디드 PC를 비롯해 키오스크, PPC, DID 등 산업현장 자동화를 위한 다양한 솔루션을 시장에 선보이고 있다. 회사는 이번 전시회에서 복제기 외에도 산업용 box pc, 산업용 메인보드
바투잼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MAPS를 응용한 스마트 스테이지 솔루션의 기능을 시연하는 장치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이번 전시회에서 바투잼은 3차원 공간에서 이동하는 물체가 어느 위치에 어떤 각도로 놓여있는지 측정하는 다축 광엔코더 ‘MAPS’를 소개했다. MAPS는 절대 좌표가 기록된 2차원 스케일과 좌표를 읽는 광센서로 구성된다. 물체에 스케일을 부착하고 MAPS로 측정하면 사용자가 관심 있는 물체위의 관측점이 공간에서 이동하는 궤적을 알 수 있다. 이와 함께 바투잼은 MAPS를 응용한 스마트 스테이지 솔루션의 기능을 시연하는 장치를 선보여 관람객 이목을 집중시켰다. 시연장치는 MAPS-03와 스텝모터로 구동하는 UVW 스테이지, 머신 비전으로 구성했다. 비전의 이동 명령에 따라 스테이지가 목표 지점까지 이동하는 장치다.
PMI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이번 전시회에서 PMI는 볼스크류, 리니어 가이드웨이, 액추에이터등의 제품을 소개했다. 이 가운데 볼스크류 신제품 S·V 시리즈는 고강성·내모성 강화된 복합재질의 회로를 사용해 강구 운행시에 소리가 작고 부드럽다. 접선설계의 회전회로로 강구가 유입할 때 충격이 대폭 줄어들며 너트 운행 시에 진동이 줄어들고 안정적이다. 1990년에 설립된 PMI(PRECISION MOTION INDUSTRIES) 그룹은 볼스크류, 정밀 볼스크류 스플라인, 선형 가이드웨이, 볼 스플라인 및 액추에이터를 제조하고 있다. 주로 공작기계, 방전 기계, 절삭 와이어 기계, 플라스틱 사출 기계, 반도체 장비, 정밀 배향 장비 및 기타 장비와 기계에 적용된다. 한편, AW 2025는 국제공장자동화전(ai
엘모모션콘트롤아시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서 모션 제어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엘모는 모션 제어 솔루션 제공업체로 토탈 모션 제어 관련 제품을 개발·제조하고 있다. 엘모의 다축 모션 컨트롤러와 서보 드라이브는 전 세계의 기계 장비 제조업체에서 사용되고 있다. 전자제품 제조, 반도체, 태양광 발전, 장치 제어, 로봇, 자동화, 자율주행 자동차 생산, 자동화 물류, 섬유및 인쇄공정, 군사 및 보안장비, 극한 환경등의 여러 분야로 판매되고 있으며 첨단 제어 솔루션 프로그램 등이 포함된다. 엘모 컨트롤러는 모터 제어를 통해 완벽한 정확도와 절대적 타이밍, 동기화 그리고 최대 속도 이동을 위한 다양하고 복잡한 요건을 충족시킨다. 엘모의 모든 제품은 엄격한 안전 및 품질 표준을 준수한다. 플래티넘 라인 서보드라이브는 빠른 서보 성능, 더
바우머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산업용 카메라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바우머코리아가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산업용 카메라 VLXT 시리즈는 10GigE속도를 지원하며 바우머가 제공하는 오토 포커스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초고속 정밀 검사 시스템에 적합한 최신 Sony Pregius, Pregius S와 Gpixel 센서를 적용해 10 GigE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면서 최대 65MP 해상도를 지원한다. VLXT 제품은 2D/3D측정에 적합한 반도체, PCB/FPCB 및 LCD/OLED의 검사에 적합하다. 스위스에 본사를 두고 있는 바우머는 190개국의 39개의 지사를 운영하고 있는 글로벌 기업이다. 자동화 공정을 위한 센서, 엔코더, 프로세스 센서, 산업용 카메라 등을 공급하고 있으며, 광범위한 포트폴리오로 다양한 어플리
엑소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납땜인두 장비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엑소가 소개한 디지털온도 조절형 인두기는 팁 히타 일체형 인두기 구조로 실시간 온도 회복이 가능하다. 딥 깊숙이 K 타입 센서가 내장돼 팁끝의 온도를 정확하게 감지하고 온도변화에 빠르게 대응한다. 또한 자동 납땜 로봇인 탁상용 4축 솔더링 로봇은 한국에서 생산해 신속한 A/S가 가능하다. 팁을 직접 생산함으로써 작업 대상에 적합한 팁을 개발해 생산성을 증대할 수 있다. 국내 최초의 납땜인두 및 PCB 관련 장비 전문회사인 엑소는 지속적인 기술개발을 통해 납땜인두와 전자공구 등의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일반적인 상용 납땜인두에서 PCB관련 장비와 주변기기까지 엑소의 전제품은 철저한 품질관리로 생산된다. 한편, AW 2025는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