셰플러코리아가 셰플러 그룹이 수소 자동차 분야에서 사용되는 고정밀·고성능 PEM 연료전지용 금속 분리판을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에 셰플러가 개발한 PEM 연료전지용 금속 분리판은 연료전지의 핵심 부속품이다. 셰플러의 새로운 분리판을 사용해 만든 스택은 기존 스택보다 전력 밀도가 약 20% 더 높고, 수소 자동차 분야에서 적용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셰플러만의 혁신 기술로는 고성능 코팅 시스템 제품군인 에너텍(Enertect) 솔루션이 적용돼 연료전지의 수명을 늘리는 코팅 공정을 거쳐 높은 수준의 전기 전도성을 유지한다. 또한 제조 고려 설계(DFM)로 개발돼 대규모 생산에 최적화된 것이 특징이다. 셰플러의 금속 분리판은 현재 독일의 헤르조게나우라흐에 위치한 파일럿 생산 시설에서 생산되고 있으며, 2024년 초부터 프랑스 아그노에서 수소 모빌리티 전문 기업 심비오(Symbio)와 합작으로 이노플레이트(Innoplate)라는 이름으로 금속 분리판을 생산할 계획이다. 마티아스 징크 셰플러 오토모티브 테크놀로지 사업부 CEO는 "셰플러는 장거리 주행을 위한 수소 자동차에 투자하고 있으며, 연료전지용 개별 부속품과 전체 하위 시스템을 모두 개발하면서 전면적
산업부, 수소 산업 규제혁신 민관 협의체 개최 내년부터 수소자동차 충전소에서 수소 지게차와 수소 굴착기, 수소선박 등 다양한 수소 모빌리티도 충전이 가능해진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일 경남 창원 대원 수소충전소에서 수소업계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수소산업 규제혁신 민관협의체 회의에서 이같은 계획을 밝혔다. 현재 수소충전소에서는 안전성이 검증된 수소자동차만 충전을 허용했다. 앞으로는 규제샌드박스 실증을 통해 안전성을 검증하고, 수소자동차 충전소 안전성을 강화해 수소지게차, 수소굴착기, 수소선박 등 다양한 수소모빌리티도 수소충전소에서 충전할 수 있게 된다. 산업부는 지난 5월 발표한 ‘수소 안전관리 로드맵 2.0’에 따라 ▲건설기계·트램·열차용 연료전지 안전기준 마련 ▲실내 수소충전 기준 규제개선 ▲자전거 등 소형 수소모빌리티 충전 안전기준 마련 ▲액화수소 연료충전시스템 안전기준 개발 등 수소모빌리티 관련 규제를 해소하며 다양한 수소제품이 신속히 개발 보급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코그넥스코리아 김민수 전무, 자사 딥러닝 기술 이용한 배터리 품질검사 효과성, 적용사례 소개 코그넥스코리아가 ‘2022 EV, 수소차 부품 소재 핵심 기술 트렌드 및 사업화 전략 세미나’에 참석해 배터리 품질관리 기준 및 검사 적용사례를 발표했다. 여의도 전경련타워에서 개최된 이번 세미나는 이틀간 마련된 여러 세션을 통해 EV, 수소차 산업의 동향을 짚어보고, 자동차 배터리 관련 핵심 기술과 트렌드를 공유하는 자리다. 코그넥스코리아의 김민수 전무는 18일 오전 발표 연사로 참석해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산업 트렌드와 전망 ▲배터리 품질관리 기준 ▲품질 검사에 대한 기술적 내용 등을 공유하고 코그넥스의 딥러닝 기술을 이용한 배터리 품질검사의 효과성과 적용사례에 대해 소개했다. 전기차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배터리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안정적인 배터리 공급을 위해서는 품질을 유지하면서 경제적으로 검사를 진행할 수 있는 효율적인 품질관리 솔루션이 필수다. 코그넥스는 전기차 배터리의 품질 보장을 위해 제조 공정 자동화에 적용할 수 있는 머신 비전 딥러닝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는데, 머신 비전 딥러닝 솔루션은 딥러닝 기술이 적용된 고품질 센서, 식별 및 네트워크
헬로티 조상록 기자 | 한국재료연구원(이하 재료연)이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가 시행된 2019년 7월 이후 소재·부품·장비(이하 소부장) 기술자립을 위해 노력한 단계별(연구소기업·기술이전·기술지원) 기술사업화 성과를 발표했다. 성과사례1. 고내식, 난연성 마그네슘 합금 기술 사업화 재료연이 보유한 ‘고내식, 난연성 마그네슘 합금 기술’은 마그네슘 합금의 오랜 난제였던 발화문제와 부식성 문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한 신소재이다. SENM(올해 하반기 설립 예정인 재료연의 연구소기업)은 고내식, 난연성 마그네슘 합금의 원소재에 해당하는 잉곳과 빌렛을 제조하고 이를 부품화하는 공정개발을 추진함으로써 마그네슘 소재 국내 밸류체인의 핵심부분을 완성하게 된다. 또한 ‘고내식, 난연성 마그네슘 합금 기술’은 마그네슘 소재의 발화 저항성이 뛰어나고, 합금의 용해·주조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지만 대기환경에는 치명적인 육불화황(SF6)의 사용을 대폭 줄일 수 있다. 이는 환경오염 문제로 점차 강화 및 확대되고 있는 탄소배출권 대응 차원에서 또 다른 장점으로 작용했다. 성과사례2. 수소자동차(FCEV)용 압축수소가스 저장 복합재 내압용기 상용화 개발 재료연은 국내 수소차 기술 향상과